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식
후예
혈통
씨앗
종자
뿌리
근본
뉴스
"
자손
"(으)로 총 215건 검색되었습니다.
찰스 다윈의 '인간 유래와 성 선택' 150주년, 현대 과학이 평가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5.21
꼽힌다. 다윈은 1859년 발표한 '종의 기원'에서 경쟁에서 환경에 적응한 것이 생존해
자손
을 남기며 진화한다는 자연선택설을 발표하며 창조론이 주류이던 당대 사회에 큰 충격을 줬다. 다윈은 그 다음으로 발표한 '인간의 유래와 성 선택'에서 유인원과 인간의 차이를 협동심과 학습 능력, 문화의 ... ...
[표지로 읽는 과학] Y 염색체 없는 들쥐는 어떻게 수컷을 결정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1.05.09
염색체인 셈이다. Y 염색체에서 유래한 유전자들은 X-Y 하이브리드 염색체를 통해
자손
에게 전달된다(Xm). 반면 Xp 염색체에는 Y 염색체에서 유래한 유전자들의 흔적만 남아있을 뿐 발현되지 않는다. 연구진은 그 증거로 들쥐의 암컷에서 Y 염색체에서 기원한 유전자가 최소 2개가 발현된 사실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호모 에렉투스, 사건의 재구성
2021.04.27
드마니시인의 후손이 아니라 약 150만 년 전 아프리카에서 건너온 호모 에렉투스의
자손
일 가능성이 크다. 어쩌면 드마니시인을 호모 에렉투스로 보는 게 무리일지도 모른다. 뜻밖에도 이번 연구를 이끈 사람 역시 마르시아 폰체 드 레온 박사다. ○ 유인원형 뇌 vs 현생인류형 뇌 대형 유인원의 ... ...
[르포]기후변화로 멸종위기 맞은 ‘구상나무’, 유전자 관리로 제2 전성기 꿈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6
트리로 가장 잘 알려져 있기도 하다. 해외에 있는 구상나무들이 한국 구상나무의
자손
들인 셈이다. 연구팀이 복원 시험지의 데이터를 추출하고 있다. 거창=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다만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한국 구상나무의 자생지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기후변화로 구상나무가 서식하는 ... ...
유전자 교정 기술로 모기 말라리아 전파 능력 없앴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4.14
또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가진 모기와 일반 말라리아 매개 모기와의 사이에 태어난
자손
도 항말라리아 유전자를 가졌다. 윈드비클러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유전자 교정 모기는 말라리아 퇴치를 위한 실제 방사 시험에서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생명공학에서는 감염병 ... ...
자손
낳는 인공생명체 세계 첫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1.03.30
갖추고 생존할 수 있음을 보여 생명체의 기본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 받았지만,
자손
번식에서는 크기와 형태가 고르지 못하게 분열하는 등 한계를 드러냈다. 연구진은 5년간 세포 분열에 관여하는 유전자 7개를 포함해 총 19개의 유전자를 찾아내 JCVI-syn3.0에 추가했다. 그 결과 세포 분열을 ... ...
[인간 행동의 진화]집단의 믿음이 아이스크림 맛을 규정한다
2021.03.07
구분하는 것은 인간의 진화적 본성이다. 고양이와 호랑이를 차별 없이 대하던 조상은
자손
을 남기기 어려웠을 것이다. 우리는 어떻게든 차이를 만들고, 집단을 구분한다. 기존의 차별이 사라진 곳에는, 새로운 차별이 등장할 것이다. 그렇게 쉽게 바뀌지 않는다. 유연한 인간성을 너무 무시하는 것 ... ...
손가락 비율 과학 논란 속 英 학자 "부모소득 수준 영향" 논문 또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1.02.13
발표한 논문에 처음 공개한 가설이다. 이 가설에 따르면 일부다처제를 따르는 동물은
자손
을 많이 퍼뜨리려면 낳을 수 있는 자녀 수가 제한된 암컷보다 많은 암컷을 차지할 수 있는 수컷을 낳아 강하게 기르려고 한다. 하지만 여건이 되지 않으면 강하게 기를 수 없고 결국 경쟁에서 밀릴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진화론의 현대적 종합
2021.02.04
이 이론에서는 장바티스트 라마르크의 '용불용설'처럼 획득형질이 유전될 수 있으며
자손
의 형질은 부모형질이 적당히 평균적으로 뒤섞인 형태로 드러난다. 다윈이 이처럼 잘못된 유전이론을 끌어안고 있었던 데에는 그레고어 멘델의 완두콩 연구결과가 제대로 소통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바이러스 변이체 위협적인가?
2021.01.12
감염되면 일반적으로 바이러스가 한 번 복제하면서 몸 밖으로 빠져 나간다. 바이러스
자손
에게 계속 전달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돌연변이가 확립되기 어렵다. 하지만 면역이 약화된 환자에서는 코로나바이러스가 수개월 동안 머무르며 복제를 거듭하면서 연속적으로 돌연변이를 일으킨다. 장기간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