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정
공명정대
공진
정직무사
합치
공감
반향
뉴스
"
공명
"(으)로 총 760건 검색되었습니다.
거짓말만 하면 딸꾹질 ‘피노키오 증후군’ 진짜 있나?
2014.11.23
이를 극복하기 위해 과학자들은 거짓말을 할 때 뇌의 변화를 직접 측정하는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기술에 주목하고 있다. 특정 순간에 뇌 혈관 속의 산소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핵심이다. 다만 법정은 과거 거짓말 탐지기가 그랬듯이 fMRI를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경험적 검증을 거쳐야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연구들과 일치하는 결과다. 3일 뒤 피험자들은 두 번째 테스트를 받았다. 즉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 속에 들어가서 지난번 자신들이 말한 긍정적인 기억과 중성적인 기억들을 차례로 떠올렸다. 데이터를 분석하자 행복한 기억을 떠올릴 때 뇌의 선조체와 내측전전두엽피질이 더 활발히 ... ...
피 한 방울로 알츠하이머 치매 진단
2014.11.06
파괴되면서 기억이 지워지는 것이다. 지금까지 치매를 진단하려면 문진법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 촬영 등 복잡한 방법이 필요했다. 연구진은 베타아밀로이드가 ‘LRP1’이라는 단백질을 통해 뇌에서 혈액으로 이동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생쥐에게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일으키기 위해 ... ...
스마트폰 동시 사용, 인지·감정조절능력 손상시킨다
2014.09.25
밝힌 것은 아니기 때문에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로 확인한 결과, 미디어 멀티테스킹을 많이 할 수록 뇌의 회백질(흰색 점)의 밀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 다. - Plos One ... ...
[연구실에서 시장으로(下)] 좋은 아이디어, 좋은 기술이 ‘차세대 먹을거리’ 의료 시장 이끈다
2014.09.25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현재 뇌졸중을 진단하려면 컴퓨터단층촬영(CT)이나 자기
공명
영상(MRI)장치와 같은 대형 장비를 써야한다. 이 과정에 시간이 많이 허비돼 환자가 뇌 이상 증상을 보이더라도 진단이 늦어 치료 타이밍을 놓치는 경우가 적잖다. 배 교수팀이 개발한 장비는 환자의 머리에 ... ...
포기하지 않는 사람의 뇌는 다르다
2014.09.05
포기하기 쉬워진다. 연구팀은 게임을 하는 동안 뇌에서 일어나는 반응을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로 확인했다. 그 결과, 포기하지 않은 학생들의 뇌에서는 배측선조체와 복내측시상하핵 전전두엽 피질 부위의 활동성이 줄어들었다. 배측선조체는 시행착오를 통해 무언가를 배우는 것과 ... ...
행복의 크기를 예측하는 방정식이 있다?!
2014.09.01
대해 0부터 10 사이의 수로 답하도록 했다. 그리고 실험을 진행하는 동안 기능성 자기
공명
영상(fMRI) 촬영을 통해 이들의 두뇌 활동 변화를 측정했다. < 분석 결과, 사람들이 순간순간 느끼는 행복의 크기는 실제로 받는 돈의 액수가 아니라, 자신의 기대치보다 얼마나 많은 보상을 받는지를 기준으로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자극하면서 해마와 기능적으로 가장 잘 연결된 뇌 부위가 어딘지를 찾기 위해 기능성자기
공명
영상(fMRI) 장치로 확인했다. 그 결과 머리 왼쪽 뒷부분을 자극했을 때 해마와 뇌 피질을 잇는 부분의 신경 연결이 가장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16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사람마다 수 cm의 차이는 ... ...
아기가 ‘폭풍 성장’ 못하는 이유 분석해보니
2014.08.26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쿠자와 박사팀은 양전자 방출 단층촬영(PET)과 자기
공명
영상(MRI) 촬영을 이용해 사람의 뇌가 소비하는 포도당의 양을 측정했다. 그 결과 4~10세 어린 이의 뇌가 소비하는 포도당의 양은 성인보다 더 많았다. 특히 5세 아이의 뇌에서 소비하는 포도당의 양이 가장 ... ...
게임으로 난치병 치료할 수 있을까
2014.08.26
환자 27명에게 12주 동안 스키 등 스스로 자세를 잡아야 하는 게임을 하게 한 뒤 특수 자기
공명
영상(MRI) 촬영을 이용해 뇌에서 일어난 변화를 조사했다. 그 결과 뇌에서 신체 균형과 움직임을 담당하는 부위의 연결망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 검사에서도 균형 감각이 향상된 것으로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7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