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우주 도시 특명 또 하나의 지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우주선 안에 담는 방법! ‘우주 정착선’을 만나 보아요~!★특명 1 위치를 고정하라!1969년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제라드 오닐 박사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했어요. 우주 공간에 거대한 우주 정착선을 건설하는 아이디어였죠. 이 우주 정착선은 중력, 대기, 온도 등 모든 조건이 지구와 똑같게 ... ...
- Part 3. 별별 사랑 배달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어요. 우선 수명이 길어요. 꿀벌이 최대 150일 사는 반면, 벌새는 최소 2년에서 최대 11년까지 살 수 있어요. 또 기억력이 뛰어나요. 캐나다 레스브리지대학교 연구팀은 벌새가 다른 새보다 해마의 크기가 5배 이상 크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해마는 뇌에서 기억력을 담당하는 기관으로, 해마가 ... ...
- [수학뉴스] 정수 남매의 수학 용어 사전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현상을 설명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일례로 ‘엘리어트 파동이론’이 있어요. 수십 년간 살펴본 주식의 흐름이 피보나치 수와 관련이 있었고, 이를 토대로 주식 예측 이론을 만든 거예요. 여러 분야에서 전방위로 활약하는 피보나치 수를 기억해 주세요!★ 정수 남매가 어떤 수학 용어를 쉽게 ... ...
- 2017 아벨상 수상자 웨이블릿의 아버지, 이브 메이에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압축, 의학 이미지, 디지털 영상, 허블망원경의 해상도 향상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다. 2016년에 크게 화제가 됐던 중력파 검출도 중력파에 적합한 웨이블릿 함수를 만들어 관측했기 때문에 얻을 수 있는 성과였다.한 분야를 집요하게 파고들어 얻은 77세 노수학자의 업적을 기리는 아벨상 시상식은 ... ...
- 미션! 소파를 옮겨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꺾인 복도를 지나갈 수 있는 가장 면적이 넓은 평면도형은 무엇인지 묻는 문제다. 1966년 캐나다의 수학자 레오 모저가 제시했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문제지만, 아직 미해결이다. 아래 그림을 보며 소파 움직이기 문제를 이해해 보자.지금까지는 거버가 제안한 도형이 가장 면적이 넓다. ... ...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017년 4월 7일 자정이 되자 페이스북 소녀시대 팬페이지에 태연 포스터가 올라왔습니다. 그런데 포스터에 수상한 메모가 있습니다. 파, 라, 미…, 로 시작하는 짧은 악보입니다. 악보 밑에는 의미를 알 수 없는 알파벳도 적혀 있어 팬들의 궁금증은 커져만 갔습니다.아! 혹시 태연 노래의 악보 아닐까요? ... ...
- Part 1. 웰컴 투 매스잼수학동아 l2017년 05호
- 탐구 과정과 같다. 교통 미로 역시 논리 미로로, 미국의 게임 개발자 로벗트 애벗이 1950년대 중반에 만들었다. 1959년 가드너가 ‘사이언티픽 아메리칸’에 소개하면서, 논리 미로가 유행하기도 했다.수학자도 인정한 롤링 큐브 미로논리 미로 중에는 수학자의 연구 대상이 된 것도 있다. 주사위로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그래서 글로 쓰기 시작했지요. 퍼즐에 대한 정보를 더 얻고 싶어서 2010년부터 국제퍼즐파티(IPP)에 참여하고 있어요. IPP는 회원제로, 퍼즐을 정말 좋아하는 사람만 참여해요.퍼즐을 300개 이상 소장하고 기존 회원의 추천을 받아야지만 파티에 참여할 수 있어요. 또 불참을 여러 번 하면 자동 ... ...
- [과학뉴스] 지구 최강 생명체, 물곰의 비밀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미국 노스캐롤라이나대 생명과학연구소 토마스 부스비 박사팀은 물곰이 극저온에서 10년 이상 건조 상태를 유지해도 살아남을 수 있도록 돕는 단백질 그룹을 찾아 학술지 ‘분자세포’ 3월 16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물곰이 완전히 말라버렸을 때 높게 발현된 유전자를 발견했고, 이 유전자로 ... ...
- [포커스 뉴스] 생물인 듯 생물 아닌 ‘프랑켄슈타인’ 바이러스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끌어 모아 거대한 바이러스가 발견된 건 이번이 다섯 번째다. 최초의 거대 바이러스는 1992년 발견된 ‘미미바이러스(Mimivirus)’ 다. 당시 과학자들은 지름이 500nm, 유전체 염기쌍이 100만 개가 넘는 이 바이러스를 박테리아라고 생각했다. 오스트리아 클로스터노이부르크 지역에 있는 하수처리장 ... ...
이전6946956966976986997007017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