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용
응용
활용
적용
필요
수요
소용
d라이브러리
"
사용
"(으)로 총 14,017건 검색되었습니다.
대기오염 예보는 나비에-스토크스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예측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상청에서는 현재 황사 예측 모형으로 KIM과 함께 ‘ADAM3’을
사용
한다. ADAM3 모형은 흙먼지가 발생해 이동하고 퍼져 나가는 과정을 ‘오일러리안 공간 모형’에서 시뮬레이션한다. 18세기 스위스 수학자 레온하르트 오일러의 이름을 딴 오일러리안 공간 모형은 대기를 ... ...
[뉴럴링크] 마비 환자가 다시 걷고 말하다... BCI 기술의 현재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외골격을 착용해도 매우 불안정한 상황으로 느끼는 거죠. BCI를 제대로 적용하려면
사용
자를 생각하는 자세가 필요합니다.”“미래는 이미 와 있다. 단지 널리 퍼져있지 않을 뿐이다.” ‘뉴로맨서’를 쓴 미국의 SF 작가 윌리엄 깁슨은 이런 말을 남겼다. BCI만큼 이 표현에 잘 들어맞는 기술도 없을 ... ...
[기획] 아직 젊은 당신이 혈당을 관리해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기능이 저하되며 혈당 조절 능력이 떨어지는 질병이다. 이는 베타세포를 많이
사용
하면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동안 당뇨가 중장년층에서 많이 발병한 이유다. 하지만 요즘은 사정이 다르다. 탄수화물 위주의 서구화된 식습관을 즐기고, 약과나 탕후루 같은 달달한 디저트를 자주 먹는 20~30대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영구치 그다음의 치아가 필요해진 거죠. 현재는 제3의 치아로 임플란트를 가장 많이
사용
합니다. 잇몸뼈에 티타늄 계통의 매식체를 식립하고, 매식체가 뼈에 고정되면 그 위에 인공치아를 씌우는 방식이죠. 그런데 과학자들은 잇몸에서 제3의 치아가 날 수 있다고 얘기합니다. 치아 재생 유전자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AI)이 도구로써 제대로
사용
될 수 있도록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모든 분야에서 AI가
사용
된다는 것은, AI를 통해 과학기술 각 분야가 서로 만날 지점이 있단 얘기도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을 관리할 컨트롤 타워가 필요합니다. Q 특별히 관심 있게 보는 법안이 있다면 무엇인가과학기술 거버넌스를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차이가 적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복제 기술은 장기 이식용 동물을 만드는 데도
사용
됩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환자는 4만 8459명이지만, 이식 건수는 4478건에 불과합니다.● 장구 교수는 “돼지의 장기는 크기와 형태가 사람과 가장 비슷해 장기 이식을 기다리는 ... ...
[기획] 풍선껌 더 재밌게 불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껌베이스는 물과 섞이지 않기 때문에 기름과 잘 섞이는 캡사이신 같은 매운 원료를
사용
해 만들 수 있다”고 말했어요. 강희철 독자는 풍선 겉면에 그림이 있는 껌을 생각해냈습니다. 강정한 연구원은 “껌을 얇게 펴주는 과정에서 도장 찍듯이 껌에 모양을 새겨 넣는 것은 가능하지만, 풍선을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동전 먹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이루어집니다. 그동안 한국은행에서 화폐를 옮기고 쌓는 일은 대부분 사람이 지게차를
사용
해 수작업으로 진행했습니다 한국은행은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해 금고 관리를 더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며 “사람이 금고에 직접 출입해 화폐에 접근하는 상황을 최소화했기 때문에 보안도 ... ...
[과학뉴스] 소수점
사용
알려진 것보다 150년 빨랐다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소수점 표기에 대한 발견은 150년 후 클라비우스가 소수점 표기를 삼각법 계산표에서만
사용
하고 왜 더 널리 쓰지 않았는지에 대한 수학사가들의 의문을 해결해 준다”고 말했다. 클라비우스가 소수점을 발명한 것이 아니라, 비안키니의 약 150년 전 삼각법 계산표에서 베껴온 것이라 이해하면 된다는 ... ...
빙하 녹는 속도 알려주는 푸리에 법칙
수학동아
l
2024년 04호
뒤 이 수식의 변수들을 기온과 바닷물의 염도 등 관측한 정보에 맞게 적절히 변환했다.
사용
한 이론은 덩어리지어 흐르는 유체의 움직임을 설명하는 ‘여과 이론’과, 무작위로 형성된 배관이나 전기 저항을 설명하는 ‘랜덤 파이프 네트워크 이론’이다. 소금물이 빙하 속 빈 공간을 이동하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