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산암
이토
페이드아우트
화산암층
d라이브러리
"
용암
"(으)로 총 336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과학] 비밀을 간직한 사하라의 눈 … 리차트 구조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1호
아메리카 대륙판이 서로 떨어져 나갈 때 만들어졌다고 주장했어요. 판 아래에 있던
용암
이 지표면으로 올라오면서 돔 형태의 바위층을 만들었고 풍화작용으로 인한 침식이 계속돼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는 거지요. 이는 가장 유력한 가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답니다. 리차트 구조의 형성 원인은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
과학동아
l
2020년 01호
마그마는 점성이 높아 내부에 가스를 계속 축적한다. 그래서 지상으로 분출되면
용암
이 품고 있던 가스가 한꺼번에 터져 나오면서 화산재와 돌덩이(화산암)가 돼 한꺼번에 퍼붓는다.유문암질 마그마가 폭발하듯 분출하면 가장 먼저 화산 사면을 따라 흐르는 화산재인 화쇄류가 퍼진다. 그리고 유리 ... ...
[현장취재] 탐험으로 만나는 더 큰 세상! 탐험대학 제주캠프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5호
지나친 주상절리는 화산 활동으로 만들어진 대표적인 화산지형이에요. 땅 위로 흘러나온
용암
이 빠르게 식으며 굳다가, 균열이 생기며 여러 개의 돌기둥으로 쪼개져 생긴 지형이지요.”문경수 탐험가의 설명을 들으며 10여 분을 더 항해하자 3개의 해안동굴로 이루어진 월평동굴이 나타났어요. ... ...
[과학뉴스] 나일강 물줄기 미스터리 풀렸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그 결과 나일강 북아프리카 지각 아래를 흐르는 맨틀이 열기둥(플룸)을 형성해
용암
이 분출되면서 나일강 상류의 에티오피아 고지대를 형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열기둥에 의해 나일강 유역의 맨틀이 3000만 년간 계속해서 에티오피아 고지대로 흘러 들어가는 흐름을 보인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 ...
세계 첫 민간 달 착륙선 '베레시트' 실패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달 착륙은 궤도 진입보다 한 단계 더 어렵다. 베레시트는 인류가 달에 첫 발을 디뎠던
용암
평원인 ‘고요의 바다’에 착륙할 예정이었다. 베레시트는 ‘소프트 랜딩’을 목표로 삼았지만, 애초에 목적지에 정확히 착륙할 용도로 개발된 탐사선은 아니었다. 앞서 언급했듯 비용을 최소화 한 ... ...
[통합과학] 40인의 도둑이 살아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그런데 이 지역에는 화산 때문에 만들어진 동굴 거주지가 많았어요. 다만 제주도처럼
용암
이 만든 동굴이 아니라, 화산재가 만든 응회암 지대 아래 지어진 인공 동굴이지요.응회암은 화산이 폭발하며 쌓인 화산재가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이에요. 화산이 폭발하면 뜨거운 화산 가스와 함께 지름이 ... ...
공룡 멸종의 결정적 요인, 행성출동과 화산폭발의 '원투펀치'?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또한 백악기에서 고제3기로 넘어가는 시기 이후에 전체 부피 추정치의 절반이 넘는
용암
이 분출됐다고 설명했다. 이는 소행성 충돌이 데칸 화산활동을 더 촉진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로 사용될 수 있다.연구팀은 연구 결과를 당시의 기온 자료와 비교해 데칸 화산폭발 이전에 대기 중으로 ... ...
[SPACE] 21세기 우주경쟁 스타트
과학동아
l
2019년 02호
묻혀 어두운 현무암질의 넓고 편평한 지대가 됐다. 하지만 달 뒷면의 크레이터에는
용암
이 적게 흘렀고, 그 결과 크레이터 발생 당시의 초기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창어 4호가 착륙한 폰 카르만 크레이터는 남극-에이트켄 크레이터라는 더 큰 크레이터 내에 있는데, 남극 ... ...
Part 1. 달 탐사 기술의 어제와 오늘
과학동아
l
2019년 01호
이용해 달 전체의 3D 지도를 완성했다. 그 과정에서 32억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용암
의 흔적도 찾아냈다. ● 2008. 10. 22 직접적인 물의 증거를 찾다검게 보이는 분화구에 초록색 점들이 밀집해 있다. 인도의 첫 달 탐사선 ‘찬드라얀(Chandrayaan) 1호’가 찾아낸 얼음의 위치다. 인도우주연구기구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학 축제는 로봇도 춤추게 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2호
원리와 같답니다. 기자단은 이외에도 ‘한국여성과학기술인지원센터’의 부스에서
용암
램프를 만들고 3D프린팅 펜으로 3차원 인형을 만드는 등 유익한 시간을 보냈어요. 한시아 기자는 “3D프린팅 펜으로 3차원 모형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 수 있게 되어 좋았다”고 말했지요. 대전 사이언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