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5 6각기둥 벌집은 자연최고의 건축물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아닌 방이 만들어진다. 이곳은 여왕벌 유충이 길러지는 특수한 곳. 이곳 외벽은 그물
모양
으로 움푹 패여 있다. 이는 다른 6각형 방이 만들어 질때 기단이 되는 곳이다.꿀벌의 집은 처음에는 둥근 통을 모은 것으로 만들어져 그것이 주위로부터 압력을 받아 6각기둥이 된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1966년 ... ...
범인 알아내는 생체측정 첨단기술
과학동아
l
1995년 02호
몇개의 확인 기기들은 필체의
모양
을 계산에 넣고 몇개는 기록이나 재출력을 위해
모양
을 찍을 수 있다.일반적으로 확인기기들은 전선으로 연결된 펜이나 민감한 테블렛, 혹은 이들을 함께 사용한다. 전선으로 연결된 펜을 사용하는 기기들은 가장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가 작으나 내구성이 ... ...
화학- 유리컵 속 새해 해돋이 장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서로 잡아당기는 힘이 있는데, 이것을 이용해 표면적을 최소한으로 줄이려고 공
모양
으로 변하기 때문이지요. 실제로 우주선에서도 물을 따르면 물이 동그랗게 되어 공중을 둥둥 떠다닌다고 합니다 ... ...
2 태초 초고밀도의 한점-대폭발 급팽창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수학에서 분모가 0이 되는 점과 같은 난해함을 지닌다. 블랙홀의 중앙에도 여러 가지
모양
을 갖는 특이점이 있다. 즉 특이점이란 천문학자와 물리학자들이 가능하면 피해보려고 시도하는 악마와 같은 존재다. 앞글에서 소개된 정상(CC, Continuous Creation)우주론은 바로 관측되는 우주의 팽창은 ... ...
3 팔과 손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어려운 환경에서 인간을 대신해 작업-한 대의 로봇팔이 옮기기에는 부적합한 특수
모양
의 작업물 이동, 두 팔을 이용해 작업물을 잡고 하는 조립작업, 지체부자유자들의 편의수단이나 간편한 보조작업 등-하는 로봇으로서 사람의 팔과 손을 대치할 수 있는 복수개의 로봇팔과 다지 다관절 핸드 등을 ... ...
사라진 문화재 컴퓨터 그래픽으로 되살린다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가진 각 정점의 3차원 좌표를 일일이 계산해 입력해야 했지만, 이 기술을 이용하면
모양
이 같고 크기만 다른 물체의 경우 변수만 수정하면 얼마든지 새로운 물체를 정의할 수 있다.연구팀은 "6층 건물 높이의 팔상전은 못을 이용하지 않고 목재에 홈을 파서 목재와 목재를 연결해 그 구조를 지탱하기 ... ...
사진으로 떠나는 별자리 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춘천군 신북면 vixen 200㎜ (f4) Pentax ME super, 필름 provia 400, EM 200 반자동 가이드 30분W자
모양
을 한 카시오페이아자리와 그 동쪽의 페르세우스 자리 사이에 보이는 밝은 성단으로 두 개의 산개성단이 바로 옆에 붙어 있어서 이중(double)성단이란 이름이 붙어 있다. 맑은 날에는 맨눈으로도 보이며 .. ...
'우주 행위예술' 환상의 개기일식 3분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애타게 빌 따름이었다. 우리가 목적하는 단색 사진인 H-알파(파장 6562.8Å)선과 코로나의
모양
을 가장 극명하게 보여주는 코로나 녹색 휘선(파장 5303Å)은 필터의 투과폭이 상당히 좁기 때문에 엷은 구름에도 노출 시간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구름이 그렇게 원망스러울 수 없었다.우리들의 애절한 ... ...
백두산 지질탐구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분출된 것이다.원통상의 중앙화도로부터 조용히 흘러내려 10도 이하 완경사의 방패
모양
을 이룬 것을 순상(楯狀)화산체라 한다. 제주도 화산체와 하와이의 마우나로아 화산체는 대표적 순상화산체다.용암의 점성이 높으면 용암은 하구 주위에 계속 쌓여 돔상 용암원추구(熔岩圓錐丘) 또는 종상(鐘狀) ... ...
수학난제 '페르마 정리'의 증명 과연 성공했는가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소수로서 제곱의 합이 될 수 없는 것이 있다."이 작업을 계속 진행하다 보면 결국 4n+1의
모양
을 한 소수 5(5=4·1+1)도 두 제곱수의 합이 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5=${2}^{2}$+${1}^{2}$이므로 모순이 된다. 오늘날 수학에서는 이것을 귀납법이라고 한다.페르마는 디오판토스의 제곱수를 두 개의 제곱수로 ... ...
이전
696
697
698
699
700
701
702
703
7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