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날"(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인터뷰] 필요할 때만 “딱” 잠자리표 부목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플라스틱 부목을 만들고, 두 개의 판이 접히는 부분에 잠자리의 날개처럼 돌기가 튀어나오게 한 거야. 그리고 부목을 손목에 착용해 봤지. 평소처럼 손목을 자유롭게 움직이다가, 손목이 70° 정도 꺾이면 돌기가 맞물려서 손목이 더 꺾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했어 ... ...
- [기획] 사투리를 사랑한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있나요?저는 제주 사투리를 지키고 싶어요. 또, 전국의 지역에서 사투리가 되살아나는 날을 꿈꿔요. 그래서 2014년엔 ‘힘내라! 사투리’라는 음반도 냈지요. 이 음반엔 각 지역의 사투리로 작곡한 노래가 수록됐어요. 제주도 토박이가 허술한 솜씨로 전국의 사투리를 노래했는데, 이 노래를 들은 각 ... ...
- [이달의 과학사] 세계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발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그가 개발한 방법은 더 큰 로켓에도 적용되었죠.1969년, 인류가 달에 최초로 착륙한 다음 날 뉴욕 타임스는 고다드를 비판한 자신들의 기사가 틀렸다고 인정하는 정정 보도 기사를 냈어요. 고다드의 액체 로켓은 우주 시대를 여는 열쇠가 되었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보인다. 반복되는 경험이 단기 기억을 장기 기억으로 만들어요 신나게 놀다가 다음날 쪽지 시험이 있다는 사실을 깨닫곤, 막막한 기분이 든 적 있을 거예요. 그럴 때면 한 번만 봐도 머릿속에 딱 박히는 기억력을 가졌으면 하는 바람이 생기지요. 학습과 기억은 대뇌 안에 있는 해마가 담당하고 ... ...
- [한페이지 뉴스] 거시세계에서도 증명된 양자얽힘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두 알루미늄 조각을 이용한 실험으로 불확정성 원리를 피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 같은 날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양자역학의 주요 개념인 불확정성의 원리에 따르면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은 동시에 정확히 측정할 수 없다. 그러나 연구팀이 마이크로파로 한 조각을 진동시켰을 때 나머지 조각이 ... ...
- 기계학습 AI에 입력된 데이터로 결과를 예측해보자!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연립방정식의 기본 개념부터 AI에 적용되는 방식까지 잘 배웠지? 연립방정식으로 AI에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는 것만 알았어도 충분해! 그럼 지도형 기 ... 대략 1분당 197.1회로 거의 일치했답니다! 데이터를 통해 규칙을 찾아냄으로써 앞으로 일어날 상황을 예측할 수 있게 된 거죠 ... ...
- [매스크래프트] 혼잡도와 수송력으로 지옥철 탈출!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처음이다. 회사에서 게임을 하는 것이 조금은 눈치 보이지만 마크의 초고수가 되는 그날까지, 나는 달린다!경기도에 사는 퓨처킴에게 지하철은 떼려야 뗄 수 없는 교통수단입니다. 지하철을 타면 약속된 시간까지 서울로 빠르고 정확하게 갈 수 있기 때문이죠. 그런데 지하철을 타고 이동할 때 종종 ... ...
- [이달의 수학자] 존 내시수학동아 l2021년 06호
- 1928년 6월 13일은 실화를 바탕으로 한 이 영화의 주인공인 수학자 존 내시가 태어난 날입니다.존 내시가 발전시킨 게임 이론은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기 위해 가장 좋은 선택을 하는 방법을 수학적으로 분석한 이론입니다. 존 내시는 게임 이론 외에도 미분기하학, ... ...
- [진실 혹은 거짓] 수학으로 사건 해결! 거짓 법과 수학, 우리 친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사고가 7번 일어났는데 모두 더베르크가 근무한 날 발생한 거야. 간호사들은 늘 똑같은 날짜와 시간에 일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표를 바꿔 가며 일하기 때문에 의심스러울 수밖에 없었지. 결국 더베르크는 아이를 살인한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됐어. 재판부는 살인을 할만한 이유나 흉기를 발견하지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다른 집단의 소리를 들려줬어요. 벌거숭이두더지쥐는 같은 집단의 소리가 날 땐 소리가 나는 쪽으로 움직였지만 다른 집단의 소리에는 반응하지 않았어요. 다른 집단의 냄새를 풍기고 같은 집단의 소리를 들려줬을 때도 소리가 나는 쪽으로 이동했지요. 연구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사투리가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