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데"(으)로 총 12,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설탕과 단백질 간 반응에 의해 형성되는 최종 당화산물은 피부 탄력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단백질인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손상시켜 피부 탄력을 감소시킨다”며 “고혈당은 피부 노화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설명했다. 더 오래 건강히 살기 위해지금까지 우리가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 ...
- [과학사 극장] 산소의 발견자는 라부아지에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이론의 최종적인 승리를 기억한다. 그러나 이론들이 만들어지고 널리 퍼질 수 있었던 데는 장비 제작자, 조수 등 수많은 보이지 않는 사람들의 노고가 있었다. ‘화학의 아버지’ 라부아지에만큼이나 이들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
- “공학도로서 연구자 평가제도 다각화에 기여하고파”_박충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논문에 치중돼 있어서 성과를 내기 위해 연구자들은 임팩트 팩터(IF)가 높은 논문을 쓰는 데에 집중합니다. IF가 높은 논문을 쓰려면 새로우면서도 핫한 분야의 연구를 진행해야 하다보니 대학원생의 전공이 한국 제조업 기반 기업들의 기술과 많이 동떨어져 있습니다. 반도체를 전공하는 연구실이 ... ...
- [인터뷰] 전 국민의 화학 선생님, 여인형 교수 “이 세상에 화학물질이 아닌 것이 있을까요?”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우리가 숨을 쉬면 포도당은 산소와 반응해 이산화탄소와 물, 그리고 에너지를 생성하는데 이것도 화학식으로 설명돼요. 화학이 물리, 생명, 천문 등 여러 과학을 연결해주는 분야라는 점이 큰 매력으로 다가왔어요.” ‘여인형의 화학 공부’라는 제목에는 더 깊은 공부를 통해 화학에 재미를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형은 신병처럼 목청을 높여 대답하고는 내게 속삭이듯 말했다. “후배님. 조언 하나 하는데, 벌레보다 후배님 앞가림부터 신경 써. 이건 조롱이 아니라 진심이야.” 형은 술자리로 뛰어 돌아갔다. *한동안 키트를 들고서 밖에 서 있었다. 네온사인은 밝았고, 거리에 차들은 많았다. 술에 취한 ... ...
- [만화뉴스] 세상에서 가장 못생긴 잔디밭 선발 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섬에 가뭄이 지속되자 물을 낭비하지 않기 위해 2022년 처음 시작됐어요. 잔디밭을 꾸미는 데 쓰이는 많은 양의 물을 아끼자는 취지예요. 이후 미국의 영화배우이자 환경운동가인 쉐일린 우들리가 대회에 참가하며, 전 세계에서 참가가 가능한 대회가 됐어요. 환경을 생각한 대회인 만큼 우승 상품은 ... ...
- [가상인터뷰] 소변을 연료로 쓰는 나노로봇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소변을 연료로 사용해 움직이는 나노로봇을 개발해 방광암 세포를 제거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어. 소변을 연료로 사용한다고?보통 로봇은 배터리에서 에너지를 얻지만 나노로봇은 너무 작기 때문에 배터리를 장착하기 어려워. 그래서 동력을 얻기 위해 빛, 소리, 자기력 등을 대체 에너지원으로 ... ...
- (광고)소니 더 헤지혹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극한 기후에서 살아가는 여우도 있어요. 여우는 긴 꼬리를 이용해 뛰는 동안 균형을 잡는 데 활용합니다. 또한 여우는 독립적인 생활을 추구하는 고슴도치와는 달리 무리 생활에 익숙하지요. 붉은 가시두더지 너클즈는 소닉처럼 빨리 달리진 못 하지만, 강력한 두 주먹을 가지고 있어요. 주먹으로 ... ...
- [Level Up!디지털 바른생활] 인공지능에게 눈이 있다면? 컴퓨터 비전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사건과 보도 내용을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어요. 또 허위 정보나 가짜 이미지를 탐지하는 데도 사용될 수도 있습니다. 컴퓨터 비전 기술은 미디어 분야에서만 쓰이는 게 아닙니다. 의료 분야에서는 엑스레이나 자기공명영상(MRI) 같은 촬영 이미지를 컴퓨터 비전 기술로 분석해 질병을 더 빠르고 ... ...
- [과학뉴스] 서울대 의대 정원 확대, 의사과학자 만든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와 과학기술 분야 박사학위(PhD)를 동시에 갖고있어, 임상 현장의 한계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주력하는 연구자다. 1988년부터 2023년까지 지난 35년간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중 약 35%가 의사과학자였다. 서울대는 앞서 2008년, 의과학과 대학원을 설립해 지금까지 450여 명의 석박사 졸업생을 배출했다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