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콘크리트"(으)로 총 139건 검색되었습니다.
- 탐사기록 l20220621
- 급식쌀 재배, 왕우렁이 농법 1. 조사날짜: 2022년 6월 20일(월) 2. 조사시간: 1800~19:00 3. 조사지점: 익산 웅포면 고장리 853-10 4. 수로 형태: 콘크리트 수로 5. 배수구: 7개의 논을 조사함. 1곳의 논에만 왕우렁이 유출 차단망이 설치됨. 6. 우렁이 종류: 왕우렁이 7. 농부님이 논에 왕우렁이 뿌리는 모습을 ...
- 탐사기록 l20220615
- 왕우렁이 모니터링 1. 조사날짜: 2022년 6월 11일 2. 조사시간: 19:30~20:00 3. 조사지점: 충남 부여군 규암면 노화리 56-1 4. 수로 형태: 콘크리트 + 흙수로 혼합형 5. 배수구: 차단망 없음 6. 우렁이 종류: 논우렁, 왕우렁이 혼합 ...
- 스케이트장 녹지 않는 얼음, 그의 비밀은 무엇인가!기사 l20220612
- 비밀을 파헤쳐 보아요! * 스케이트장의 얼음은 어떻해 만들까? 우선, 스케이트장의 바닥은 맨 밑에 배관을 설치합니다. 그리고 나서 콘크리트로 튼튼하게 바르고 그 위에 물을 뿌려 얼음을 얼리는 것입니다. 냉각 파이프 안에 영하 15도를 유지하며, 스케이트장의 얼음 온도를 일정하게 해줍니다. * 얼음과 정빙기는 한몸! "정빙기" 라는 단 ...
- 탐사기록 l20220530
- 재배 1. 조사 지점: 경기도 연천군 군남면 남계리 일대 2. 조사 날짜: 5월 28일(토) 3. 주변 사진 4. 수로의 형태 (콘크리트 수로 또는 흙수로) :흙수로 + 콘크리트 수로 5. 논물을 빼는 곳에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 유무: 차단망 있음 논과 논 사이에 흙수로가 있음 왕우렁이 유출 방지 차단망이 설치 ...
- 바다의 패권은 누가 가져가게 될까?기사 l20220206
- 있습니다. 파라셀 군도, 스프래틀리 군도, 프라스타 군도의 많은 섬들이 이미 중국의 실질적인 지배 하에 들어갔고, 몇몇 암초들은 콘크리트로 보강되어 인공섬이 되어버리면서 사실상 제 1 도련선은 거의 실현 완료된 상태죠. 미국의 주요 동맹국이자 자체적인 군사력이 출중한 대한민국이나 일본 그리고 실질적으로 미국이 절대 포기하지 않을 최종거점인 대만 ...
- 고질라를 정말 자세히 알아보자 (1)기사 l20220105
- 년 데뷔했으며 이 때의 고지라는 사람이 슈트를 입고 직접 연기했다고 해요. 그 때의 일본은 전쟁으로 고무가 별로 없어서 무려 100kg의 콘크리트로 대체했다고 해요. 게다가 통풍도 되지 않아서 안에 들어간 배우가 응급실로 실려가기까지 했다네요. 이 때의 쇼와 고지라 시리즈는 아주 다양한 괴수들이 나온 시리즈였는데요. 말해보자면 나방 괴 ...
- 고질라기사 l20211027
- (쉽게 말하면 그냥 탈쓰고 영화 찍는것) 까지 합하면 100개는 쉽게 넘길 것 같네요........ 그리고 고지라 특촬영화 촬영에 쓴탈이 콘크리트로 만들어 졌기 때문에 내부 온도는60도 이상에다가 환기장치도 없고 무게는 100 Kg 까지 나가서 스턴트 맨은 엄청난 고생을 했다고 합니다..........ㄷㄷ 이번엔 강민혁 기자님이 소개해주 ...
- 에코스토리 - 211017 - 1탐사기록 l20211017
- 있다면 어느 정도 있나요?A. 벤치 등 쉴 수 있는 공간이 있고, 15개 정도 있습니다. Q. 하천에 어떤 마감재가 사용되었나요?A. 콘크리트가 사용되었습니다. Q. 조경관리가 잘 정돈되어 있나요?A. 네. Q. 도로 폭이 좁은 가요? 사람 몇 명정도가 지나갈 수 있나요?A. 성인 기준 2명 정도 지나갈 수 있고, 자전거 ...
- 싱크홀, 왜 발생하고 얼마나 위험할까? 영화 을 보고...기사 l20211014
- 어렵사리 생존에 성공한다고 해도 구조가 여의치 않을 수가 있답니다. 이 때문에 싱크홀의 발생은 막는 것이 최선이지만 아스팔트와 콘크리트 토목 공사 등으로 도심 개발이 끊이지 않아 싱크홀을 예방하는 것도 현실적으로 어려울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영화 속에서는 어떤 방법으로 생존했고, 탈출에 성공했을까요? 이 부분은 스포를 하지 않고 여러분이 영화 ...
- 생태계 실험을 한 곳이 있다고?기사 l20211014
- 실험은 2년이 지나고서야 끝나고 말았습니다. 이유는 읽으면서 알아보시죠. 그럼 이제 이 건물의 문제점을 알아봅시다. 먼저, 콘크리트 구조물들이 무려 7톤이나 되는 양의 산소를 가져갔다고 합니다. 이 건물 안의 산소도 점점 줄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흙 속에 많이 들어있던 유기물들 때문에 박테리아가 생기면서 산소가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거기에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