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느낌
감촉
센스
인지
직감
지각
감응
뉴스
"
감각
"(으)로 총 1,138건 검색되었습니다.
머릿속 '별세포' 칼슘 신호 조절해 뇌졸중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5.02.13
안정적인 칼슘 신호 조절이 가능하다. 연구진은 운동 기능 회복과 관련이 깊은
감각
-두정피질 영역의 별세포에 주목했다. 이 영역은 운동 기능에 밀접하게 관여해 뇌졸중 후 손상된 신경 기능을 보완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연구진은 만성 피질하 뇌졸중을 유발해 운동 기능이 떨어진 ... ...
반복적인 스트레스 받으면 '가는귀' 먹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지각 능력 감소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반복적 스트레스가 동물의
감각
처리와 행동을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스트레스가 주로 정서적 자극에 관여한다는 기존 생각에 도전하는 연구"라며 "반복적 스트레스가 학습·기억 같은 복잡한 ... ...
새로운 자극, 뇌속 '메아리'로 식별…"조현병 치료 실마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1
자극을 구분하는 메커니즘이 발견됐다. 뇌는 '메아리'라고 불리는 흔적을 남겨 입력된
감각
에 대한 단기적인 기억을 형성하고 새로운 자극에 대한 반응을 강화시켰다. 연구결과는 조현병 등 기억 관련 질환 치료에 실마리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라파엘 유스테 미국 컬럼비아대 생물과학과 ... ...
[킁킁과학] 아기 정수리 냄새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과학동아
l
2025.02.08
아기 냄새도 빠뜨릴 수 없다. 후각은 갓 태어난 아기와 엄마에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감각
이다. 서로의 존재를 인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일 것이다. 1987년에 진행된 고전적 연구는 엄마의 90%가 갓 태어난 아기를 냄새만으로 찾을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뿐만 아니라 아기의 냄새는 맡는 ... ...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 피부
감각
재현…신개념 열전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이태윤 교수는 “섬유 한 가닥으로 인간의 다양한 피부
감각
을 재현하는 기술을 새롭게 제시했다”며 “향후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개인 맞춤형 건강 모니터링 및 비대면 스마트 의료기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 ...
[동물do감] 정전기로 벌새에 '무임승차'하는 진드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1.30
앞다리를 살핀 결과 화학적 신호나 열, 전기장을 측정하는 다른 곤충이나 거미의
감각
털과 유사한 구조가 확인됐다. 양쪽 앞다리를 제거한 진드기는 전기장에 끌리지 않았다. 한쪽 다리만 남아 있어도 전기장에 반응했다. 연구팀이 관찰한 19종의 진드기들은 선호하는 꽃이 각각 다르고 앞다리 ... ...
초고령화 사회, 신체활동이 '건강수명'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8
주 150분 중간 강도 운동은 건강하게 늙기 위한 필수 요소다. 근력이 증가하고 균형
감각
이 개선돼 낙상 위험을 줄일 수 있고 골밀도가 개선되며 일부 골관절염 증상은 완화될 수 있다. 인지 기능이 향상되고 기분 상태와 정신 건강도 개선할 수 있다. 취미생활이나 일상활동을 유지하고 싶은 ... ...
오랜만에 뵙는 부모님, 눈여겨 봐야할 건강 적신호는
동아사이언스
l
2025.01.27
잘 구분하지 못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보청기를 사용해도 잘 듣지 못하는 고도
감각
신경성 난청 환자의 경우 인공와우 이식수술을 통해 소리를 들을 수 있다. 인공와우 이식수술은 외부 소리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주는 기계를 귀 내부에 삽입하는 수술이다. ● “밤에 자꾸 화장실 가느라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이용해 생체 조직의 세포들을 빛으로 제어하는 유전학 기술인 광유전학의 창시자로
감각
, 인지, 행동의 세포적 기반을 이해하고 뇌와 행동 간의 연결 기전을 밝힌 공로를 인정받았다. 다이서로스 교수는 녹조류에 있는 청색광단백질 ‘채널로돕신’을 생쥐의 신경세포에 이식한 뒤 빛을 이용해 ... ...
신맛, 쓴맛 억제하는 신경세포 간 전기장 원리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5.01.20
심장과 뇌 신경세포에 분포하는 이온통로다. 연구팀은 나아가 초파리 미각기관에서
감각
모 전위 같은 미세환경 없이 신경세포 사이에서도 전기적 억제가 일어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초파리 미각기관을 보편적인 전기연접 억제 모델로 활용 할 수 있다는 점을 제시했다. 연구를 이끈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