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발
개척
뉴스
"
실용화
"(으)로 총 687건 검색되었습니다.
충방전 1000회에도 멀쩡한 물 기반 리튬이온배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5.02.12
가 대안으로 연구되고 있다. 수계 리튬이온배터리는 물의 화학적 특성으로 인해
실용화
에 제약이 있다. 물이 전기화학적으로 안정하게 존재할 수 있는 전압 범위인 '전위창'이 좁아 배터리의 성능이 제한되고 물 분자의 높은 반응성 때문에 배터리 수명이 짧다. 연구팀은 물의 반응성을 억제하는 ... ...
2월 과학기술인상에 이건재…면발광 마이크로LED 마스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2.05
이를 기반으로 피부 밀착형 면발광 마이크로 LED 마스크를 개발해 고성능 유연소자의
실용화
를 선도한 공로를 높이 평가받았다.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주목받는 마이크로 LED의 제작은 성장 기판(재료 기판)에서 최종 기판으로 LED 칩을 정밀하게 배치하는 ‘전사 공정’이 가장 중요하다. 기존의 ... ...
[미리보는 노벨상]① 인류 최대 도전 '기후위기', MOF가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25.02.01
캘거리대 화학과 교수팀이 MOF의 일종인 CALF-20 상용화에 성공하기도 했습니다. MOF가
실용화
된 미래에 대한 질문에 문 교수는 더 큰 그림을 제시합니다. 그의 연구팀은 투명한 액체 및 유리 MOF 재료를 개발하고 있으며 그는 MOF의 미래를 이렇게 그렸습니다. "우리가 반도체를 발견하고 삶이 바뀐 ... ...
18회 아산의학상에 칼 다이서로스·안명주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통해 AI 기반 바이오마커 개발과 혁신적인 항암 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공간전사체 연구를
실용화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아산사회복지재단은 기초의학 및 임상의학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이룬 의과학자를 격려하기 위해 2008년 아산의학상을 시상한다. 올해까지 총 53명이 수상했다. ... ...
유튜브 영상을 즉시 입체로…고성능 홀로그램 전환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21
작은 폼팩터로 실시간 홀로그램을 생성할 수 있어 이번 연구결과가 홀로그래피 기술
실용화
를 위한 중요한 진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
1월 대한민국 엔지니어상에 이기양·박창민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매진한 재료 분야 전문가인 이 책임연구원은 세계 최고 수준의 연자성 소재를 개발·
실용화
했다. 연자성 소재는 외부 자기장에 의해 쉽게 자기특성이 변화되는 자성 재료다. 소재와 부품 경쟁력을 확보하고 하이브리드 및 전기차에 적용해 국내 자동차 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 ... ...
[과기원NOW] KAIST 창업기업, CES 2025 이노베이션 어워드 수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기존 플렉서블 광전극의 구조적·성능적 한계를 극복하고 태양에너지 기반 수소 생산의
실용화
가능성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 doi.org/10.1039/D4TA0670 ... ...
[과기원NOW] 김재현 DGIST 책임연구원, 태양광발전학회 회장 취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년이다. 김 신임 회장은 태양광 및 관련 융합소자와 태양광용 에너지 저장 소자 분야에서
실용화
와 대중화를 목표로 폭넓은 연구를 진행하며 국내외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화재 위험성이 없는 안전한 고체전해질 연구를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이상한 ... ...
나방에서 폐플라스틱 처리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2.26
플라스틱 분해 효소의 작용기전을 더욱 명확히 해 효소를 활용한 폐플라스틱 처리의
실용화
가능성을 최초로 보여줬다”라고 밝혔다. -https://doi.org/10.1016/j.jhazmat.2024.13626 ... ...
[과기원NOW] 포스텍, 전해질로 친환경 암모니아 생산 효율 높이는 기술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10
에서 제24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인상을 수상했다고 10일 밝혔다. 신 교수는 '
실용화
를 위한 2차원 소재 대면적 성장 및 계면 제어 연구'로 반도체를 대면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