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솜씨
테크닉
재주
기량
서술
숙련
수완
d라이브러리
"
기술
"(으)로 총 12,25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씻는 것도 미분을 제거해 밥맛을 좋게 하기 위함이다.완전미를 만들기 위한 RPC의 마지막
기술
은 색체선별기가 담당한다. 보통 집에서 먹는 쌀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가끔 탁하게 보이는 것이 있다. 색체선별기는 이런 탁한 쌀을 제거한다.(주)대원GIS의 한기동 박사는 “마치 과속차량을 단속하는 ... ...
4. 다시 쓰는 農事直說(농사직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개방시대에 우리의 선택은 가장 귀중한 자산인 우수한 인재를 제대로 키워내고 첨단 과학
기술
을 적극 수용해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는 길뿐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1. 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인가? 2. 우리 쌀은 좋은 것이야 3. 우리 농작물로 만든 ... ...
귀신도 과학적으로 해부해 집필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고대인의 삶을 유지하고 있는 뉴기니나 아프리카 원주민의 삶을 직접 살펴본 결과
기술
은 떨어지지만 그들의 두뇌활동이나 전략은 현대인만큼 치열했다고 한다. 치우천왕기는 2003년에 1권이 나왔다.온라인에서 절차탁마(切磋琢磨)그는 번듯한 신춘문예를 통해 문단에 등단하거나 유명 작가의 ... ...
저항 비켜! 초전도가 뜬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단장을 맡았다. 초전도연구단은 9년간 매년 6, 7억원을 지원받으며 순수 국내
기술
로 초전도 불모지에서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이 교수는 “10년 전 무명이던 우리 연구단이 이제 세계 초전도 연구분야에서 선두 그룹이 됐다”고 자랑했다. 그는 올해 초전도 분야의 업적으로 제10회 한국과학상을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가지고 천문 관측을 시작했다.이렇게 아마추어 천문가로 출발한 도즈는 대단한 관측
기술
을 갖고 있었다. 그는 약 10년 동안 모두 221개의 이중성을 관측하고 그 위치를 정리했는데 이것은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였던 존 허셜이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한 것에 비견될 정도로 정확했다.아마추어 ... ...
스너피 여자친구 보나, 피스 탄생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세계최초 복제개 ‘스너피’(Snuppy)의 여자친구가 될 암컷 개가 태어났다.서울대 수의대 이병천, 김대용 교수와 동물병원 김민규, 장구 박사 연구팀 ... 발표하지 않은 채 언론에 먼저 공개한 것은 성급했다”고 지적했다.이번 연구는 과학
기술
부 특수유용동물 복제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졌다 ... ...
1. TV는 미래를 싣고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심화되고, 결국은 저질 콘텐츠가 판을 친다. 이 현상은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산업·
기술
중심주의적 사고에서 문화 중심적 사고로 빨리 전환하지 않는다면 가까운 미래엔 정보의 홍수 속에서 정보의 양극화가 심화되는 역설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될 것이다. 방송·통신 하드웨어의 지나친 공급이 ... ...
2. 모든 TV는 디지털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실은 과거에 상상했던
기술
이 생각보다 빠르게 우리 곁에 다가왔듯, 오늘날 꿈꾸는
기술
이 미래엔 자연스런 일상이 될 수 있다. 인간의 시각(視覺)이 존재하는 한 TV의 변신은 현재 진행형으로, 그 진화의 핵심은 인간과의 교감이 될 것이다.플라스마 : 기체가 초고온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사거리가 350km 이내인 단거리 미사일 ‘프리스비’를 위주로 개발했다. 그뒤 서독에서
기술
지원을 받아 사거리 1200km의 중거리 미사일 ‘아그니’를 성공적으로 개발했으며, 최근 장거리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 ...
身土不二(신토불이)는 미신인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서둔벌에 나란히 설립된 지 100년 되는 해다. 강산이 열 번 변하는 동안 우리나라 농업과학
기술
은 눈에 띄게 발전했다. 하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농민은 줄고 시장개방의 목소리는 높아간다. 우리는 무엇으로 승부해야 할까. 혹시 신토불이라는 색안경으로 현실을 바라보는 건 아닐까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