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공
인조
모조
인공적임
스페셜
"
인위
"(으)로 총 182건 검색되었습니다.
같은 코로나19 걸렸는데도 더 아픈 사람 따로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9
부분이 바이러스를 감지해 더 이상 증식하지 못하도록 방해한다고 분석했다. 유전자에
인위
적으로 프레닐화 하지 못하게 하는 돌연변이를 일으키는 실험을 통해 정상 OAS1이 가진 항바이러스 효과는 돌연변이 OAS1보다 100배가 넘는 것으로 확인됐다. 연구팀은 OAS1에 이런 변이를 가진 사람이 전 세계 ... ...
[프리미엄 리포트]윤리에 눈뜬 AI, 망각에 손 내밀다
과학동아
l
2021.09.11
가중치를 해치지 않는 선에서 다음 작업을 학습시키는 방법이다. 가중치의 이동을
인위
적으로 제한한 상태에서 학습을 진행하면서 AI의 성능은 기대치를 밑돌았다. 순차적 반복 학습은 이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탄생했다. 가중치의 변화는 어느 정도 인정한 상태에서 두 가지 작업을 반복적으로 ... ...
미 정보당국도 코로나19 기원 결론 못 내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25
23일(현지시간) 미국 경제전문방송인 CNBC와의 인터뷰에서 "바이러스 자체는 사람이
인위
적으로 조작해 만들었다는 증거가 없다"며 "코로나19가 여러 동물 숙주를 거치면서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콜린스 원장은 "우한바이러스연구소 과학자들이 동물을 비밀리에 연구하다가 유출시켰을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mRNA 백신과 진화
2021.08.12
않는다. 자연계에 보이는 특별히 선택된 RNA분자들의 핵산 또한 메틸화되어 있거나 혹은
인위
적으로 메틸화시킬 수 있는데, 이들이 면역계를 어떻게 자극하는지는 아직 알려져 있지 않다. 우리는 RNA가 인간의 톨유사수용체인 TLR3, TLR7, TLR8을 통해 면역계에 신호를 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하지만 ... ...
여성 폐경 늦추는 유전자 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8.05
예측하고 가임력을 언제 잃는지 알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폐경을 늦추기 위해
인위
적으로 유전자 기능을 조절하는 연구는 아직 인간을 대상으로 테스트할 준비가 되지 않았다. 그러나 불임을 개선하거나 생식 수명을 늘리는 치료법이 개발될 수 있다. 부작용에 대한 우려도 제기된다.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콧속 섬모세포에서 복제·증식하는 코로나19 바이러스
2021.07.28
초기 감염 기전 파악이 어렵다. 또한 그동안 실제 사람이 아닌 배양세포나 실험동물에
인위
적 감염을 일으켜 병리기전을 연구했다는 실험적 한계도 있었다. 필자가 이끄는 기초과학연구원(IBS) 혈관 연구단은 이창섭 전북대 감염내과 교수팀과 함께 ‘코로나19 대응 공동연구팀’을 꾸려 이러한 ... ...
[랩큐멘터리]물고기 수은 중독 원인 찾는 환경과학수사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10대 오염 물질 중 하나다. 수은은 석탄발전소나 폐기물 소각, 시멘트 생산 과정 등
인위
적 활동을 통해 환경으로 배출된다. 한번 배출되면 어떤 방식으로도 분해되지 않고, 다른 중금속에 비해 휘발성이 높아 대기를 통해 극지방으로 날아간다. 사람은 수은이 축적된 물고기를 먹고 수은에 노출된다. ... ...
원자 두께 2차원 반도체 쌓아 초격자 구현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7.19
성장법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반도체 초격자는 서로 다른 원자의 주기적 배열을
인위
적으로 조절해 주기적인 층을 이루도록 쌓은 구조를 말한다. 각 층 두께는 수 나노미터(nm·10억 분의 1m)다. 질화갈륨 등 화학물질을 수 nm로 쌓아 만드는 발광다이오드(LED)가 대표적이다. 하지만 2차원 반도체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이산화탄소 배출 줄었지만 여전한 지구온난화
2021.07.12
2020년부터 전 세계 탄소 배출 상승 추세를 감소세로 전환해야 한다. 또한 2030년
인위
적 이산화탄소 순 배출량은 2010년 대비 최소 45% 감축해야하며 2050년에 탄소중립을 이루어야 한다.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는 의도치 않게 2.6GtCO2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감축했다. 2050년 탄소중립 목표를 ... ...
과학자 21명 “코로나 기원 실험실 유출설 근거 희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1
구성된 연구팀이 작성했다. 21명 중 4명은 지난해 코로나19가 실험실에서
인위
적으로 유출됐을 가능성을 일축한 ‘네이처 메디신’ 논문에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에드워드 홈즈 호주 시드니대 교수, 스테판 골드스타인 미국 유타대 교수 등이 참여한 21명의 연구자가 참여한 리뷰 논문은 유럽 ... ...
이전
2
3
4
5
6
7
8
9
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