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악명"(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술실에서 死神을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환자 사이를 오고가는 의사, 간호사, 간병인 모두 비누와 물로 깨끗이 손을 씻게 했다. 악명 높았던 글래스고우 진료소의 환경은 빠르게 개선되기 시작했다.문제는 ‘썩은 고름’ 자체를 막는 일이었다. 리스터는 상처의 부패와 화농화의 원인이 자연 유기물의 부패와 발효라고 유추했지만, 원인을 ... ...
- Part 2. 바이러스가 당신을 당장 죽이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8호
- 비싸다. 숙주가 죽어버렸기 때문에 바이러스 역시 함께 죽어야만 한다. 이것이 바로 악명을 떨치면서도 조류독감의 사망환자 수가 전 세계에서 400명을 넘기지 않은 이유다. 이 질병이 아직 사람 사이에서 감염되는 사례가 나타나지 않은 것도 바이러스가 인체라는 새로운 숙주에 적응하지 못한 ... ...
- 직장의 신, 결코 야근 하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5호
- KPMG에 따르면, 인수합병 건의 83퍼센트가 주식 가치를 끌어올리는 데 실패했다. 그 중 악명 높은 실패 사례들은 의사결정자들이 야근과 수면 부족에 ‘취한 상태’에서 지나치게과감하게 결정을 내렸기 때문이라는 주장이 있다. 직원들이 비윤리적 행동을 저지르는 건 직원 개인의 품성이나 가치관의 ... ...
- 자폐증을 고칠 수 없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완화제, 진정제로 썼던 화학물질인 탈리도마이드, 간질 치료제로 쓰는 밸프로산 등이 악명이 높다. 자폐증 위험률을 높이는 바이러스로는 풍진을 일으키는 루벨라 바이러스 등이 있다.다시 유전자를 보자. 유전자가 100% 동일한 일란성 쌍둥이의 경우, 어느 한 쪽이 자폐 증세를 보일 때 다른 한 쪽도 ... ...
- 그는 왜 냄새를 맡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경우로 치닫는 수가 있다”고 덧붙였다. 주목할 점은 유영철, 정남규, 강호순 등 악명 높은 국내 사이코패스 연쇄살인범들의 출생연도가 1969~1970년 사이에 밀집해 있다는 것이다. 강 경위는 “당시 급격한 산업화로 인격 형성에 중요한 유아기를 불우한 가정환경에서 보냈을 가능성이 높다”고 ... ...
- Part 1. 조미료과학동아 l2012년 11호
- 맛에 길들여진다.MSG는 어디에나 있다가장 큰 비난의 대상이 되는 MSG는 언제부터 그런 악명을 얻게 됐을까. 발단은 1968년 중국 음식을 먹고 목 뒤와 등, 팔이 마비되는 듯한 증상을 느꼈다는 사람이 한 의학 학술지에 편지를 보낸 사건이었다. 여기서 ‘중국식당증후군’이라는 말을 썼는데, 이후 ... ...
- 2500m 초장거리 저격의 비밀은?과학동아 l2012년 07호
- 분)의 별명은 ‘2초’. 아군이 총에 맞아 쓰러지고 2초 뒤에 총성이 들린다는 데서 비롯된 악명이다.당시 전쟁에서 사용한 러시아제 모신나강 소총의 탄속은 초속 800m다. 음속보다 2배 이상 빠르다. 영화처럼 총알이 총성보다 2초 먼저 도착하려면 표적까지 1200m 정도의 거리를 두고 방아쇠를 당겨야 ... ...
- Part1. 독, 잔혹한 욕망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2년 04호
- 그 사이에서 얻은 15명이나 되는 아이들을 죽인 메리 앤 코튼(1832~1873)이 대량 살인의 악명을 얻은 것으로 유명하다.비소의 탁월함에 반한 것은 서양 사람들만은 아니었던 듯 하다. 중국 청나라 11대 황제인 광서제는 37살의 젊은 나이에 요절했기에 세간에서는 독살설이 끊임없이 제기되어왔다. ... ...
- Part1. 자연 쿠션의 비결3과학동아 l2012년 03호
- 이곳은 선박 50척과 항공기 20대 이상이 어떠한 이유나 흔적도 없이 사라진 곳으로 악명 높다.[깊은 해저에서 새어나오는 메탄가스는 거대한 쿠션을 이룬다. 과학자들은 버뮤다 삼각지대의 주원인으로 메탄버블을 지목하고 있다.]비결은 쿠션 2. 짜디짠 바닷물 타고 수십km 여행어류나 조류는 특별한 ... ...
- 실험실에서 탄생한 공포의 바이러스 H5N1과학동아 l2012년 02호
- H1N1)은 당시 세계인구의 30%인 5억명을 감염시키고 5000만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 이 악명 높은 스페인독감의 치사율이 10%다. H5N1의 치사율은 이보다 훨씬 높은 60%. 날개를 단 호랑이처럼, 치명적인 독성에다 높은 전염성까지 더해진 돌연변이 바이러스가 실험실에 존재한다는 사실만으로도 사람들은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