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질병"(으)로 총 2,3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노벨상 2023] 생리의학상 - 대기만성의 mRNA백신과 꼭 닮은 과학자의 인생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에서 박사후 연구원을 지냈다. 현재 가톨릭대 의생명과학과에서 바이러스에 의한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RNA를 기반으로 하는 백신과 백신증강제를 개발하고 있다. jhnam@catholic.ac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름 붙였다.HGB로 찾은 인간 DNA는 조상 혈통이나 자폐증, 당뇨병, 심장 질환 등의 질병 여부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하고 있었다. 더피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인간 eDNA 연구는 초기 단계라 어떻게 사용될지 알 수 없으나, 소수 민족 추적 등 비윤리적인 목적으로 사용될 ... ...
- [특집] 최후의 승자는? 인류 vs 모기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피를 빨아먹고 각종 질병을 옮기는 대표적인 해충, 모기. 모기가 지구에서 사라질 수는 없는 걸까? 과학자들은 인류를 지키기 위해 오랫동안 모기와 팽팽한 싸움을 벌이고 있어. 그런데, 잠깐! 모기가 사라지면 안 된다고 주장하는 과학자들도 있다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 ...
- 불임 모기로 퇴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사람을 많이 해치기로 유명해. 지난해에는 전 세계에서 100만 명의 사람이 모기가 옮긴 질병 때문에 목숨을 잃었을 정도지.고심하던 과학자들, 급기야 모기를 모기로 물리치자는 방안을 내놨다는데?! 살충제는 그만! 박테리아로 모기 잡자! 뎅기열은 모기로 인한 대표적인 감염병 중 하나예요. 보통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등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가 성충인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어 우리나라에도 토착화하는 질병이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박멸 vs 공생, 정답은? 인류는 온갖 과학적 방법을 동원해 모기 개체수를 줄이려 노력하고 있어요. 모기의 개체수를 줄이려는 과학자들은 모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 ...
- [커리어] 새로운 의학 패러다임을 꿈꾸는 IBS 나노의학 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미국물리학회 강연에서 “정말 작은 기계를 만들어 이 기계가 우리의 몸을 돌아다니며 질병을 찾아내고, 진단한 뒤 치료할 수 있다면 의료혁명이 될 것”이라 말했다. 당시 물리학이 발견하지 못한 세계에 대해 상상하며 했던 얘기였다. 60년이 훌쩍 지난 지금은, 나노의학이 미래 세상을 변화시킬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연구에선 먼저 유전체와 단백체를 분석해 조기발병위암 환자의 유전자에서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변이가 있는지 살펴봤습니다. 약 7000개의 체세포 변이 유전자 중에서 조기발병위암의 발병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이 유전자들인 CDH1, ARID1A, RHOA를 찾았고, 이 유전자들이 조기발병위암 발병과 관련된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빛을 내는 현상을 발견한 것이다. 이 작은 입자들의 정체는 양자점. 오늘날 QLED TV부터 질병의 진단까지 폭넓게 활용되는 나노물질이다. 브루스 교수는 처음 이 모습을 보고 ‘시료가 잘못됐다’고 생각했다는 후문이다. 그러나 그는 시료가 잘못된 것 같다는 생각에서 멈추지 않고, 이 현상의 원인을 ... ...
- [최신 이슈] 사회 곳곳의 언어장벽, 과학 연구에도?과학동아 l2023년 11호
- 023-06382-0 새로운 치료법이나 신약이 나왔을 때 임상시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는 희귀한 질병을 앓는 환자들에겐 매우 소중하다. 가론 교수는 10년 전 폐암 치료제 임상시험에 이상적인 환자를 발견하고 그에게 임상시험에 참여할 것을 권유했다. 하지만 환자는 스페인어만 구사할 수 있었고, 온통 ... ...
- [특집] 2030년에 10만 개 쏟아진다? 배터리 재활용 풀어야 할 숙제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건강검진에 비유하면 이해가 쉽습니다. 유전자가 동일한 쌍둥이라도 살아온 이력에 따라 질병 발생 여부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심장, 간, 뇌 등 세분화된 건강검진을 하죠. 마찬가지로 오래 사용한 배터리일수록 세분화된 평가가 필요합니다. 겉으론 비슷해 보여도 도심에서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