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313건 검색되었습니다.
북한 드론에 '화들짝'...전문가들 "한반도 전역 들여다볼 수 있어"
동아사이언스
l
2023.01.13
기술과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을 접목해 항로를 설정하거나 위성 통신을 활용해 원
거리
에서 드론을 조종하는 것이다.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는 거의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 약 1초의 지연이 생길 뿐 빠르게 조종이 가능하다. 김 소장은 “드론으로 한국 전역을 들여다 볼 수도 있다”고 말했다. ... ...
전기차 주행
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양극 소재인 코발트, 니켈, 망간, 철 등 산화물은 용량 증대 한계치에 도달해 전기차 주행
거리
를 늘리기 위해서는 새로운 양극 소재를 개발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엄 교수팀은 리튬이 존재하지 않는 리튬-프리 소재인 바나듐 산화물을 양극 소재로 사용해 기존 배터리 대비 약 1.5배의 용량을 ... ...
과학자가 분석한 중국 상황..."중국 백신 효능 떨어져 사망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공개했다. IHME 연구팀도 지난해 12일까지 중국 코로나19 통계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거리
두기가 환자 급증을 억제하고 4월까지 사망자 수를 10만명 이상 줄일 수 있다고 예측했다 ... ...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2023.01.07
관측하는 현미경이다. 김 대외협력팀장은 “STM으로 원자를 관측하는 건 서울에서 부산
거리
정도의 긴 막대기로 공 하나를 굴리는 것만큼이나 정교한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 다채로운 기분을 가진 입자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정밀한 STM 관측에 몰두하는 이유는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 ...
186년 전통 농업대기업이 위성 산업에 뛰어든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3.01.07
’에서 완전 자율농업이 가능한 트랙터를 공개하기도 했다. 360도 장애물 감지와
거리
계산이 가능한 6쌍의 스테레오 카메라를 장착한 트랙터로 0.1초 안에 장애물을 감지해 트랙터에 장착된 쟁기나 끌의 움직임을 결정한다 ... ...
정점 치닫는 독감 유행…政, 감기약 판매 제한 보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시작되면 유행 추세가 꺾이는 만큼 1월에 유행이 정점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다.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실시됐던 2020~2021절기, 2021~2022절기를 제외한 이전 겨울을 보면 대체로 12월 마지막 주에서 1월 초중순 사이에 독감 유행이 정점을 기록했다. 이어 최근 제기된 '중국 보따리상의 감기약 사재기' ... ...
WHO "중국 코로나 사망자 수 축소…정확한 통계 공개 촉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5
바 있다. 미국 워싱턴대 의대 산하 보건계량분석연구소(IHME) 연구팀은 중국이 사회적
거리
두기를 강화하지 않으면 올해 4월까지 50만 명, 2023년 100만 명이 사망할 것으로 추산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교육 개혁'
2023.01.04
비롯된 주장이다. 미래 지향적인 디지털 교육이나 난마처럼 뒤엉킨 교육 현안과는
거리
가 먼 대통령의 답변은 단순하고 명쾌한 만큼 논란의 여지도 많은 것일 수밖에 없었다. 복지 차원에서의 교육 서비스에 대한 주장은 생뚱맞기 때문이다. 초등학교·중학교의 의무교육이 오래 전부터 정착되어 ... ...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두번째 비행시험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고체연료 추진 우주발사체 2차 비행시험이 성공한 이튿날 북한은 동해상으로 단
거리
탄도미사일(SRBM)을 3발 발사했다. 이번 시험성공에 맞대응한 움직임이란 분석이다. 합동참모본부는 "우리 군은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 ...
[일상 속 뇌과학] 운동이 어떻게 뇌기능을 좋게 할까
2022.12.30
실험자인 ‘사람’이 4주 동안 낮밤이 바뀐 생활을 해야 했다. 이 두 학생은 가뜩이나
거리
가 먼 대학에 소속되어 있는 대학원생이어서 수업과 실험을 병행하려면 정신없는 시간들을 보낼 수 밖에 없었다. 당연히 연구 활동도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연구 초기 시절 이 중 한 학생이 가끔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