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불화살을 쏘아 올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일이?비가 너무 많이 와서 불이 안 붙는다? 제갈량은 화살에 불을 붙인 뒤, 남동풍을 이용해 북서쪽에 있는 조조군 진영으로 화살을 쏘아 보내려는 전략을 세웠다고 꿀록 탐정에게 설명했어요. 하지만 비가 너무 많이 와서 화살에 불이 도통 붙질 않았죠.“이 비가 계속되면 조조군이 반격을 할 것 ... ...
- [현장취재] 세상을 구하는 착한 화학 마을 발명가, 오염된 강물을 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딥스틱 판독기를 넣어 ‘마을랩 수질검사기’를 만들었어요. 마을랩 수질검사기를 이용하면 마을 주민은 강물의 수질을 검사하고, 검사한 정보를 바로 지도에 올려 수질 오염 상태를 다른 지역 사람들한테 널리 알릴 수 있어요. 그 결과 시민 사회가 잘 몰랐던 강물의 오염 상태를 인지해서 깨끗한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편하게 누벼라! ‘자동 레일 설치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5호
- y좌푯값이 ‘-1’이에요. 두 번째 레일 코스 만들기 ‘선 모양 만들기’ 명령블록을 이용해서 레일의 코스를 만들어 볼게요. ➊ 레일을 x방향(동쪽 방향)으로 만든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해 채팅명령어를 ‘x’로 약속해요.➋ ‘+’를 눌러 변수 ‘num1’을 추가하세요. ‘num1’은 레일의 ... ...
- 그림자로 요술을 부려봐!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5호
- 해보며 코냥 못지않은 그림자 전문가가 되어봐요!준비물은 손과 조명뿐!손 그림자를 이용해 토끼와 황소를 만들어보세요. 어두운 방에서 손전등이나 스마트폰 플래시 등 조명이 벽을 향하도록 고정한 뒤 불빛 앞에서 손을 움직여 보세요. 그림자의 크기를 똑같이 만들자!서로 다른 두 물체의 ... ...
- [출동, 수학 히어로! 슈퍼M] 가장 빠른 미끄럼틀은 무엇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멋진 경치를 둘러본 다음, 계단이나 엘리베이터로 내려가는 것보다 미끄럼틀을 이용하면 더 재미있겠다는 생각으로 터널 미끄럼틀인 ‘더 슬라이드’를 만들게 되었다고 해요. 더 슬라이드의 길이는 무려 178m나 된답니다. 터널 미끄럼틀이기 때문에 바깥으로 튕겨 나갈 위험이 없어 안전해요. 무려 ... ...
- [과학 뉴스]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 2차 발사 성공!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이 인공위성은 부피가 1L보다도 작은 ‘큐브 위성’들을 내보낼 예정입니다. 큐브 위성을 이용하면 지구의 대기 상태 등을 알아낼 수 있어요.과학기술정보통신부 이종호 장관은 “앞으로 누리호 개발의 경험을 바탕으로 성능이 향상된 우주발사체를 개발해 우리나라의 위성 발사 능력을 더욱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4호
- 세상엔 신기한 일들이 진짜 많고 궁금한 일들도 많아요. 그런데, 왠지 친구들도 선생님도 모르고, 유튜브를 뒤져봐도 답이 안 나올 것 같은 질문이 있다고요? 주저 ... 줄임말로 대표적인 스톡 포토 사이트입니다. 이외에도 어과동은 ‘셔터스톡’ 등 다른 사이트를 이용하기도 한답니다 ... ...
- [특집] ‘점’ 하나로 눈을 속여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소실점이 두 개일 땐 사물의 모서리가 툭 튀어나온 것처럼 강조돼 보여요. 소실점을 이용해 평평한 그림에 입체감을 주는 기법을 ‘원근법’이라고 해요. 우리가 눈으로 볼 때 멀리 있는 사물을 작게 보이도록 그리고, 가까이 있는 사물을 크게 보이도록 그리는 거예요. 사물의 높이와 사물 간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0화. 행성공장의 유령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어떻게 숨을 쉬나요?”딱지가 물었습니다.“그래서 공사 중에는 ‘대기조절기’를 이용해 산소를 만들어요. 유령이 나타나는 곳이 바로 그곳이랍니다. 그것 때문에 공사에 어려움이 있어서 큰일이에요.”얼마 뒤 셔틀 창밖으로 거대한 피라미드 모양의 건물이 나타났고, 셔틀은 건물 근처에 ... ...
- [특집] 꼭꼭 숨어라~ ‘평행선’ 보일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4호
- ‘아무리 길게 늘여도 절대 만날 수 없는 직선’이라고 정의★했어요. 그런데 원근법을 이용한 그림에서는 두 개의 평행한 직선이 소실점이라는 한 점에서 만나지요. 마그리트는 이렇게 평행선이 미술 속에서는 만날 수 있음을 표현한 거예요. 이 작품 역시 창문 안쪽의 캔버스와 창문 밖 바깥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