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뉴스
"
거대
"(으)로 총 1,485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방감초' 스타틴의 재발견
2020.06.02
스타틴은 약물에 의존하는 현대 의학의 어두운 면을 상징하는 존재가 됐다. 그러나
거대
제약회사가 아무리 막강한 로비를 펼치더라도 보건당국이나 의사, 환자가 바보가 아닌 다음에야 효과는 미미하고 부작용이 큰 약물이 30년 넘게 확고하게 자리를 지킬 수는 없었을 것이다. 머지않은 미래에 ... ...
NASA의 격리 전문가가 전하는 코로나19 대응은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목성 탐사선 ‘주노’는 명령을 주고받는 데만 45분 정도 걸린다. 목성의 형성 과정과
거대
가스행성의 특성을 탐사하기 위해 2016년 목성에 도착한 주노는 53일에 한 번 목성의 극지 위를 지나가며 자기장과 대기, 내부 구조에 관한 정보를 모은다. 4월 10일 주노의 25번째 목성 궤도비행은 사회적 ... ...
원안위 “연구용원자로 ‘하나로’ 자동정지는 실험시설 SW 오류”
동아사이언스
l
2020.05.29
낮춘 냉중성자의 산란 특성을 활용해 재료과학 전반의 기초·응용연구, 고분자 또는
거대
분자 연구 및 생물학 연구 분석도구로 사용하는 실험시설이다. 원안위는 사건조사, 원인분석 및 사업자 조치사항 안전성 확인을 거쳐 2019년 11월 22일 원안위 보고 및 11월 26일 재가동을 승인했다. 이에 ... ...
상어를 살린 여자
팝뉴스
l
2020.05.26
제공 상어 한 마리가 물밖에 나와 있다.
거대
하지는 않지만 1미터가 넘는다. 물리면 사람이 크게 다칠 수도 있다. 그런데 놔두면 상어가 죽을 상황이다. 한 여자가 급히 달려와 상어를 끌고 뒷걸음친다. 상어는 몸을 이리저리 비틀어보지만 여자가 빠르고 힘이 세다. 여자는 상어를 ... ...
[프리미엄리포트]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
2020.05.23
고에너지 핵물리학을 연구하고 있다. 미국의 상대론적 중이온 가속기(RHIC)와 유럽의
거대
강입자 가속기(LHC)에서 각각 피닉스(PHENIX) 실험과 앨리스(ALICE) 실험에 참여하고 있다. ※관련기사 어린이과학동아 10호(5월 15일 발행) [헥!헥! 핵물리학자] 너넨 우주를 보니? 핵물리학자는 우주를 만든다! ... ...
약 520광년 밖 젊은 별 주변서 행성 형성 첫 직접 증거 포착
연합뉴스
l
2020.05.21
장면을 관측해 학술지 '천문학 및 천체물리학'(Astronomy & Astrophysics)에 발표했다. ESO의 '초
거대
망원경'(VLT)에 장착된 분광-편광 특수카메라인 '스피어'(SPHERE)로 잡은 이미지에는 나선팔이 연결된 부분이 선명하게 드러나 있다. 이 부분에서 행성이 형성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이처럼 분명한 이미지가 ... ...
코로나19로 깨끗해진 한반도 모습, 천리안2B호가 찍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1
수행한다. 10월 중 대기환경 관측 첫 영상을 공개할 예정이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거대
공공연구정책관은 “천리안위성 2B호가 지난 3월 목표 정지궤도에 안착한 후 기대 이상의 해양관측 초기 영상을 보내오는 등 모든 기능이 정상동작하고 있다”며 “천리안위성 2B호의 해양 및 대기환경 관측 ... ...
[프리미엄 리포트]허블우주망원경, 30년의 대기록
과학동아
l
2020.05.09
Quasar)도 발견했다. 퀘이사는 블랙홀이 주변 물질을 흡수하는 에너지에 의해 형성되는
거대
한 발광체로, 그 중심에 무거운 블랙홀이 자리잡고 있다. 발견된 퀘이사의 정식 명칭은 ‘J043947.08+163415.7’이다. 밝기는 태양의 600조 배다. ● 법칙 Law 허블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처녀자리 은하단(오른쪽). ... ...
[인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동아사이언스
l
2020.05.08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거대
공공연구정책관 이창윤 △과학기술일자리혁신관 권석민 △지식재산정책관 김정삼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새로운 미래
2020.05.07
정부도 대학도 학회도 학술출판사도, 이런 변화를 원하지 않을 것이다. 과학자사회는
거대
한 합의를 이루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과학자사회는 무너지게 될 것이다. 왜냐하면 현재의 과학생태계는 결코 지속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과학자라면 대부분 바람직한 학술출판 시스템을 머릿속에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