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어린이
아동
아이
어린시절
시절
소아
유아
d라이브러리
"
어린
"(으)로 총 1,99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숫자 감각’ 생후 6개월에 결정?!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나무는 떡잎부터 알아본다는 속담이 있다. 그런데 수학적인 감각도 아주
어린
나이에 알아볼 수 있다는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듀크대 심리신경과학과 엘리자베스 브라논 교수는 숫자 감각이 좋은 아이는 생후 6개월에 그 특성을 드러낸다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에 발표했다.브라논 ... ...
미래의 선택, 통계로 결정한다!
수학동아
l
2013년 12호
게 뭐지?”
어린
왕자가 여우에게 물었어요.“선택은 여러 가지 길 중에 하나를 고르는 거야.”“하지만 어떤 길을 골라야 할지 모르겠는걸.”“어디로 가야할지 모를 때 높은 곳에 올라가 길을 살펴보잖아. 인생의 길에선 통계가 이런 역할을 해. 이참에 통계를 공부해 보는 건 어때?”선택의 ... ...
SF단편 양자의 아이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어리니까. 적이 20배 더 많아도 우린 포기하지 않을 거야.”정부군의 총은 노래 그대로
어린
강아지 가브로쉬를 노리지 않았다. 가브로쉬는 탄약가방을 주섬주섬 모으면서 노래를 이어갔다.“미리 도망치는 게 좋을 거야. 강아지가 자라서 개가 되면 너희들을 물어버릴 테니까.”그리고 가브로쉬의 ... ...
어른인데… 나도 혹시 ADHD?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때 ADHD 환자를 수없이 봐왔다. 성인 ADHD에 대한 인식이 낮을 때였으므로 환자는 대부분
어린
이와 청소년이었다. 하지만 최근 스트레스에 대한 연구를 하면서 생각이 달라졌다. 성인도 ADHD에 취약하며 어릴 때 ADHD를 겪지 않고도 순전히 현재의 스트레스만으로도 증상을 겪을 수 있다는 사실을 알게 ... ...
포경수술 좋다 vs 나쁘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없는 한 포경수술을 하느냐 마느냐는 개인이 선택해야 할 문제”라며 “한다면 너무
어린
나이를 피해 사춘기 이전에 하는 게 가장 적당하다”고 말했다.어쩌면 이렇게 계속 논란이 끊이지 않는 이유는 포경수술을 해서 딱히 크게 체감할 정도로 얻을 것도 잃을 것도 없기 때문이 아닐까. 그렇다면 ... ...
‘살인 진드기’와의 인터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최대 10㎜까지 커지지. 또 유충일 때부터 사람이나 동물에 달라붙어 피를 빨아먹으니
어린
개체라고 무시하면 큰 일 난다오.우리는 바이러스뿐 아니라 다른 세균도 옮긴다오. 하지만 가장 큰 병은 역시 SFTS지. 2009년부터 중국에서 환자 수백 명이 발생한 데다, 올해는 일본에서도 사망자가 나왔다오.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줄 거예요. 소통을 위해 노력하다 보면 미래 우리 기술도 더 발전할 거라고요. 그리고 ‘
어린
이과학동아’를 읽고 있는 여러분도 저 몽이처럼 주변의 동물과 생각과 느낌을 나눠 보세요. 이렇게 동물언어에 따뜻한 관심을 갖고 세상을 보면 주변의 동물이 더 아름답게 느껴질 거예요. 그리고 동물과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스타일인 그는 넘쳐나는 책 무더기를 마다하지 않고 끊임없이 읽어댔다.정 교수는 이런
어린
시절의 경험이 연구자로서 지금의 자신을 만들었다고 단언했다. 어려서부터 다양한 운동을 접하면서 운동의 즐거움을 알고 아직도 계속 하면서 밤새워 연구할 수 있는 체력이 다져졌고, 닥치는대로 읽었던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삶을 살아왔을까. 부품가공업 하던 부친 영향 어릴 적부터 공학, 기계 제작 관심 많아 “
어린
시절엔 아버지가 공장을 운영하셨어요. 집에서 자주 도면을 펼쳐 놓고 일을 하셨고, 기계장치도 굉장히 여러 종류가 있었습니다. 알게 모르게 그런 영향을 많이 받은 게 아닐까 싶어요.” 이 단장은 왜 ... ...
좋아하면서 동시에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직업으로 삼아라 (노준용 KAIST 교수)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있다. 그는 “지금 개발하고 있는 기술이 나중에 빛을 발하면 부자가 될 수도 있으니
어린
시절 꿈을 포기한 건 아니다”라고 말하며 웃었다. 실제로 미국에서는 교수가 사업을 운영하거나 투자해 큰돈을 버는 사례가 많다.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이와 비슷한 추세로 가고 있다.최근 노 교수가 개발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