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구동장치"(으)로 총 275건 검색되었습니다.
- 신호등 색 감지하는 모자...일상복이 컴퓨터가 된다동아사이언스 l2024.02.02
- 실리콘과 게르마늄으로 만든 와이어 형태의 반도체가 담긴 스마트 섬유가 실패에 감겨있다. Zhixun Wang 제공 일상에서 입는 옷에 통신 장치나 센서 장치 등을 자연스럽게 부착할 수 있는 스마트 섬유 기술이 진보하고 있다. 시각 장애인의 눈을 대신할 수 있는 신호처리 기술이 탑재된 모자, 와이파이 ... ...
- 2초만에 이미지 '뚝딱'…ETRI, 초고속 생성형 시각지능기술 공개동아사이언스 l2024.01.26
- 연구팀이 문장을 입력해 이미지를 만드는 코알라(KOALA) 모델을 시연하고 있다. ETRI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생성형 인공지능과 시각지능 기술을 결합해 문장 입력 후 2초 만에 이미지를 만드는 기술을 일반에 공개한다. ETRI는 오픈AI의 달리3(DALL-E 3)보다 이미지 생성 속도가 5배 빠른 '코 ... ...
- 20큐비트 국산 양자컴 첫 시연 공개…"양자중첩 구현 등 기대 이상"동아사이언스 l2024.01.10
- 10일 서울 반포JW메리어트호텔에서 개최된 'K-퀀텀 스퀘어 미팅' 에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진이 화상 전화를 통해 20큐비트 양자 컴퓨터를 구동하고 있다. 박정연 기자 hesse@donga.com 2030년 500큐비트 이상을 목표로 하는 정부의 양자컴퓨터가 첫 발을 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이 주축이 돼 개발한 2 ... ...
- 로레알도 AI로 화장품 혁신…AI가 집어삼킨 2024 CES동아사이언스 l2024.01.08
- CES 2024 개막을 이틀 앞둔 7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컨벤션센터(LVCC) 센트럴홀의 모습. 연합뉴스 제공.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9~12일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전시회 ‘CES 2024’에서 뷰티, 유통, 건설 기업들이 인공지능(AI) 테크 관련 기조연설에 나선다. 화장품 회사로는 처음으로 로레 ... ...
- [과기원NOW] KAIST ‘헤라클레스 인공근육’ 2023년 10대 기술 선정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05
- 헤라클레스 인공근육을 인공 자벌레 소프트 로봇 분야에 활용한 모습. KAIST 제공. ■ KAIST는 김상욱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2022년 개발한 ‘헤라클래스 인공근육 기술’이 국제화학연합(IUPAC)에서 ‘2023년 10대 유망기술’로 선정됐다고 5일 밝혔다. 헤라클레스 인공육은 인간의 근육을 모방한 ... ...
- [과기원NOW] GIST, '슈퍼커패시터' 성능 높일 방안 찾았다 外동아사이언스 l2024.01.04
- 유승준 GIST 교수, 윤명한 GIST 교수, 이동욱 홍익대 교수, 박재일 GIST 박사과정생(왼쪽부터).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유승준·윤명한 신소재공학부 교수, 이동욱 홍익대 신소재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전해질에서 염의 농도를 변화시켜 슈퍼커패시터(Supercapacitor)의 주요 성능을 크게 향 ... ...
- 무게 대비 34배 강한 힘 내는 '인공근육' 소자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1.04
- 인공근육 소자를 활용해 유체 스위치를 개발한 오일권 KAIST 교수 연구팀. KAIST 제공 자신의 무게에 비해 34배 큰 힘을 내는 인공근육이 모터가 되어 움직이는 유체 스위치가 개발됐다. 소프트로봇, 웨어러블 장치 등에 적용해 효율을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AIST는 오일권 기계공학과 교수 ... ...
- 4000억 투자하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실질적 경제성 챙겨야"동아사이언스 l2023.12.29
- 냉각수 유출 사고의 주원인이 됐던 제어 장치를 원자로 안으로 집어넣는 '내장형 제어봉구동장치' 등의 기술이 추가된다. 추가 건설비를 줄이는 것도 i-SMR의 목표 중 하나다. i-SMR은 원자로가 보조설비를 공유하도록 설계돼 원자로 여러 기를 짓더라도 설비를 추가할 필요없다. 강한옥 원자력연 ... ...
- 멍게 껍질로 만든 전자소자, 군사의류·스포츠웨어 등 활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2023.11.21
- GIST-인하대 공동 연구팀이 연구한 (a) 멍게껍질 (b) 멍게껍질에서 추출한 셀룰로오스 (c) 나노화된 셀룰로오스. 첫 번째 이미지는 건조된 멍게 껍질, 두 번째 이미지는 추출된 셀룰로오스, 세 번째 이미지는 광학적 특성을 보여주는 나노셀룰로오스다.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해양폐기물에서 섬유를 ... ...
- 전고체전지 상용화 핵심 '저압 구동' 원리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23.11.12
- 연구팀의 연구 결과가 표지논문으로 선정된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에너지 머티리얼즈'.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전고체 전지의 열화 요인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전고체 전지의 안전성과 수명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전망이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정훈기 에너지저장연구센터 박 ... ...
이전23456789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