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간력
역적
d라이브러리
"
충격량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파이더맨 vs 배트맨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 운동에너지9.8×m×h = 0.5×m×${v}^{2}$v는 약 31m/s(m은 배트맨의 질량, h는 낙하 높이)●
충격량
= 질량×속도 = 배트맨의 팔에 가해지는 힘×시간 배트맨의 팔에 가해지는 힘= (1백kg×31m/s) / 0.1s = 310000N배트맨의 이같은 행동은 허리에 강철 케이블을 매달고 번지점프를 하는 것과 똑같다. 이후의 ...
집까지 무사배달 위한 포장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운송 상황을 이겨내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제품이 배달중에 견뎌내야 하는
충격량
이 70G(G는 중력가속도를 의미한다. 70G는 중력가속도의 70배다)라면 포장재 자체를 이 값에 맞도록 설계할 때 아주 두꺼운 스티로폼이나 충격 흡수용 포장재가 필요하다. 그런데 제품이 30G를 견뎌낸다면, ... ...
스노보드에 숨겨진 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어떤 방향으로 어떻게 넘어질지를 결정할 수 있어 부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운동량과
충격량
의 정리’에 의해서도 부상 정도가 줄어드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한 물체가 일정한 속력으로 달리다가 멈추면 운동량이 변한다. 이 운동량의 변화는 운동을 멈추게 한 힘(충격)과 운동이 멈출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10호
보여준다. 따라서 태권도의 지르고 차는 동작의 특징은 손과 발의 운동량을 최대로 해
충격량
을 크게 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영화에서 이소룡은 나무팔이 달린 통나무 앞에 서서 팔과 손을 이용해 현란하게 막고 공격하는 기술을 보여준다. 그러나 이런 기술은 공격부위에 대한 부분적 움직임의 ... ...
누구나 즐길 수 있는 과학마술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온다. 따라서 높은 곳에서 구슬을 떨어뜨릴수록 동전이 받는
충격량
이 커져 동전이 더 높이 튀어 오른다. 하지만 500원 짜리 동전을 사용하면 유리 구슬에 비해 동전이 무겁기 때문에 실험이 잘 안된다. 또 유리병 대신 페트병을 사용하면 유리 구슬이 동전에 닿았을 대의 ... ...
무인도 생존법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있다. 큰 돌을 이용해 물위로 조금 나와있는 돌 위를 내려치는 것이다. 그러면 큰돌의
충격량
이 물 속까지 전해져 물고기들을 순간적으로 기절시킨다. 그 후 돌을 들어보면 그 아래 작은 물고기들이 기절해 떠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또 물이 흐르는 얕은 계곡에 돌 그물을 만들어 물고기들이 갇히게 ... ...
물리- 분자, 질량 작을수록 빨리 움직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11호
그림 3)과 같이 튀길 때 이 분자의 운동량의 변화는 2mvcosθ이다. 운동량의 변화는
충격량
과 같으므로 이 때 준 힘에다 풍선의 벽과 접촉한 시간을 곱한 것이 2mvcosθ와 같아야 한다. 그러나 우리는 한개의 입자가 평균적으로 벽에 주는 힘을 알고자 하는 것이므로 이 입자는 2rcosθ 만큼 진행할 때마다 ... ...
물리- 이불에 떨어진 유리컵, 왜 안깨지나
과학동아
l
1994년 08호
극단적으로 우주인이 1천이라는 속력으로 달리면서 총을 쏘면 그 총알은 우주인에게
충격량
을 주어 우주인을 가속시킬 수는 있지만 지면에 대한 속력은 0이다. 따라서 지면에 대한 모든 총알들의 운동량의 합은 한꺼번에 같은 속력으로 쏜 경우보다 적으므로 운동량 보존법칙에 의해 우주인이 얻는 ... ...
2. 첨단 용구와 스포츠웨어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신발의 충격흡수, 신발바닥면의 내구성 및 유연성, 신발 바닥면의
충격량
, 후족의 조절, 신발 무게, 충격의 분산 등을 연구하였다.지금까지 신발연구의 방향은 다음의 세가지 초점으로 집약될 수 있다. 첫째는 어떻게 하면 신발을 통하여 인체에 작용하는 충격을 감소시킬 ... ...
비누방울 만들기
과학동아
l
1990년 01호
채울 수 있는 이유는 빠른 운동때문이죠. 우리가 잘 몰라서 그렇지 잴 수만 있다면 그
충격량
은 상당히 클 것이에요. 비누막을 수없이 두들겨대는 공기입자의 충돌때문에 결국 터지고 마는 것입니다.④예솔이 : 과학의 세계가 그렇게 간단할 리 없습니다. 제가 과학시간에 배운 것을 기초로 하면 ... ...
이전
2
3
4
5
6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