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갈
모래알
돌
뉴스
"
작은 돌
"(으)로 총 199건 검색되었습니다.
용암 바다 출렁이고
돌
로 된 비 내리는 지옥같은 행성
연합뉴스
l
2020.11.04
지구에서 198광년 떨어진 물병자리의 별을
돌
고 있는 지구 크기의 암석형 행성 'K2-141b'가 이런 ... 우주망원경이 천체면 통과 방식으로 태양보다
작은
K형 주계열성을 6.7시간 주기로
돌
고 있는 것을 처음 확인했다. 맥길대학과 과학 매체 등에 따르면 연구팀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K2-141b가 가진 ... ...
지구에 붙잡힌 '
작은
달' 알고보니 54년전 임무 실패한 로켓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10.13
지구 중력에 붙잡혀 수 개월간 지구 주변을
돌
게 될 물체가 발견됐다. 천문학자들은 이 물체가 ... 나왔다. AP통신은 지구가 일시적으로 붙잡은 ‘
작은
달’이 소행성이 아니라 54년 전 실패한 임무에서
돌
아오는 로켓일 수 있다고 이달 12일 보도했다. 이번에 발견된 물체는 지난달 17일 하와이에서 ... ...
소행성 베누가
돌
조각을 뿌리는 이유
과학동아
l
2020.10.05
약 2억9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베누(Bennu) 표면에서 지름 10cm 이하
작은
돌
조각이 떨어지는 현상이 포착됐다. ② 2019년 2월 11일 베누에서 나온
돌
조각이 주변을 도는 모습을 영상으로 재구성했다. 지구에서 약 2억9000만km 떨어진 소행성 ‘베누(Bennu)’의 표면에서 10cm 이하
돌
조각들이 떨어져나오고 있는 ... ...
소행성 베누, 표면은 살아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0
아닌 소행성 표면에서 튀어나온
작은
돌
조각인 것으로 밝혀졌다. 오시리스 ... 해가 사라지는 부위에서 주로
작은
돌
맹이 만한
돌
조각들이 튀어나온다는 것이다. 과학자들은 두 가지 가설을 제안했다. 우선 열에 의한 균열이
돌
조각을 만들었을 거란 주장이다. 베누 표면의 바위는 태양을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그리고 지역적 극한 강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작은
규모 날씨 현상의 발생 빈도가 해마다 다르게 ... 평년과 다르게 바뀌면 대기 정체파(연못에
돌
을 던지면 발생하는 잔물결과 유사)가 발생될 수 ... 상호작용하면서 바람의 방향을 바꾸고,
작은
날씨 요란들의 경로를 바꾸거나 강도를 변화시킨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산혁협동에서도 연구윤리를 지켜야
2020.07.22
금지에 관한 법률(김영란법)에 따라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 아무리
작은
규모의 용역이라도 대학과의 공식 계약이 반드시 필요하고, 그에 따른 ... 없다. 산학협동은 두 번 세 번 두들겨 보고 나서 건너야 하는 위험한
돌
다리와 같은 것이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 ...
세계 최초 곤충 액션캠이 촬영한 세상 모습
동아사이언스
l
2020.07.17
공개했다. 곤충은 높은 이동성을 가진 동물이다. 땅바닥의
돌
같은 각종 장애물을 훌쩍 뛰어넘고 물 표면을 걸어다니기도 한다. 연구팀은 곤충의 이런 이동 능력을 연구하기 위해 곤충에 매달 수 있는
작은
액션 카메라를 개발했다. 스마트폰에 달려있는 소형 카메라도 충분히 작지만 곤충의 ... ...
달 낙석 13만6610개 담은 '낙석지도' 보니.. "달 표면 지금도 변하는 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6.10
달의 남위 26도, 서경 85.1도에 자리한 니컬슨 충
돌
구에는 달 표면에서 떨어져 나간 바위 수십 개의 ... 촬영한 달 표면 영상 200만 개를 분석해
돌
이 떨어져나간 흔적을 지도화했다. 달의 북위와 ... 7~10m 사이”라며 “초기 달 탐사선은 이 정도로
작은
물체를 감지할 수 없었지만 달 정찰 인공위성이 200 ... ...
지구의 날 50주년 "지구 살리려면 원주민의 지혜 배워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전통적인 관습은 1980년 부르키나 파소에서 부활했다. 우기가 오기 전 땅에
작은
구덩이를 파고 퇴비와 비료를 넣은 뒤 씨를 심는 방법이다. 이는 지구 ... 보여주는 상직적인 유적지다. 안데스 산맥의 높고 추운 땅을 파서 세운
돌
담 사이에서 경작했다. 맞추픽추에서 보여준 고대 기술로 잉카 제국 ... ...
[표지로 읽는 과학] 소행성 류구가 밝혀줄 태양계 형성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3.28
제공. 노랗고 붉은
돌
덩어리가 마치 지구로 떨어지는 유성을 연상시킨다. 탄소가 풍부한 이른바 ... 연구팀의 분석 결과 소행성 류구는 서로 결합되는 힘이 약한
작은
다공성 물질이 결합한 천체인 것으로 나타났다. 구멍에 해당되는 면적이 류구 소행성 전체 표면의 약 30~50%에 달하는 것으로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