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타인
남성
남자
남방
남녘
남방셔츠
스페셜
"
남
"(으)로 총 475건 검색되었습니다.
[의학사로 보는 세상] 18세기 말 키 2.3미터 거구 시체의 해부
2023.03.14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실험하는 일은 오늘날 연구윤리에서 받아들여지지 않는 일이고,
남
의 시체를 파헤쳐 임의로 사용한 후 돈으로 갚는 일도 현재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존 헌터가 의학발전에 공헌한 것은 지금은 받아들여지지 않는 당시의 시대상황이 도움을 준 셈이다. 다른 여러 사람들의 ... ...
[일상 속 뇌과학] 아는 음식 맛 참기 어려운 과학적 이유
2023.02.24
저장되고 떠올려지기 때문일 것이다. 새로운 신경회로망이 밝혀졌지만
남
아 있는 의문도
남
아 있다. 음식 자체에서 유래한 특정 신호가 이번에 밝혀진 신경회로망을 통해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을까. 섭취한 음식과 그에 따라 변화한 장내 미생물 및 부산물들의 변화가 혈액 등을 통해 뇌로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 이집트 미라 방부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2.11
나무 수액은 현재 중동 시리아 부근인 레반트에서, 엘레미 나무 수액은
남
아시아나 동
남
아시아의 열대우림에서 구한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미라가 장거리 무역을 촉진하는데 도움이 됐을 수 있다”며 “미라를 만든 뒤 목관에 넣어 매장했던 고대 이집트인들이 시신을 박테리아나 ... ...
[기후위기와 산림]
남
한·북한 가리지 않는 기후위기...“북한은 더 심각”
2023.02.09
함께 한반도의 산림을 복구하고 가꿔야 할 때다.
남
과 북이 함께 살아갈 한반도를 위해
남
북 산림협력이 다양한 사업으로 활성화되길 기대해본다. 박소영 국립산림과학원 국제산림연구과 연구사 오삼언 국립산림과학원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을 자랑하지 않아야 행복하다
2023.01.14
보인다. 여기에 체면을 중시하는 문화가 더해지면 사람들은 실제 잘 사는 것보다도
남
들에게 잘 사는 것처럼 “보이는” 것을 중시하게 된다. 그 결과 자신이 진짜로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할 기회조차 갖지 못한 채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좋은 삶, 좋은 학교, 좋은 직장, 결혼 등등을 좇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이산화탄소로 만드는 생분해플라스틱
2023.01.10
두 번째로 맞춘 '새'가 바로 이산화탄소 절감이다. 물론 광합성을 하는 미세조류(
남
세균)로 PHA를 만드는 시스템도 개발됐지만, 아직은 효율이 낮다. 현재 상용화된 시스템에 쓰이는 미생물들은 포도당 같은 먹이를 PHA로 바꾸므로 그 자체로 이산화탄소를 소모하지는 않는다. 그런데 포도당 대신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천년 이어진 장기 이식...'이식용' 부족 해결해야
2023.01.03
병원체가 침입하는 경우에는 방어를 위해 아주 유용한 기능이다. 하지만 이식을 통해
남
의 것을 내가 활용하고자 할 때는 면역거부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이같은 면역학적 지식이 20세기 중반이 되어서야 조금씩 알려지기 시작했으므로 자신의 피부를 이용하는 경우를 제외한 이식술은 그 후에야 ... ...
[기후위기와 산림] 기후위기 시대 탄소 역배출로 재조명받는 '숲'
2022.12.22
기후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면서 ‘기후위기’는 더 이상
남
의 이야기가 아니게 된 것이다. 국제사회는 1992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을 채택한 이후 지금까지 약 30여 년 간 기후변화 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해왔다. 협약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람은 거기서 거기"...나에게 어려운 건
남
들도 어렵다
2022.12.03
하기 전에 사기꾼들을 만났던 탓이 크다. 학교에서 하는 설문조사라고 해서 의심 없이
남
긴 개인정보가 엉뚱한 종교 단체에 흘러가 있었다. 학교에서 하는 설문이라는 말은 거짓이었고, 선배라는 사람들이 포교를 위해 같은 학교 신입생을 낚는 형태의 사기였다. 그렇게 뭣 모르는 신입생들의 대학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아무리 이론적으로 완벽한 걸 개발한다 해도 사용해 보기 전에는 효과를 알기 어렵다. 또
남
에게서 나타나는 효과가 내게 똑같이 나타나는 것도 아니다. 물리학에서 빛이 직진한다는 과거의 진리가 아인슈타인에 의해 아주 인력이 큰 물체 옆을 지나가는 경우 빛도 굽어진다는 것으로 수정되기는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