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치
정리
배합
정돈
순서
배포
병치
뉴스
"
배열
"(으)로 총 716건 검색되었습니다.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그래핀은 육각형 구조의 탄소 원자들이 평면에
배열
된 물질인데, 그동안 얇은 막이나 단순히 뭉친 형태로만 만들 수 있었다. 이번 연구는 튜브 모양이면서 물성까지 뛰어난 3차원 소재로 만드는 데 성공해 주목 받고 있다. 연구진은 약산성 용액 속에 ... ...
유리가 빛·오염물질 ‘스스로 차단’ 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광촉매 필름은 기존 겔 이산화티타늄 필름보다 효율이 3배나 높았다”며 “나노선을
배열
할 때 도장처럼 찍어낼 수 있는 기술인 ‘나노임프린트 기술’을 이용해 한번에 대면적 광촉매 필름을 만들수도 있다”고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나노분야 권위지 ‘나노스케일’ 1월 7일자 표지논문으로 ... ...
유기용매를 버리고 빛을 맞으니 청정고분자 되네
동아사이언스
l
2014.01.12
반복된 구조인 ‘헤링본 패턴’을 만든 것이다. 원료 분자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
돼야 빛을 쪼이면 고분자로 쉽게 합성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자외선을 쬐여 금속초분자 중간체가 고분자가 되는 반응. 왼쪽의 금속초분자에 자외선을 쪼이면 오른쪽의 유기고분자가 생성됐다. - ... ...
어린이과학동아 명예기자만이 누릴 수 있는 특별한 혜택 8가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1.11
다섯 명씩 열 개 조로 나누어 조별로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아 기사를 쓰고 사진을
배열
해, 직접 신문을 만들었다. 기자 역할을 맡아 직접 기사를 작성한 성남초 조성빈 명예기자는 “친구들과 함께 힘을 합쳐 신문을 완성해 뿌듯했다”고 소감을 말했다. 편집장 역할을 맡아 기사 주제와 진행 ... ...
[대전/충남]이대생 예술작품이 KAIST에 전시된 이유는…
동아일보
l
2013.12.17
나열돼 있다. 시곗바늘이 여러 개인 건 ‘시간의 압박’을, 시곗바늘의 무질서한
배열
은 ‘정리되지 않는 현대인의 삶’을 나타낸다. 시곗바늘의 멈춰 섬은 잠시 숨을 고르고 주위를 돌아보자는 작가의 제안이다. 대전 유성구 KAIST 교내 KI빌딩에서 13일 막이 오른 ‘이대 美 in KAIST’의 이화여대 ... ...
낡은 아파트 층간소음 문제 해결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핵심 아이디어다. 메타물질은 음파나 전파보다 크기가 작은 물질 구조를 나란히
배열
해 넓은 판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음파나 전파가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기 때문에 스텔스 기능을 갖춘 잠수함이나 전차 등을 개발할 때 자주 이용하는 첨단기술이다. 연구진은 우선 저주파 층간소음을 ... ...
병약한 신생아는 다 ‘아빠’ 탓!
동아사이언스
l
2013.12.11
이용해 특정 물질을 확인하는 ‘면역염색’, 해부학적 구조 분석, DNA를 질서정연하게
배열
한 칩을 이용해 유전자 발현을 알아보는 ‘DNA 마이크로어레이’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해 수컷 쥐와 새끼 쥐를 분석했다. 연구팀은 “엽산을 적게 섭취한 수컷의 정자수 변화나 체세포 이상은 없었지만 ... ...
요술인가, 마법인가…최첨단 프린팅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3.12.04
모양으로 프린팅되는 것. 키 교수는 “태양 전지판과 같이 비슷한 형태가 반복적으로
배열
돼야 작동할 수 있는 장치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말했다 ... ...
초고속 光컴퓨터? ‘나노레이저’가 해답
동아사이언스
l
2013.12.03
분의 1m) 크기의 나노빔 아래 수십~수백nm (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너비의 미세기둥을
배열
함으로써 나노레이저에 전류를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이를 위해 연구진은 미세기둥의 위치와 크기를 조절하기 위해 10nm단위까지 제어할 수 있는 최첨단 반도체 기술인 ‘전자빔 ... ...
정자(精子) 추적, 나노입자에게 맡겨봐
과학동아
l
2013.12.01
수~수십nm인 나노입자를 만들었다. 이 입자는 표면에 미세한 육각형 형태로 구멍이
배열
돼 있는데(왼쪽 사진), 이 구멍에 단백질이나 핵산 등의 생체 물질을 결합시킬 수 있게 설계됐다. 연구팀은 입자의 구멍에 형광 물질을 넣은 뒤 살아 있는 정자가 들어 있는 용기에 넣고 관찰했다. 그 결과 정자 ... ...
이전
65
66
67
68
69
70
71
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