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양"(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라 부른다. 이번 PSR J0514−4002E와 동반성의 이심률은 0.71로 심하게 찌그러진 원의 모양이다. 김 교수는 “이 정도의 이심률은 강한 중력을 가진 외부 천체와 상호작용하며 생겼을 가능성이 크다”며, “이 경우 펄사와 함께 있는 천체가 블랙홀과 중성자별일 경우 모두 가능한 시나리오”라고 ... ...
- 통계 그래프로 보는 2023 KBO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사람들이 얼굴 생김새를 쉽게 구분하는 것에서 착안해 다양한 지표를 사람의 얼굴 모양으로 나타냈다. 얼굴의 윤곽, 입 모양, 귀의 크기 등 얼굴의 구성 요소를 각각의 지표에 대입해 데이터를 시각화한 것이다. 변수는 최대 15개까지 나타낼 수 있는데, 각 변수에 해당하는 데이터 값이 크면 뭐든지 ... ...
- 브롤스타즈 반사의 법칙 따라 총 쏘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이기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브롤스타즈에는 브롤러가 20명이 넘게 있고 맵마다 벽의 모양, 숨을 수 있는 풀숲과 장애물의 위치 등이 다르기에 맵에 맞게 전략을 짜야 이길 수 있다. 또 모드마다 다른 전략을 써야 한다. 예를 들어 보석을 10개 이상 모은 뒤 15초 동안 잃어버리지 않고 버텨야 ... ...
- [특별기획]Part2. SKA프로젝트 1000개의 펄사로 우주를 이해하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크면 클수록 분해능과 집광력이 높아져 더 좋은 성능을 발휘한다. 하지만 둥근 접시 모양이면서 자유자재로 하늘을 바라보는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안테나형 전파망원경의 최대 구경은 공학적으로 한계가 있다. 이 한계는 전파간섭계를 활용하면 극복할 수 있다. 전파간섭계는 빛의 간섭 현상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가스 하이드레이트, 식량 자급률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온도가 낮고, 압력이 높은 환경에서 천연가스가 물과 만날 때 만들어지는 얼음 모양의 화합물이에요. 가스 하이드레이트는 1810년 영국 화학자 험프리 데이비가 실험실에서 물과 염소 가스를 결합시켜 처음으로 만들었어요. 이후 100년이 훌쩍 더 지난 1970년대 초가 되어서야 자연 상태의 가스 ... ...
- 앞으로 읽어도 뒤로 읽어도 똑같다 회문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자리로 이뤄진 회문 수 중에서 11을 제외하면 회문 소수는 존재하지 않는다. 진주목걸이 모양의 중심 십각 소수 1을 시작으로 10, 20, 30, … 등 10단위로 늘어나는 수, 즉 1, 11, 31, 61, 101, 151, 211, 281, 361, 451, 551, … 중에서 1과 자기 자신으로만 나눠떨어지는 소수를 ‘중심 십각 소수’라 ...
- 형태만큼 다양한 쓸모 , 로봇 트렌드 톺아보기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로봇 ‘테트라플렉스(Tetraflex)’가 그 예다. 파이프 여섯 개가 서로 연결된 정사면체 모양의 이 로봇은 공기를 주입해 ‘다리’ 역할을 하는 각 파이프의 길이를 늘렸다 줄인다. 그러면서 자유자재로 몸의 형태를 바꿔 공을 집거나 좁은 틈 사이로 지나간다. 공기를 주입해가며 스프링처럼 통통 튀면 ... ...
- 식품 찌꺼기의 변신! 업사이클드 푸드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2호
- 버려지는 과일이나 채소로 만들어진 것도 있습니다. 맛이나 영양이 떨어지지는 않지만, 모양이나 크기가 표준 규격을 벗어나는 농산물이죠. 식품 기업 울퉁불퉁 팩토리는 이 같은 농산물을 페스토●와 채소 절임 등으로 업사이클해 판매하고 있습니다. 어과동 편집부가 모여서 업사이클드 푸드 ... ...
- 세상에서 가장 큰 소수수학동아 l2024년 02호
- 얼마나 큰지 감도 안 오는 이 숫자는 현재까지 발견한 소수 중 가장 큰 소수다. 무려 2486만 2048자리에 달하는 어마어마한 크기로, 읽는 데만 서너 달이 걸 ... 소수는 17세기 프랑스 수학자 마랭 메르센의 이름을 딴 소수로, 2의 거듭제곱에서 1을 뺀 모양의 소수다. 왜 모두 메르센 소수일까 ... ...
- 리만 가설의 단초 제공한 오일러수학동아 l2024년 02호
- 10000100까지는 2개의 소수만 나타나는 것처럼 드물게 나타나는 구간이 있어 소수 계단의 모양은 불규칙하다. 오일러는 소수 계단을 머릿속으로 오르고 또 오르며 소수가 언제 나타나는지 살폈다. 그러다 오일러는 우연히 한 수학 문제를 푸는 과정에서 특이한 식과 답을 발견했다. ‘모든 자연수를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