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혈족
핏줄
친족
피붙이
살붙이
겨레
혈족 관계
d라이브러리
"
혈연
"(으)로 총 80건 검색되었습니다.
04. 유전자 부실하면 몸조심해 살아 남는다
과학동아
l
200405
환경의 영향은 미미하다. 양부모와 입양아의 상관관계는 고작 4%이고 한 가정에서 자란
혈연
관계가 없는 입양아들 사이는 1%에 불과하다. 반면 다른 가정에 입양된 일란성 쌍둥이들은 여전히 72%의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그렇다면 비만 유전자를 갖고 있지 않은 사람은 안심해도 될까. 실망스럽게도 ... ...
뉴기니와 아즈텍의 엽기적 식인 풍습
과학동아
l
200308
수많은 토템 중 어떤 것들은 식인 행위의 또다른 예를 제공한다. 토템이란 특정 집단의
혈연
적 조상이 되는 동물이나 식물을 일컫는다. 이를테면 우리나라 민족의 토템은 곰이 된다. 그런데 어떤 토템 사회에서는 조상 숭배 의례를 지내면서, 평소에는 음식 금기의 대상이 되는 토템 동물을 희생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11
유전자 감식이란 소위성 DNA라는 ‘DNA 지문’을 이용해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친자나
혈연
관계 확인에도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지난 10월 13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일어난 폭탄 테러 사건 이후 실종된 한국인 자매의 신원을 파악하는데도 DNA 지문이 동원됐다. 인도네시아 법의학지원팀이 ... ...
배우자로는 날 닮은 사람이 최고
과학동아
l
200209
같이 자란 형제, 따로 키워 한번도 보지못한 형제, 한번도 보지 못한 친척 및 아무런
혈연
관계가 없는 메추라기들을 각각 우리 안에 넣어줬을 때, 사람으로 치면 4촌이 되는 개체와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4촌 사이에서 태어난 메추라기는 알을 낳는 시기가 더 빨랐다. 결국 자손을 ... ...
유전자 감식으로 비행기 탑승자 신원 찾는다
과학동아
l
200205
이 자료로 친자감별을 위한 자료가 다 마련된 것은 아니다. 황교수는 법적, 생물학적으로
혈연
관계로 확인된 한국인 2백41가족(2천4백31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이때 동원된 가족 구성원은 어머니, 아버지, 그리고 자녀 1명이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친자를 판단할 수 있는 확률을 계산해냈다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02
조직적합성항원도 어느 정도 일치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 같은 핵가족 시대에
혈연
의 골수를 구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타인의 골수를 이용한다. 하지만 수많은 사람 중에서 자신에게 맞는 조직적합성 항원을 찾기란 사막에서 바늘찾기다.또한 골수를 필요로 하는 환자 수에 비해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12
품종 간 또는 개체 간에 다형을 보이는 초위성체 부위를 여러개 선정해 활용하면 품종 간
혈연
비교에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필자는 9종의 초위성체를 이용해 아시아 지역 토착개 11품종 2백11마리를 대상으로 연구해 이들 간의 유전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아시아 토착개 집단 상호 간의 지리적 ... ...
백혈병, 그 완치를 위한 길
과학동아
l
200012
죽은 설정은 약간 무리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한편 비
혈연
간 타인이식의 경우에는
혈연
간 이식에 비해 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이 나타날 확률이 크기 때문에 궁극적인 완치 가능성은 40-60%로 다소 낮다.최근 이런 조혈모세포이식에 합병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보조요법,노령층을 위해 항암제와 ... ...
DNA고고학
과학동아
l
200001
샘플만으로 3구의
혈연
관계를 밝힐 수는 없는 일이다. 여기서 부족하나마 ‘절반의
혈연
관계’를 알아내는 방법이 있다. 즉 아버지에 대한 정보는 알 수 없다 해도 최소한 같은 어머니의 혈족인지를 밝힐 수는 있다. 바로 미토콘드리아 유전자를 이용한 방법이다. 미토콘드리아는 세포의 활동에 ... ...
삼복더위와 누렁이의 수난
과학동아
l
199907
색깔에 따라 육질이나 영양에 차이가 있다는 주장은 인정하기 힘들다고 말한다. 다만
혈연
관계가 복잡한 똥개(잡종)의 경우 부모의 종에 따라 약간 차이가 날 수는 있다. 조선후기 실학자인 이규경은 개를 고르는 방법을 설명하면서 같은 누렁이라도 등빛이 흰 것은 불길하고 사람에게 해를 끼친다며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