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NBC 보도에 따르면, 샘플이 오염됐다는 게 가장 신빙성 있는 추측이었다.샘플을 수집한
사람
들은 전문적인 훈련을 받지 못했다. 또 재미있게도, 켓첨이 논문을 출판한 데노보라는 학술지는 출판 시점에서 불과 3주 전만 하더라도 존재하지 않았다. 당연히 이 논문을 제외한 다른 논문은 없다(지금도 이 ... ...
[Life & Tech] 단식 반복하면 음식 중독 된다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음식으로만 해소하려는 습관을 바꿔야 한다. 고칼로리 음식을 감정의 도피처로 삼는
사람
들이 많은데, 음식이 줄 수 있는 보상의 한계를 명확히 깨달아야한다는 뜻이다. 올겨울에는 자신의 감정을 잘 살피고, 감정을 다스리는 다른 방법을 찾아보자. 친구든 취미든 ... ...
[교과연계수업] 도시에는 왜 고양이가 많을까? 도시생태계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고양이들이 먹을 수 있어. 고양이는 영역 안에 먹을 것이 사라지면 새 먹이를 찾아 떠나.
사람
의 손이나 병 때문에 죽어 버려도 영역이 비게 되지. 하지만 곧 다른 고양이들이 이 영역으로 들어오는 ‘풍선효과’가 발생해. 이 때문에 인간의 힘으로 개체수를 조절해도 사실 큰 소용은 없어. ... ...
[Knowledge] 3할 타자는 최고의 타자일까
과학동아
l
2015년 01호
선수는 MVP 투표에서 99표 중 고작 7표를 받는데 그쳤다.타자를 설명할 때 여전히 많은
사람
들이 타율을 절대적이고 최우선적인 잣대로 여긴다. 스포츠신문과 해설자들의 전통적인 야구관이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이다. 세이버매트릭스의 출발점도 바로 그곳이다. 올 한해 통계와 야구의 허와 실을 ... ...
[수학뉴스] 현동훈 포스텍 수학과 교수 2014년도 젊은과학자상 수상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달리, 수학자의 유쾌한 순간을 만날 수 있어 영광이었다. 그렇다면 현동훈 교수는 어떤
사람
일까?“중학생 때까지는 수학을 잘 못했어요.”그의 학창시절에 대해 물었더니 의외의 대답이 돌아왔다. 고등학교 때는 단지 수학자의 연구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1990년 일본의 대수 기하학자 시게후미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외쳤다.“이것으로 요리를 할 수 있겠어!”스펜서가 이 혁명의 상자를 발명할 때쯤 다른
사람
들도 전자기파의 가열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다들 그 효과를 예상하면서도 결론을 도출하지 못하고 머뭇거리고 있었다. 이때 스펜서는 주저 없이 실험을 진행했다. 바로 금속으로 상자를 ... ...
[생활] 2015 SOFT.WARE 진로 가이드로 미래를 설계하세요!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아워 오브 코드’ 캠페인을 벌이고 있어요. 지금까지 이 캠페인에 참여한
사람
이 8100만 명이나 돼요. 코드는 청소년들은 물론 일반인들도 프로그래밍을 쉽고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다양한 온라인 프로그래밍 강좌를 진행하고 있어요. 예를 들면 웹페이지에서 의 엘사가 움직이도록 ... ...
[생활] 수학나라로 간 피노키오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귀류법은 고대부터 수학에서 매우 유용한 도구다.사실 수학자 중에는 귀류법을 꺼리는
사람
이 많다. 귀류법을 이용한 증명이 아름답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수학자들이 가장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증명법은 연역법이다. 연역법이란 참인 명제를 전제로 새로운 명제가 참임을 보이는 방법이다. ... ...
[참여] 수학으로 그려 본 나의 미래 KAIST 수리과학과 & 국가슈퍼컴퓨팅연구소
수학동아
l
2015년 01호
사용자의 움직임과 시선을 파악해 필요한 정보를 보여 주는 특수 안경도 있었다.
사람
의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가 이 안경을 쓰고 화면 속의 뇌를 보면 그 위로 뇌에 관한 여러 가지 정보가 보인다.탐방을 마무리하며 이식 박사는 독자들 앞에서 자신의 스마트폰을 꺼내 들었다. 1988년 처음 ... ...
Part 4. 쓰레기가 동물을 먹여살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1호
하루에 2kg 이상의 먹이를 먹어치울 정도로 먹성이 좋아. 그래서 음식물 쓰레기를 비롯해
사람
의 토사물이나 다른 동물의 배설물까지 마구 먹어 치우며 도시 생활에 완전히 적응했지. 게다가 도시에는 비둘기의 천적인 매가 없거든. 또 원래 벼랑에 집을 짓고 사는 습성이 있기 때문에, 땅과 수직을 ... ...
이전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