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문학
까닭
원인
영어
d라이브러리
"
영문
"(으)로 총 3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5년간 성장한 왓슨 vs 제퍼디 퀴즈 영웅
수학동아
l
201102
1978년 1월 31일출생지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랭커스터 카운티.학력 미국 존스홉킨스대
영문
학 전공 중 그만둠.직업 배우 또는 진행자 지망생.특이사항 지역방송국에서 고등학생을 위한 퀴즈쇼 진행.경력 제퍼디 최고 누적 상금 기록(약 36억원). 제퍼디 우승자 토너먼트에서 3년 연속 우승.똑똑한 ... ...
여의도초등학교 MIE 수업 탐방 스케치
수학동아
l
201101
직접 찾아가 수학동아 기사를 활용한 수업을 했어요. 잡지를 활용한 수업이라는 뜻인
영문
‘Magazine in Education’의 약자로 MIE라고 불러요. MIE 수업은 수학동아에서 처음 시도한 수업이에요.여의도초등학교와 함께한 MIE 수업은 방과 후 수업을 이용해 이뤄졌어요. 3~4학년으로 구성된 한 학급, 그리고 5~ ... ...
통합적 사고로 명품 배 디자인한다
과학동아
l
201101
하지만 우리들은 ‘선박공학(navalarchi tecture)’이라고 불러줬으면 합니다. 선박공학의
영문
명칭에도 ‘엔지니어링(engineering·공학)’이란 단어가 들어가지 않아요. 통합적인 학문이란 의미죠.”이 교수는 선박공학을 전공하려면 ‘종합적인 사고력’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배를 잘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변형한 것이었다. 1977년에는 보스와 함께 도처에서 발견한 아이디어를 숙성시켜
영문
판 ‘프랙탈’을 내놨다. 프랙탈의 히트 요소, 컴퓨터와 시각화프랙탈은 사람들의 마음을 바로 사로잡지는 못했다. 학계의 반응은 여전히 싸늘했고, 일반인들의 흥미를 끌지도 못했다. 그런데 여기서 그가 ... ...
바르바리 해적
수학동아
l
201011
정도 실력이면 금세 풀 수 있을거야. 도형아~, 도형아. 꼭 풀어야 한다.”도형은 어찌 된
영문
인지 알 수 없었지만 일단 퍼즐을 풀어 본다.“1부터 9까지의 숫자 열쇠를 상자에 모두 넣을 수는 없을 것 같고, 이 중 몇 개만을 골라 넣어야 하니까…. 상자 바닥에 새겨진 무늬 개수에 맞게 열쇠를 ... ...
위험할 땐 통돌이 로봇 불러주세요
과학동아
l
201008
이용해 물에 빠진 사람에게 구명도구를 떨어뜨려 주는 시범을 선보였다. 로봇의
영문
이름은 ‘TDL40’이다. 통돌이의 머릿글자를 따서 지은 이름이다.이 로봇은 헬리콥터처럼 회전식 날개(로터)로 하늘을 난다. 직경 40cm의 원통형 구조로 사람이 팔로 안아 올릴 수 있을 만큼 작다. 통돌이는 이전 ... ...
진화론은 정말 ‘최종 이론’일까
과학동아
l
201007
설명한다.최재천 교수와 함께 국내 사회에 ‘통섭’ 논쟁을 불러온 도정일 경희대
영문
학과 명예교수는 엄정식 교수와는 입장이 다르다. 도 교수는 “오늘날 많은 인문학 분야가 ‘진화론’으로 대표되는 생물학적 발견을 참조하지 않고서는 진행이 되지 않는 수준에 이르렀다”고 주장한다. ... ...
나만의 발명 어떻게 지킬까
과학동아
l
201005
있는 그림을 스캔해서 JPG파일로 첨부한다. 발명의 명칭을 적고 그 뒤 괄호 안에
영문
이름을 넣거나, 그냥 점만 찍어도 된다. 이 밖에 기술 분야, 배경 기술에는 발명하게 된 동기를 자세히 적는다.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에는 발명의 목적을 적고, 과제의 해결수단에 아무 내용이나 한 줄만 써도 된다. ... ...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04
관측의 정확성을 떠나 누구나 쉽게 별자리를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포켓유니버스의
영문
메뉴가 부담된다면 ‘스타워크’를 추천한다. IYA2009가 인정한 응용프로그램으로 100% 한글을 지원한다. 증강현실 기능만 빼고는 포켓유니버스 수준의 정보와 기능을 담고 있다.일반인이 쉽게 과학을 접할 수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04
협력하는 유일한 기회라고 여긴 이 교수는 NASA 담당자에게 연락해 국내에서 발간된
영문
학술지를 등록했다. 거대 망원경이 전무한 상황에서 선진국의 최신 논문을 확보하는 것이 연구의 최대 관건이었다. 취재가 끝난 뒤 며칠 후 이 교수는 은하와 은하 사이를 떠돌아다니는 구상성단 무리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