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림
놋그릇
녹그륵
놋기명
유기그릇
놋쇠 제품
놋그릇제조소
뉴스
"
유기
"(으)로 총 1,478건 검색되었습니다.
배경훈 장관 후보자 "과학기술과 정보통신 부처 분리도 아직 논의중인 안"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그는 "사실 AI라는 것이 과학기술 그리고 정보통신 기반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라며 "
유기
적으로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안이 도출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30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심의 예정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에 국정 방향이 잘 담기지 않았다며 ... ...
[과기원NOW] KAIST, AI로 '이산화탄소 포집' 유망 소재 찾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 포집에 적합한 금속-
유기
구조체(MOF)를 빠르고 정확하게 선별할 수 있는 기계학습 기반 시뮬레이션 기법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KAIST는 김지한 생명화학공학과 교수팀이 영국 임페리얼 칼리지 런던 연구팀과 공동 연구로 ... ...
수소 공급 없이 자일로스서 자일리톨·자일론산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25.06.29
선임연구원이 백금(Pt) 촉매 기반 전이 수소화 반응을 활용해 자일로스를 고부가
유기
산·당알코올로 동시에 전환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기존에 자일로스를 자일리톨, 자일론산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고온·고압 조건에서 외부 수소나 산소를 투입해 생산해 에너지가 많이 필요하다는 ... ...
[사이언스영상] 마른 사막에서 물 짜기
SEIZE
l
2025.06.28
부족한 양이지만 기존의 응축 기술들을 쓰기 어려운 환경에서 빛을 발한다. MOF(금속
유기
골격체) 기반의 기존 물 생성 장치는 전력을 필요로 하는 데다 단가가 높아 대량 설치가 어려웠다. 반면 MIT의 창문형 물 생성 장치는 값싸고 구조가 단순하다. 기계나 전력 없이 햇빛만으로 작동해 고장 우려도 ... ...
눈물 안 흘리고 양파 자르는 법
과학동아
l
2025.06.28
'Syn프로파넨티알-S-옥사이드'라는 물질 때문이다. 이 물질은 최루가스와 유사한 황 함유
유기
물질로 양파 세포가 손상되면서 만들어진다. 이 물질이 눈에 닿으면 눈물샘을 자극해 눈물이 난다. 정성환 교수팀은 이 물질이 공기중으로 덜 흩날리게 하면 눈의 자극도 덜 할 것이라 추측했다. 이를 ... ...
송신·암호화 동시 처리…'100배 빠른 라이파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EQE)은 17.4%로 상용화 기준 20%에 근접한 수치를 기록했다. 밝기의 경우 스마트폰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화면 최대 밝기보다 10배 이상 밝은 2만9000니트를 기록했다. 고속 데이터 송신에 필요한 충분한 광출력을 확보한 것이다. 연구팀은 나아가 ‘과도 전계 발광 분석’을 통해 수백 나노초 단위의 ... ...
[재생의료 최전선]④ "약물의 인체 테스트 대체하는 '오가노이드' 고도화 선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있어 오가노이드가 잘 생착되도록 돕는다. 접착 소재들을 이용해 오가노이드끼리도
유기
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단일 장기를 넘어 순환계, 신경계, 내분비계, 소화계 등을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Q. 오가노이드를 동물 실험 대신 사용했을 때의 장점은 무엇인가. “동물은 인간과 유전적, ... ...
레고처럼 조립했더니 14배 밝아진 금속 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방식을 통해 기존 한계를 뛰어넘는 방법을 찾았다. 연구팀은 금 나노클러스터를
유기
화합물 ‘머캅토벤조산’으로 조각조각 분해한 다음 사이사이에 구리를 끼워 넣어 ‘금-구리 합금 나노클러스터’로 재조립했다. 나노클러스터를 원자 단위에서 정교하게 설계한 방법으로 기존보다 밝은 ... ...
AI 만능? 계산화학은 달랐다…100배 효율 높인 인공효소 설계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설계된 효소는 '켐프 제거 반응'을 촉진하는 촉매 역할을 한다. 켐프 제거 반응은 특정
유기
분자에서 탄소 원자에 결합된 수소 이온을 제거하는 반응이다. 효소 촉매 반응 연구나 인공 효소 개발 실험에서 ‘모델 반응’으로 자주 쓰인다. 자연계에는 켐프 제거 반응을 활발하게 만드는 효소가 ... ...
배터리 화재 원인 '열폭주' 막을 전해질 기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온도가 치솟아 발화, 폭발로 이어지는 현상이다. 리튬이온 배터리에 널리 쓰이는
유기
전해질은 상온에서도 쉽게 인화돼 발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경우도 있다. 불이 잘 붙지 않는 난연성 전해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다. 현재까지 개발된 난연성 전해질은 주로 불소(F)계 고농도 염이나 불소 원자를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