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족
배달민족
백의민족
백의동포
한문
d라이브러리
"
한민족
"(으)로 총 68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된 21세기 미래상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과장은 "한반도 전체 영상을 비롯, 중동 대역사 장면, 남극의 세종기지 등이 소개되면서
한민족
의 자긍심을 높여주는 영화가 될 것이다"고 밝혔다.옥외광장은 30여개의 과학놀이 시설물이 설치돼 있어 관람객들이 놀이를 하면서 과학의 원리를 익힐 수 있는 곳. 북을 치고도 징소리 꽹과리소리가 나는 ... ...
몽골
과학동아
l
1993년 02호
최근까지 나라이름으로 불려온 몽고라는 말은 청대(淸代) 이후부터다. 원래 중국인은
한민족
중심의 중화사상(中華思想)에 의해서 주변의 이민족을 몽매(蒙眛)한 야만인들이라고 경멸했기 때문에 그와 같은 명칭이 붙여졌다.옛부터 몽골인은 활쏘기 말타기 씨름을 즐겼다. 칭기즈칸 시대부터 ... ...
첨단기술 갖고 한국 찾은 옛 소련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배울 수 있다면 거의 공짜나 다름없다.""초청해준다면 언제든지 오겠다"지난 5월말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공동협의회 창립총회에 참석한 CIS 교포과학자들은 "한국 정부가 러시아 카자크 우즈베크 등에 흩어져사는 교포과학자들을 가능한 한 많이 초청해 그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을 돕고 또 그들이 ... ...
「
한민족
과학기술자 협의회」결성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열린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종합학술대회에 참석한 국내외 과학기술자들은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공동협의회'를 결성했다. 이 협의회에는 미국 캐나다 일본 중국 러시아 우즈베크 카자흐 독일 프랑스 영국 등 한인 과학기술자협회가 구성된 10개국 대표와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과총)가 참여했다. ... ...
남북의사들, 원폭피해자 구제에 함께 나섰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남북의 공동 대응은 인도주의적인 견지에서 바람직한 일인 동시에 외세에 핍박받았던
한민족
의 동질성을 확인시키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 원폭 피해자들의 실상 소개는 그 어떤 정치적 주장보다도 강하게 '한반도에서 핵전쟁이 일어나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웅변하게될 것이다.인술(仁術)로도 구할 ... ...
바이칼 호(湖)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하던 퉁구스족과 목축생활을 하던 부리야트족이 살고 있었다. 퉁구스족은 우리
한민족
과 동일한 언어집단에 속하는 민족으로 수천년 전부터 이 일대에서 살고 있었다. 부리야트인은 몽고족의 한 갈래로 그리 오래되지 않은 과거에 몽고에서 이 지역으로 진출했다.그러나 오늘날 이들은 극히 ... ...
차별과 텃세속에 독자적인 길 걸어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어떻게 접목되고 있고 또 접목되어야하는 점인가 이다.과학자들이라고 해서 6천만
한민족
밖의 존재일 수는 없다. 그들이 인류사회에서 이루었거나 이루고 있는 위업은 그들의 어머니와 형제와 이웃의 일정한 희생위에 피는 꽃이다.이 점에서 볼 때 이 땅에서 배출된 한국 과학자들이 조국의 현실을 ... ...
세계
한민족
과학기술자 종합학술대회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김현옥 교수(식품공학) 등 여성과학자가 10여명 참석해 눈길을 끌었다.74년 처음 시작된
한민족
종합학술대회는 81년까지 매년 개최되다 81년 이후에는 3년에 한번씩 열렸다. 그동안 이 대회를 계기로 모국에 유치한 해외과학자수는 1천여명에 이른다. 이들 유치과학자들은 현재 대학 연구소 산업체 ... ...
과학기술 해외교류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남북교류 창구로 출범했다.남북과학기술교류는 당초 노대통령의 7·7선언과 9·11국회연설(
한민족
공동체통일방안)에 입각한 남북교환노력의 일환으로 지난해 초 처음 거론됐으나 여건미비로 지금까지 미뤄져 왔다.중국 소련 동구권국가들을 대상으로 한 북방외교가 실효를 거두고 있기 때문에 대(對) ... ...
식민통치와 한국의 과학발전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고자 1백명을 조금 넘을 정도였다. 생산보다 생활에조선총독부 식민지정책의 기조는
한민족
을 ‘생산방법’보다는 ‘생활하는 방법’에 치중하는 민족으로 전락시켜 영원히 그들의 예속밑에 두려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들의 과학기술교육정책은 일본인을 위한 고급과학기술자 양성에 주력하는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