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쪽"(으)로 총 6,76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재│산을 가르고 바다와 섞이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있는 산지하천이 주를 이룬다”고 말했다.산지하천을 세로로 잘라 보면(종단면) 상류 쪽에서 급격하게 하상고도(하천 바닥의 해발고도)가 하강하고 곳곳에 분지 형태의 평탄면이 나타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009년 박수진 서울대 지리학과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남한강 본류 시작지점(분계선 ... ...
- [막내기자의 과학실험실] 펠티에 소자로 만드는 작고 소중한 에어컨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부분과 흡수하는 부분을 양면에 분리한 것이 펠티에 소자입니다. 전류를 흘려주면 한쪽 면(발열부)의 온도가 높아지고 반대편(흡열부)의 온도는 낮아집니다. 펠티에 소자는 커피 한 잔 값이면 인터넷에서 손쉽게 살 수 있습니다. 냉각팬과 방열판도 두 개씩 준비합니다. 펠티에 소자가 만드는 열과 ... ...
- [특집] 얼음 어벤저스, 더위를 꽁꽁 얼려라! 프로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dl.dongascience.com/magazine/view/N202107N002+ 놀이북 4쪽과 함께보세요! 여름왕국을 시원하게 만들어 줄 얼음 어벤저스가 왔다! 얼음 캐기 전문가 크리수도프, 마법의 얼음공주 엔사, 얼음 왕국의 왕 안다, 마음 따뜻한 눈사람 올나프와 함께 시원한 얼음의 세계로 “인투 디 언노운~!” ▼ 이어지는 기사를 ...
- 네모가 여섯 개 모이면? 상자 모양 직육면체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놀이북6쪽과 함께 보세요! 주변을 둘러보세요. 네모난 방 안에 있는 네모난 침대, 네모난 교과서, 네모난 교실.... 공통점은 바로 직사각형 6개로 둘러싸여 있다는 점이에요. 이걸 ‘직육면체’라고 부르지요. 오늘은 직육면체의 특징을 알아볼까요?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7화. 이건 악몽일 거야! 불가능한 방 탈출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몇 미터밖에 되지 않아 딱지는 조심스럽게 움직였습니다. 대략 100m 정도 움직였을까요. 앞쪽에서 뭔가 불빛을 반사했습니다. 딱지는 천천히 다가가 자세히 살펴봤습니다. 동굴 입구에 있던 막과 비슷해 보였습니다.그때 통신기에서 프로보의 목소리가 들렸습니다.“여기는 프로보. 다들 괜찮은 건가 ... ...
- 맛있는 젤리가 가득! 젤리 상자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 본책28쪽, 놀이북23쪽과 함께 보세요! 직육면체 전개도를 이용해 간식 상자를 직접 만들 수 있어요. 놀이북 23쪽의 도안에 직접 그림을 그린 뒤 자르고 접어서 나만의 간식 상자를 만들어 봐요. 준비물은 색연필과 가위, 풀만 있으면 돼요. 4 ...
- [헷갈린 과학] 부는 방식에 따라 다르다! 금관악기VS목관악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일반적으로 구멍을 모두 막으면 진동의 파장이 길어서 낮은 음이 나요. 입술에서 먼 쪽부터 하나씩 구멍을 열면 진동의 파장이 점점 짧아지면서 점점 높은 음이 납니다. 소리를 내는 것도 금관악기보다 비교적 쉬워요. 바로 악기 소리를 내도록 도와주는 ‘리드’ 덕분이지요. 리드는 입술을 대는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 중력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장력으로 고정하고 있어요. 그리고 삼각형의 꼭짓점마다 매달아 둔 실이 삼각형을 한쪽으로 쓰러지지 않고 균형을 이루도록 당겨주고 있답니다. 그러니 텐세그리티를 잘 만들려면 짧은 실이 장력을 받도록 꼭 팽팽하게 이어 주세요! ● 한걸음 더! 텐트부터 로봇까지 모두 텐세그리티!마냥 ... ...
- [SF소설] 랄로랑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없었던 거지.”세희의 손목에서 시계가 진동했다. 세희는 시계의 태엽을 다시 감으며 서쪽 지평선을 바라봤다. 태양은 이미 가라앉아 이젠 눈이 부시지 않았다.“소요, 저길 봐.” 세희가 말했다. 군청색 하늘에서 작은 별 하나가 연달아 섬광을 터뜨리며 움직이다가 길고 가느다란 궤적을 그리고는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않았어요. 다른 집단의 냄새를 풍기고 같은 집단의 소리를 들려줬을 때도 소리가 나는 쪽으로 이동했지요. 연구팀은 벌거숭이두더지쥐의 사투리가 유전이 아닌 문화적인 학습을 통해 전해진다고 설명했어요. 갓 태어난 벌거숭이두더지쥐를 다른 집단에 넣어둔 결과, 6개월 만에 그 집단의 사투리를 ... ...
이전6566676869707172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