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계측"(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전 규제, 생각보다 더욱 철저하고 꼼꼼하더라동아사이언스 l2015.11.06
- 동탄 공장에도 직접 견학을 추진해 줬으면 하는 바람을 비쳤다. 사이버보안 입장에서 계측 제어 시스템을 만드는 곳을 직접 확인해 두면 업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 때문이다. 김 씨는 여기에 더해 경주 방사선 폐기물 처리장도 견학코스에 포함 시켜 주기를 희망했다. 박포일 씨는 ... ...
- 3세대 한국형 원전, APR+한국원자력문화재단 l2015.09.25
- 그간 원전의 가장 핵심적인 기술인 원전설계핵심코드와 원자로냉각재펌프, 원전계측제어설비는 외국의 기술을 쓰고 있었다. OPR1000과 APR1400이 한국의 고유 원전 모델이기는 하지만 핵심 설비의 국산화가 미비한 탓에 수출에 성공하더라도 로열티 손실이 발생한다. APR+는 이러한 미자립 기술까지 100% ... ...
- 북한은 정말 2010년에 핵실험을 했을까2014.12.04
- 2.9t 정도로 약해 공사장에서도 일어날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당시에 국내에서 계측이 안 된 이유는 관측소가 폭발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있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 정도 폭발 규모면 관측소가 반경 200km 안쪽에 위치해야 하고, 그마저도 파형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겨우 찾을 수 있는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2편]동아사이언스 l2014.03.19
- 학부에서 다루는 4가지 연구분야는 무엇인지에 대한 미니강연과 함께 전기, 전자, 제어계측공학이 통합된 배경과 인공망막 기술의 원리와 한계점은 무엇이며, 우리나라 생체전기공학의 기술 수준은 어떤지 등 전공적성부터 미래전망까지 다양한 질문과 답변을 들어본다. ◆ MC: ... ...
- 산기협, 2014년도 기술경영인상 수상자 선정KOITA l2014.02.25
- 선정된 ㈜에디테크 최상준 대표는 전력계측 분야의 전문가로, 수입에 의존해온 전력계측기를 국산화 하는 등 국내 전력 IT설비의 선진화에 기여했다. 특히 한국전력공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절대상 검출시스템’은 배전선로에서의 절대상 관리를 통해 장시간 정전에 의한 피해손실을 예방하고, ... ...
- 이달의 엔지니어상 2월 수상자 선정KOITA l2014.02.13
- 국제규격과 선주(船主) 요구를 충분히 만족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진동소음 해석?계측시스템 구축과 함께 세계최고 수준의 방진방음설계 및 생산품질관리를 실현하여 세계최고의 품질로 인정받았다. o 수상자는 소음품질 만족도 개선을 위한 발전기 엔진의 배기용 고성능 감음기 고유모델을 ...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제6편]동아사이언스 l2013.12.18
- 차상균 교수를 만난다!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는 과거 전기, 전자, 제어계측공학과가 통합된 전공이라는데, 이 학과는 구체적으로 어떤 분야를 공부하는 곳인지 차 교수의 미니강연을 통해 알아보고, 연구분야인 인메모리 데이터베이스란 무슨 뜻이며, 향후 소프트웨어 산업의 메가트렌드(Mega ... ...
- 말레이시아 노후 연구로‘두뇌’우리 기술로 바꾼다동아사이언스 l2013.07.05
- 요르단 연구로 건설사업(‘10년), 그리스 연구로 개선 자문사업(‘09년), 태국 연구로 계측제어계통 교체지원 사업(‘09년)에 이은 4번째 연구로 기술 수출로, 우리나라가 앞선 기술력을 바탕으로 세계 연구로 시장에서 주요 공급자의 위치를 확보해나가고 있음을 재확인한 사례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 ...
- [연구실 탐방]RDMIS 연구실 고속, 고감도의 방사선 검출을 선도한다KAIST l2013.05.22
- 등의 제품을 공급하는 알짜배기 회사가 하마마스다. 한국에도 하마마스와 같은 방사선 계측 소자 전문회사를 만드는 것이 두 번째 꿈이다. 궁극적으로는 이 두 꿈을 이루어 우리가 방사선을 이용해서 많은 일을 해내고 있다는 사실을 대중에게 떳떳하게 알리고 자랑스럽게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양성” 동아사이언스 l2009.09.02
- 연구원 1978 ~ 1979년 미국 연방표준국 객원연구원 1979 ~ 2001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계측기기센터, 기술기기지원부, 전자기연구부 부장 2002 ~ 2005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장 2007~ 현재: 제2대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총장 -------------------------------------------------------------------------------- ※ 이 기획기사 ... ...
이전234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