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이팟나노
아이팟
쥐샥
아이팟 나노
아이팟나mp3
아이팟나노 4
아이팟나노 512
뉴스
"
나노
"(으)로 총 3,6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노스페이스, 소형 위성발사체 '한빛
나노
' 첫 상업발사 하반기로 연기
동아사이언스
l
2025.05.27
한빛-
나노
발사체 체계연동시험 모습. 이노스페이스 제공 민간 우주 발사체 기업 '이노스페이스'가 소형 위성 발사체 ‘한빛-
나노
(HANBIT-Nano)’의 첫 상업 발사 일정을 7월에서 올해 하반기 중으로 연기한다고 27일 밝혔다. 일정 조정은 최근 단인증시험 준비 과정에서 발사체 1단부의 핵심부품인 ... ...
스스로 조립되는
나노
입자 전과정 관찰…'스케일링 이론' 가설 첫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25.05.26
규명한 첫 사례다"며 “향후 유기전자, 바이오센서, 약물전달체 등 첨단 기술에 필요한
나노
구조를 정교하게 설계할 수 있는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에 서명은 KAIST 교수, 조지프 P. 패터슨 미국 어바인 캘리포니아대 화학과 교수가 참여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매터 ... ...
금속 대신 탄소
나노
튜브로 만든 모터 코일…드론·전기차 경량화
동아사이언스
l
2025.05.25
생기는 강한 응집 현상을 해소해 CNT 표면에 자성 입자가 남지 않도록 만든다. CNT의
나노
구조를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불순물만 선택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공정으로 CNT 코일을 만든 뒤 모터에 적용해 모터의 분당 회전수(RPM)가 안정적으로 제어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한계가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콘택트렌즈가 생성하는 이미지의 흐릿함이다.
나노
입자가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에 콘택트렌즈가 생성하는 이미지가 흐릿하다. 또 야간 투시경과 다르게 콘택트렌즈는 사람이 LED에서 나오는 강렬한 적외선 신호만 볼 수 있게 한다. 연구에 참여한 마 위첸(Yuqian Ma) USTC ... ...
세포외기질의 동적 구조 정밀 모사 성공…조직 재생 연구에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차이에 따라 줄기세포의 부착 및 분화를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자기장에 의해 자성
나노
입자의 상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동적인 홈-능선 상태 전환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세포 거동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 생체 내 실험에서도 이러한 조절 효과가 유효함을 입증했다. 강 교수는 ... ...
머리카락 100분의1 두께 화면에 36개 이미지 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이용했다. 단단하면서도 빛이 잘 통과하는 ‘실리콘 질화물’을 이용해 원자만큼 작은
나노
미터(nm, 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메타원자’라는 기둥을 만들었다. 실험 결과 메타표면 구조를 가진 메타원자는 빛을 정밀하게 제어했다. 빛의 색(파장)과 회전 방향(스핀)에 따라 전혀 다른 이미지를 ... ...
자연 태양광만으로 수소 생산…고효율 광전극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2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기계연구원은 이지혜
나노
융합연구본부
나노
리소그래피연구센터장 연구팀이 비스무트 바나데이트(BiVO₄) 광전극의 생산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BiVO₄는 태양광 흡수율이 높고 수소 전환 효율이 우수한 금속산화물로 ... ...
스스로 분해하고 재조립하는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적용했다. 트랜지스터를 구성하는 전극과 반도체는 신축성 고분자를 기반으로 한 탄소
나노
튜브와 유기반도체를 혼합해 제작했고 절연막은 자가치유 고분자를 박막 형태로 코팅해 구현했다. 연구팀은 개발한 자가치유 트랜지스터가 수중 환경에서 동작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고 생체적합성 ... ...
인 회수·살균 동시 가능한 신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5.21
살균할 수 있는 수 처리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연구팀은 ‘성게 모양’의
나노
구조를 활용해 신소재를 개발했다. 개발한 소재는 1kg당 약 1.1kg의 인산염을 5분 만에 회수할 수 있다. 개발한 신소재는 전기 없이 작동 가능한 친환경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다. 외부에서 자석의 ... ...
백금 뛰어넘는 고성능·고내구성 연료전지 촉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GIST 제공 연구팀은 복잡한 공정 없이 열처리만으로 3가지 Pd-Se 결정상이 공존하는 '혼합상
나노
구조체'를 합성했다. 서로 다른 결정상 경계면에서 산소환원반응의 반응속도가 빨라지고 에너지 손실이 줄어드는 원리다. 연구팀은 물질 내부 전자의 모양과 에너지를 계산하는 밀도범함수 이론(DFT)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