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74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짜 방귀왕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3.19
거라고 생각한 거예요. 이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대학교 벤 윌슨 교수팀은
실험
실에서 청어를 관찰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청어가 방귀를 뀌기 전, 수면으로 올라와 공기를 삼킨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 마치 일부러 방귀를 만들어내기 위해서인 듯 말이에요. 또 이런 행동은 청어가 앞을 ... ...
KIST, 차세대 양자점 태양전지 출력전압 떨어지는 원인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9
KIST 김동훈 박사는 “본 연구는 향후 양자점 태양전지의 전압 상승을 위한 다양한
실험
적 노력에 올바른 방향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를 통해 출력전압이 현재 수준의 최대 180%까지 상승될 것으로 예상하며, 양자점 태양전지는 상용화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위 ... ...
고체이면서 액체인 ‘초이온 물 얼음’
과학동아
l
2018.03.19
자기장을 설명 하기 위해 내부에 초이온 물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예상됐다”며 “이번
실험
결과는 이 이론을 지지하는 근거”라고 말했다. doi:10.1038/s41567-017-0017- ... ...
반창고로 레이저 치료 받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한 번에 300시간을 쓸 수 있다. 이렇게 개발한 반창고를 이용해 상처 치료효과를
실험
했을 때 세포 증식은 58%, 세포 이동도는 46% 향상돼 상처가 빠르게 아물었다. 연구를 주도한 전용민 KAIST 전기 및 전자공학부 박사과정 연구원은 “병원에 방문하지 않고 약국에서 구매해 쉽게 광치료를 ... ...
[표지로 읽는 과학] 응집물질 위상절연체로 고효율 레이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위상 효과 개념을 제안했다. 하라리 연구원은 “우리는 위상절연 레이저의 개념을
실험
으로 증명했다”며 “이동 방향의 오류나 손실이 거의 없는 고효율의 레이저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 ...
잠 들기 전 아이, 스마트폰 멀리해야 하는 이유
2018.03.18
GIB 제공 이 연구를 위해 연구진은 건강한 3~5세의 미취학 어린이 10명을 대상으로 7일간의
실험
을 실시했습니다. 첫 날부터 5일차까지 엄격한 취침시간표를 따르게 해 아이들의 신체 시계를 정상화하고 매일 저녁 같은 시간에 멜라토닌 수치가 올라가게끔 저녁 시간의 패턴을 정착시킨 것입니다. ... ...
산불 잡는 폭탄...드론이 쏜 ‘소화탄’에 반경 8m 불 꺼져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개발했다. 2016년 처음 개발한 이후 계속된 개선 과정을 거쳐 16일 포천 산불연구 종합
실험
동에서 진화 성능을 테스트했다. 소화탄은 화약을 이용한 폭탄의 원리와 마찬가지로 폭발하는 힘을 이용해 순간적으로 소화약제를 멀리 퍼뜨린다. 소화탄 안에 있는 초음파거리센서는 실시간 고도를 파악해 ... ...
꿈의 반도체 물질? 그래핀으로 염색약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안에서 물질을 자유롭게 흘려보내면서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그래핀 터널 미니
실험
실을 개발하고 있다. 육 교수는 “최근 첫 번째 시험 모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며 “현재 몇 가지 문제점을 개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9월에는 스티브 그래닉 기초과학연구원(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장 ... ...
KAIST, 소유욕 만드는 뇌 신경회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8.03.15
전시각중추 신경회로가 소유행동을 나타내는 모식도 -KAIST 제공 동물의 소유욕에 영향을 미치는 뇌 신경회로가 발견됐다. 한국과학기술원(이하 KAIST) 연구팀이 뇌의 시상하부 중 일부 신경회로에서 먹이를 획득하려는 ‘소유욕’을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또 전시각중추신경을 활용해 동물 ... ...
스티븐 호킹은 왜 노벨상을 받지 못 했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3.14
입증하기 비교적 나았습니다. 조금 더 기다리면 호킹 박사의 주장을 입증할
실험
적 증거들을 얻을 수 있을까요? 그럴 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사후 수여의 형식으로 그의 공을 기릴 수 있을까요? 그럴 일은 없을 듯 합니다. 노벨상은 살아있는 사람에게만 주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
이전
694
695
696
697
698
699
700
701
7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