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행성감기
인플루엔자
유행성 감기
감기
고뿔
뉴스
"
독감
"(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④ 육류와 근접 '식물성 대체육' 우려되는 조류
독감
도 예방
동아사이언스
l
2024.06.21
3월 미국에서 조류
독감
‘H5N1’이 소에서 인간으로 전염되는 사례가 발생했다. 조류
독감
은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다음 팬데믹이 될 가능성이 높은 감염병이다. 동물에서 인간으로 확산되는 감염병을 막으려면 동물과의 접촉 빈도를 줄여야 한다. 그 방안 중 하나가 육류 섭취를 ... ...
조류
독감
, 제2의 팬데믹 될 수도…"확산 위한 진화 중"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지켜봐야 한다. 로웨 교수는 ”
독감
바이러스는 유전자 교환에 능숙하다“며 ”계절성
독감
및 H5N1에 동시에 감염되면 H5N1이 유전자 교환을 통해 더욱 강력한 변이로 바뀌고 효율적으로 퍼질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 ...
휴가철 日 여행 비상…치사율 30% '식인박테리아'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6
내에 사망할 수도 있다. STSS는 발생을 막을 수 있는 백신이 아직 없기 때문에 감기나
독감
처럼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등 감염예방수칙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호흡기는 물론 점막이나 피부 상처를 통해서도 A군 연쇄상구균에 감염될 수 있으니 피부가 붉어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면 ... ...
초여름 더위에 냉방병 주의보…지속되면 '레지오넬라증'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잘 번식한다. 레지오넬라균이 냉각기를 타고 에어컨의 찬 공기를 통해 실내에 퍼지면
독감
이나 폐렴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냉방병으로 의심되는 증상의 정도가 심하거나 오래 낫지 않는다면 레지오넬라증을 의심해 봐야 한다. 냉방병은 치료하지 않아도 에어컨 사용을 자제하면 며칠 내로 ... ...
조류
독감
H5N2 첫 인간 감염·사망 사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인간이 H5N2 조류인플루엔자(조류
독감
)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고 6일(현지시간) 밝혔다. WHO는 4월 24일 멕시코시티 병원에서 사망한 59세 남성을 세계 최초로 H5N2 바이러스에 감염돼 사망한 것으로 분류했다. WHO에 따르면 이 ... ...
美 조류
독감
세번째 감염자 등장…호흡기 증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여전히 위협이 적다"고 밝혔다. 하지만 일부 전문가들은 농장 근로자의 조류
독감
추가 감염과 호흡기 증상에 우려를 표했다. 시마 락다왈라 미국 애틀랜타 에모리대 미생물학 및 면역학과 교수는 "바이러스가 인간의 몸에서 적응하면 호흡기에서 증식할 수 있는 능력을 얻어 사람 사이에서도 퍼질 ... ...
"미가공 우유 섭취 안돼"…조류
독감
감염 위험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바이러스가 존재했다. 쥐는 고양이나 조류의 먹이가 된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조류
독감
에 감염되는 쥐들이 늘어날 경우 다른 동물들의 감염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사람에게 미칠 영향은 상대적으로 불분명하다. 지난 22일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축산업 종사자 한 명의 ... ...
소·인간도 감염되는 조류
독감
변이 정체는
동아사이언스
l
2024.05.20
소의 다양한 조직 샘플에서 세포 표면 수용체를 분석한 결과 조류인플루엔자과 인간
독감
바이러스가 결합할 수 있는 수용체가 모두 발견됐다. 연구팀은 같은 세포에 두 가지 바이러스가 동시에 감염되면 '하이브리드 바이러스'가 등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소에서 바이러스가 변이돼 인간 세포에 ... ...
돌고래 뇌에 치명적인 염증 일으키는 조류인플루엔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연구원들은 일반적으로 AI가 영향을 주는 폐, 기관지 등 호흡기에서 큰 이상이 없어 조류
독감
을 의심하지 않았다. 뇌와 척수 내부에서 심각한 염증을 확인한 연구팀은 이를 일으킨 바이러스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 H5N1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대부분 뇌에서 AI 항원과 유전물질인 RNA가 나왔다. 또 ... ...
"美 젖소 감염시킨 조류
독감
더 일찍, 더 멀리 퍼졌을 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4.04.28
몇 달 전부터 바이러스가 확산됐다는 뜻이다. 현재 알려진 것보다 더 많은 소가 조류
독감
에 감염됐을 수 있다. 또 바이러스의 변이 중에는 바이러스가 포유류로 퍼질 수 있는 적응력과 관련된 단백질 영역의 변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는 감염된 소에서 다시 새와 고양이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