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농부
농사꾼
농삿군
농삿꾼
소작인
농장 노동자
노동자
d라이브러리
"
농민
"(으)로 총 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달력 그림에서 찾은 별자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9호
그림이에요. 노란색에서 황토색으로 이어지는 들판에서 누렇게 익은 곡식을 베고 있는
농민
들과, 높은 가을 하늘아래에서 휴식을 취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수 있어요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주 동안 적당히 익힌 후 더 낮은 온도에서 보관하기 위해서다.이런 점을 고려해 조선시대
농민
들의 할 일을 읊은 ‘농가월령가’에서는 겨울이 시작되는 음력 10월 무렵에 김장을 담글 것을 추천하고 있다. 김연옥 전 이화여대 교수는 자신의 저서 ‘한국의 기후’를 통해 지역별로 김장하기 좋은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GMO가 처음으로 상업화된 1996년에 비해 80배 증가한 것이다. ISAAA에 따르면 GMO를 재배한
농민
의 90%가 개발도상국과 저개발국가 출신이다. 16개 개도국에서 전체의 46%가 재배됐다. 이 같은 현황은 GMO가 가난한 나라의 식량문제를 해결해주기 때문이라는 찬성 측 주장과 선진국일수록 GMO의 안전성에 대해 ... ...
가축 분뇨에서 바이오가스 만든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친근하게 여길 수 있도록 액체비료의 악취를 없앴다”고 설명했다. 분뇨에 대한
농민
들의 인식 변화도 중요하지만 연구자 입장에서도 분뇨를 꺼리지 않게끔 할 필요가 있다는 말이다.그는 “앞으로 농가마다 자체 SCB-M시설을 갖춘다면 농가에서 자체 생산한 전기를 사용하면서 가축을 키우고 분뇨를 ... ...
유럽 최초의
농민
은 이방인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
한국 과학, 아프리카에 희망을 심다
과학동아
l
2009년 09호
정책을 도움이 필요한 외국으로 확장하는 데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고 말했다.케냐
농민
의 대부분은 1만 6500m2 미만에서 농사를 짓는 소작농이란다. 좁은 땅에서 생산량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방법을 연구해 온 한국의 농업기술이 진출하기에 적합하다는 게 김 사장을 비롯한 이곳 농업 전문가들의 ... ...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호르몬 분비량이 달라지기 때문일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안정적인 수입을 원하는
농민
입장에선 참 난감한 일이다.최근 해걸이 현상이 덜 일어나는 새로운 품종 ‘홍로’가 개발돼 시장에 나왔다. 미국산 사과 2종을 교배해 우리 풍토에 알맞은 개체를 선발한 성과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
인류 농업사 이끈 일석팔조 기술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새로운 품종에 부과되는 로열티를 상당히 부정적인 시각으로 다뤘다. 로열티가 불쌍한
농민
들을 착취하는 부당한 처사라고까지 극언할 정도였다. 새로운 품종이 하늘에서 거저 뚝 떨어진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로열티는 육종가의 기술과 노력에 대한 합당한 대가다. 창작물에 대한 ... ...
입맛과 에너지 잡는 견인차 '분자육종'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한국농업대 교수)은 “기술만 연구하는 육종가는 결코 성공할 수 없을 것”이라며 “
농민
처럼 농업 현장을 알아야 하고 사회학자처럼 소비자의 변화를 간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분자육종은 유전자변형인가 분자육종 작물이 유전자를 추가로 넣었다는 점에서 유전자변형(GM) 작물과 다를 바 ... ...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된 비둘기의 굴욕
과학동아
l
2009년 07호
환경부가 지난 5월 비둘기를 유해 야생동물로 지정했다.가축이냐 야생동물이냐그동안
농민
이나 문화재 관리자, 식품업자에게는 비둘기가 더 이상 평화의 상징이 아니었다. 식품공장이나 사료공장의 곡식 창고는 비둘기에게 그야말로 천국이다. 아예 가마니 속에 머리를 박고 곡식을 먹어 치우기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