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생명
수명
운명
명령
비명
비문
d라이브러리
"
명
"(으)로 총 9,63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휴대폰 외국에서도 잘 터진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확대되면 국내에서 출국하는 사람의 80%가 국제 자동로밍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
명
했다.국제 자동로밍 서비스 이용방법국제 자동로밍 서비스를 받기는 어렵지 않다. 처음 이용할 때는 이동통신업체의 로밍센터를 방문하는 것이 좋다. 로밍센터를 방문해 자신이 로밍 서비스를 받고 싶은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앞으로는 해양저서생물과 해조류의 생태를 밝혀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영향을 규
명
할 예정이다. 나아가 분자생물학자들이남극 해양생물의 발생과정, 그리고 남극 먹이망의 기본이 되는 식물플랑크톤과 크릴의지리분포와 생태를 밝히려고 한다.그러나 우리의 활동지역은 주로 기지를 중심으로 한 ... ...
세계 최초 단원자 트랜지스터 개발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한국 과학자 2
명
이 세계에서 가장 작은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미국 하버드대 박홍근 교수와 코넬대 박사과정의 박지웅씨는 각각 금속 분자와 금속 원자로 이뤄진 ‘나노 트랜지스터’를 만들어 영국의 과학전문지인 ‘네이처’ 6월 13일자에 표지논문으로 동시에 발표했다.박지웅씨가 소속된 ... ...
유방암 알려주는 브래지어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안전하고 저렴한 방법”이라고 주장했다. 유방암 진단 브래지어는 곧 중국에서 수천
명
의 여성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에 들어갈 예정이다.상용화된 제품은 임상실험이 끝나는 2005년 이후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미래에는 이같은 브래지어에 소형 분석시스템이 함께 내장돼 브래지어만 차고 다니며 ... ...
공각 기동대 vs 매트릭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선조들이 컴퓨터의 에너지원을 차단하기 위해 태양을 파괴했다는 설
명
은 구차한 변
명
에 불과하다. 사람은 자신의 몸에서 발생하는 전류보다 수천배 이상의 에너지를 필요로 한다. 컴퓨터의 입장이라면 사람을 사육하는 것보다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분해해 에너지를 얻는 것이 효율적이다.물론 ... ...
중국 베이징 게놈연구소의 성공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벼 게놈 해독 결과가 발표된 이후 중국의 베이징게놈연구소(BGI)는 전세계 언론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인간게놈의 1%를 해독했을 때도 별다른 주목을 받지 못 ... 남부의 항조우시에 분원을 개설하기도 했다. 바야흐로 중국이 게놈 해독을 무기로 세계 생
명
과학계에 도전장을 내고 있는 것이다 ... ...
물리학 안경으로 통합되는 생
명
현상 생물물리학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생
명
과학에 대한 체계적 이해를 가져올 뿐 아니라 신약개발, 의학, 생
명
공학처럼 생
명
산업의 획기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과학의 발전 역사를 통해 학문의 경계에서 중요한 발전과 새로운 분야가 전개돼 왔다. 이런 맥락에서 많은 학생들이 생물물리에 도전할 만한 가치가 높다고 ... ...
의사결정을 뒤흔드는 뜻밖의 함정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흔히 쓰는 ‘천재는 악필이다’ ‘미인은 잠꾸러기다’란 말이 있다. 이 말이 맞는지 증
명
하기 위해서는 천재나 미인을 데려오거나, 아니면 악필이 아니거나 잠꾸러기가 아닌 사람을 데려와야 한다. 이는 ‘악필이면 천재다’와 ‘잠꾸러기면 미인이다’와는 별개이기 때문이다.‘어림짐작의 ... ...
팔만대장경 기적의 보관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애장왕 3년(802)에 창건된 해인사는 1천2백년의 세월을 간직한 고찰이다. 그러나 수백
명
의 스님이 기거하는 큰 절에는 화재가 끊이지 않을 수 없다. 대장경판이 만들어진 이후의 7백50년 동안에도 수많은 화재가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하지만 현재 남아있는 화재기록은 조선 후기 퇴암스님이 ... ...
연료전지 실용화하는 얇은 막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인간은 얼마나 얇은 막을 만들 수 있을까. 아주 얇은 막을 만들다보면 결국 원자 한층으로 된 막을 만들수 있지 않을까. 과학적인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문제다. 그런데 이 호 ... 문제 풀기에 끊임없이 도전하는 전기화학연구실에는 현재 박사과정생 5
명
, 석사과정생 4
명
이 참여하고있다 ... ...
이전
699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