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억"(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 THE LOVE] 12년 만에 치른 과학고 중간고사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성질을 묻는 문제가 많이 출제된다. 문제 풀이보다는 개념 자체를 얼마나 명확히 기억하고 있는지가 관건이다. 머리를 쥐어짜 겨우 풀었다. 시간을 확인했더니 두 문제를 풀었을 뿐인데 벌써 20분이 지났다. 주어진 시간은 60분. 18문제 중 2문제를 푸는 데 시험 시간의 3분의 1을 써버렸다. 급한 마음에 ... ...
- 시스템반도체가 뭐기에? 3대 키워드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반도체 크게 두 가지로 구분된다. 메모리 반도체는 잘 알려진 것처럼 데이터를 저장하고 기억하는 장치다. 전원을 껐을 때 데이터가 그대로 남아있는지 날아가 버리는지에 따라 D램(또는 S램), 플래시 메모리로 나뉜다. 시스템반도체는 메모리가 아닌 비메모리 반도체에 속한다. 시스템반도체는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국제우주정거장의 첫 일본인 선장 와카타 고이치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만들어 쪄먹었고, 설에는 NASA 숙소에서 빌린 커다란 냄비에 떡국을 끓여 나눠먹었던 기억이 난다). 이후 학회나 우주인 행사에서 와카타 박사를 만날 때면 항상 러시아에서 만들어줬던 카레를 아주 맛있게 먹었고 고마웠다는 얘기를 했다. 그때마다 그는 요리에 소질이 없어서 간단하고 쉬운 요리를 ... ...
- 식물학자의 한국 우주인 도전기 한국형 SF소설 ‘중력’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우주에 다녀왔다. ‘중력’에서 작가가 밝히고 있듯, 우주에 다녀왔기 때문에 기억될 이름이라면 세계 최초의 우주인 유리 가가린이 사실상 유일할 것이다. 한국인에게 이제 우주란 아무도 가보지 못한 곳도, 그렇다고 누구나 가본 곳도 아니다. 그만큼 모두가 매력을 가질 만한 공간은 아닌 셈이다. ... ...
- [생각실험실] 순간이동을 하려다 문제가 생겼다! 누가 나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세포 하나하나 완전히 똑같고, 과거 기억마저 똑같이 지니고 있겠지요. 하지만 몸과 기억이 똑같아도 두 사람이 똑같은 사람일 수는 없어요. 나는 언제나 하나여야 하니까요. 그렇다면 크게 세 가지 답을 할 수 있을 거예요. 첫째, 부산에 남은 내가 진짜 나다. 둘째, 내 바람대로 서울로 복제된 내가 ... ...
- 영화 ‘맨 인 블랙’ 외계인 vs. 지구 생명체 능력 대결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로젠버그 vs. 톡소포자충 뇌에 침투해 숙주 조종 1편에 등장하는 보석상 주인을 기억하는가. 그는 사실 외계인이다. 엄밀히 말해 사람을 숙주 삼아 기생하며 조종하는 외계인이 침투한 사람이다. 그의 뇌 속에는 아퀼리안 종족의 왕자 ‘로젠버그’가 살고 있다. 영화에서 로젠버그는 10~15cm ... ...
- [6월의 수학자] 싫다 싫어 상도 명예도~ 필즈상 거부한 그리고리 페렐만수학동아 l2019년 06호
- 2006년 스페인에서 열린 세계수학자대회에서 한 수학자가 “문제를 풀었으면 됐지 상은 필요 없다”며 필즈상 수상을 거부했습니다. 수학계 노벨상이라 불릴 정도로 권위 ... 사라졌습니다. 행적이 묘연한 지금까지도 사람들은 뛰어난 수학자이자 괴짜로 페렐만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 ...
- 버스 공공 와이파이로 BTS 뮤비 틀어보니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메신저 이용에 공공 와이파이를 사용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누릴 수 있음을 기억해 달라”고 당부했다. ┼503번 노선 따라 와이파이 속도 측정해보니 대구 시내버스 503번 버스에 올라 처음 측정한 다운로드 속도는 26.19Mbps였다. 버스 기점에서 홀로 탑승해 측정한 덕분에 기대 이상의(?) ... ...
- 수학과 물리학을 잇는 다리를 건설하다수학동아 l2019년 05호
- 수학의 길로 가는데 용기를 북돋우길 바랍니다.” 거침없고 당당한 모습은 필자가 기억하는 수십 년 전 카렌 울렌백 교수의 모습 그대로였다. 변한 게 있다면 오랫동안 연구에 공헌한 세월로 더 강인해진 눈빛과 여성 수학자로 대면해야 했던 상황에서 단단해진 심지와 기세다.그런 울렌백 교수의 ... ...
- [가상인터뷰] 물고기, '거울 실험' 통과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사회성과 고객 관리 능력을 지녔어요. 100마리가 넘는 큰 물고기 즉, 고객을 구별하고 기억할 수 있지요. 또 단골보단 가끔 오는 고객에게 먼저 서비스를 제공해 고객을 늘려나갈 정도랍니다. 거울 실험을 통과했다며?우선 일본과 스위스, 독일 공동연구팀은 청줄청소놀래기를 거울이 설치된 수조에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