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둥지
둥우리
안식처
뉴스
"
보금자리
"(으)로 총 67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2016.04.07
세계 일주 항해를 떠났던 범선과 비슷하게 생긴 NGC 346은 소마젤란은하에 있는 태아별의
보금자리
다. 검고 길게 이어진 먼지 띠안에 수많은 태아별들이 숨어 있다. 남반구 호주나 뉴질랜드에 가면 밤하늘에 우리나라에서와는 다른 ‘별’천지가 펼쳐진다. 특히 낯선 천체 가운데 맨눈에도 잘 ... ...
28t 에밀레종 1000년 매단 비밀, 전통 단접기술 첨단산업 뜬다
2016.03.18
만큼 실제로 종걸이 쇠가 감당해야 할 무게는 28t이 넘었다. 결국 성덕대왕신종은 새로운
보금자리
에서도 옛날 종걸이 쇠에 걸렸다. ● ‘칼 강국’ 日, 獨은 전통 기술 현대화해 조남철 공주대 문화재보존학과 교수는 “전통 단접 방식으로 종걸이 쇠를 만들었기 때문에 옛날 종걸이 쇠가 더 ... ...
‘응팔-꽃청춘’이 떠난 나미비아는? “대륙이동설 증거가 있는 곳”
2016.02.25
유명한 ‘부시먼족’의 주 무대인 칼라하리 사막이, 북쪽으로는 야생동물의
보금자리
인 초원지대가 펼쳐진다. 칼라하리 사막은 반건조 기후의 초원에 가깝다. 짧은 풀과 관목이 듬성듬성 자라는 지역이다. 북쪽 초원지대에는 오릭스나 얼룩말, 혹멧돼지, 미어캣과 같은 다양한 야생동물이 살고 ... ...
(영상)개를 키우며 몰랐던 5가지 비밀
2016.02.25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행동도 같은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는데요, 사냥감을 자신의
보금자리
에 갖고 돌아오는 습성 때문이라고 합니다. Q5. 집안에 가구며 물건이 남아나질 않아요! 온갖 물건들을 물어 뜯습니다. 개의 씹는 행동은 탐색이나 놀이와 관계가 있습니다. 특히 밝은 색일수록 ... ...
미리내에 거대한 용이 산다
2016.02.25
주변 별빛이 오묘하게 빚어낸 작품이다. 이런 종류의 구름은 별이나 행성이 탄생할
보금자리
가 된다. 은하수에 용이 산다는 게 빈말이 아니었나 보다 ... ...
[반려동물 1000만 시대, 개와 고양이의 과학 ②] 먹이에 대한 본능은 정반대
2016.02.03
‘인간의 가장 오래된 친구’로 불리는 개는 1만5000년 이상 인류와 함께 지내며 안락한
보금자리
와 풍족한 먹을거리를 얻은 만큼 먹이 수호에 대한 본능을 잃어버린 것으로 보인다. 반면 고양이는 개보다는 인류와 붙어 지낸 기간이 짧은 만큼 이와는 다른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 ● 개, 먹이 ... ...
수컷이 바람 피우는 이유가 기억력이 나빠서?
2015.12.13
외도를 일삼는 수컷 쥐는 단기 기억력이 떨어져 제 집을 찾지 못했고, 결국 다른 암컷의
보금자리
에 들어가 바람을 피운 것이다. 연구팀은 “일부 수컷 쥐의 나쁜 기억력은 우연히 만들어진 것이 아닌 ‘자연선택’의 결과”라며 “독자적인 방식으로 진화한 번식 형태”라고 설명했다. 나쁜 ... ...
썩은 그루터기도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
가 된다
2015.09.20
그러다 아무런 쓰임새도 없어 보이는 썩은 그루터기조차 귀한 생명을 품어 내는
보금자리
가 된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지난 봄 책의 저자 김성호 서남대 교수를 만났던 일이 떠올랐다. 기차역으로 바래다주던 김 교수가 갑자기 차를 세우더니 앞좌석에서 쌍안경을 꺼냈다. 잠시 숨을 죽이고 논 ... ...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
과학동아
l
2015.06.30
다르게 특별해진 것이다. 시아노박테리아는 지금도 생물막을 만들어서 자신들의
보금자리
를 꾸미는 방식으로 성장한다. 하지만 먼 후손인 연체동물이 이 생물막을 먹이로 삼기 때문에 스트로마톨라이트를 만들기란 쉽지 않다. 다만 염도가 높은 특수한 조건에서는 연체동물이 살 수 없기 때문에 ... ...
[메르스 업데이트] 박쥐는 어쩌다 인간 감염병 바이러스의 온상이 됐나
2015.06.19
최다 보유 동물’이 된 이유로 생활 방식을 지목했다. 박쥐는 동굴이나 폐광 등을
보금자리
로 삼아 한 장소에 여러 종이 떼로 모여 산다. 이 때문에 한 마리만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무리 속으로 급속히 전파된다. ● 체온 38~41도 유지…바이러스와 공존하는 ‘보균자’ 박쥐는 바이러스에 ... ...
이전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