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검지손가락
인지
집게손가락
뉴스
"
검지
"(으)로 총 76건 검색되었습니다.
볼리비아 판타지, 소금 호수와 밤하늘
팝뉴스
l
2017.06.02
제공 밤하늘이
검지
않고 파랗다. 하늘 가득 빛나는 별과 은하수 때문일 것이다. 그런데 밤하늘이 하나 더 있다. 사진 속 사람의 발아래에도 밤하늘이 파란 색으로 빛을 내고 있다. 자연의 아름다움을 다시 한 번 느끼게 만드는 화제의 사진은 볼리비아 우유니 소금 호수에서 촬영되었다. 수면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킬레스건의 재료과학
2017.03.07
뒤꿈치뼈에 달라붙어 있다. 아킬레스건은 우리 몸에 있는 힘줄 가운데 가장 커서 엄지와
검지
로 발목 뒤에 있는 아킬레스건을 쉽게 집을 수 있다. 참고로 힘줄은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조직이고 인대는 뼈와 뼈를 연결하는 조직이다. 의학서적에 아킬레스건이라는 용어가 처음 등장한 건 네덜란드의 ... ...
[카드뉴스] 똑똑한 필기구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7.03.01
손의 모양과 연필을 만드는 방법 때문입니다. 연필을 잡을 때 가운데 손가락과 엄지,
검지
는 삼각형을 이루는데요. 연필이 삼각형이면 버리는 나무가 많아지거나 연필심의 높이가 달라 만들기 어려워집니다. 사각형 연필은 잡기가 불편하죠. 원형 연필은 책상 위에서 굴러 떨어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 ...
[개소리 칼럼] (9) 강아지 훈련 어떻게 해야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18
검지
손가락을 하나 세워 보여줬습니다). (스케일이 좀 크지만) 먹을 것을 보여주고
검지
손가락을 하나 편 채로 ‘앉아’. 나중엔 손가락만 봐도 앉습니다. - 오가희 기자 solea@donga.com 제공 개들, 못알아 듣습니다. ‘주인아 네가 무슨 소리 하는지 모르겠고, 일단 난 그 간식을 ... ...
검지
가 약지보다 짧으면 운동신경이 좋다, 진짜?
2016.10.18
약지의 길이가 같은 경우에는 무언가에 대한 성실도가 높은 것을 볼 수 있었는데요. 이는
검지
가 약지보다 짧은 사람들이 속이는 행위를 할 가능성이 높은 것과는 대조되는 모습이라고 합니다. 또한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이 호르몬은 여러 질병과도 관련이 있는데요. ... ...
적외선 → 가시광선 바꾸는 ‘나노필름’ 나왔다
2016.10.17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를 응용해 눈에 보이지 않는 근적외선을 찾아낼 수 있는 광(光)
검지
기 개발에도 성공했다”며 “안개나 미세먼지가 자욱해 시야가 확보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사물을 또렷하게 볼 수 있는 이미지 센서 등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 ...
13년 동안 쓴 마우스
2016.10.04
003년부터 같은 마우스를 사용했어요. 청소는 거의 안 했고요.” 중지가 스크롤 담당이다.
검지
와 약지 그리고 손바닥 오른쪽이 마우스 표면을 문질렀다. 그 부분들은 깨끗하다. 그러나 마우스의 나머지 부분은 검은 때가 끼었다. 아주 오래된 때다. 사진은 공감도 산다. 매일 쓰는 마우스이지만 특정 ... ...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블랙홀이 빛을 내는 셈이라고 해석했다. 즉 호킹 복사다. 그 결과 ‘블랙홀은 더 이상
검지
않다’는 표현이 나왔다. 그런데 애초에 이 광자는 진공에서 태어난 가상 입자쌍 가운데 하나였다. 즉 가상입자에서 에너지가 양의 값인 진짜 입자가 된 셈이다. 그 결과 블랙홀을 벗어나지 못한 나머지 한 ... ...
손가락이 저리거나 손목 통증 있는 분들, 꼭 보세요!
2016.07.26
한다. 스마트폰을 터치 할 때도 엄지만을 이용하지 않도록 양손을 사용 해 가급적 엄지,
검지
를 번갈아가면서 눌러주는 것이 좋다. ※손목 터널증후군을 예방하는 방법 ① 일하는 중간중간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긴장을 풀어 준다. ② 마우스와 키보드는 책상 끝에서 12cm 정도 ... ...
신생아가 행동 따라한다는 속설, 틀렸다
과학동아
l
2016.06.13
보여주고 반응을 관찰했다. 이때 연구팀은 웃고 찡그리는 표정을 비롯해 주먹을 쥐거나
검지
손가락을 펴는 등 서로 완전히 다른 행동을 정확히 반복적으로 구사해 아기들의 반응을 살폈다. 기존의 연구들이 혀를 내밀거나 입을 크게 벌리는 한정된 행동으로만 실험을 해온 한계를 극복하기 ... ...
이전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