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Editor’s Note] 우주의 주름과학동아 l2016년 03호
- 2월은 혼돈의 한 달이었다. 좋은 의미로든 나쁜 의미로든 그랬다. 굵직굵직한 일들이 국내외에서 터져 나왔다. 꼭 과학 분야에 국한된 일은 아니었다. 사회, 외교, 보건 등 언뜻 과학이나 기술과는 관련이 없어 보이는 일들이 뉴스를 뒤덮었다. 하지만 이미 많은 사람이 깨닫고 있을 것이다. 세상 그 ... ...
- [과학뉴스] 미사일이 아니죠~ 발사체라고요!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북한 미사일 뉴스가 한 달 내내 언론을 뜨겁게 달구고 있습니다. 2월 7일 북한이 발사한 광명성호 말입니다. 대통령은 ‘두 주먹을 불끈 쥐고’ 개성공단을 폐쇄했고, 한반도 사드 배치는 급기야 실무협의 단계로 들어섰습니다.그런데 뭔가 이상합니다. 9일 언론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광명성 4 ... ...
- [과학뉴스] 떨어뜨린 음식, 5초 안에 먹으면 OK?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누구나 한번쯤 땅에 떨어뜨린 음식을 다시 주워 먹을지 말지 고민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흔히 5초 안에 주우면 괜찮다고 알려져 있는데, 과학자들이 직접 증명하고 나섰다.영국 일간지 인디펜던트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의 엔지니어 마크 로버와 마이크 미첨이 ‘퀵 앤드 큐리어스’라는 과학 ... ...
- [과학뉴스] 스티븐 호킹, “블랙홀로 전기 만들 수 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우주ㆍ지구과학영국의 천체물리학자 스티븐 호킹 박사가 “미니 블랙홀로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호킹 박사는 2월 2일 영국 BBC 라디오방송인 ‘리스 강의(Reith Lecture)’에 출연해 “작은 산 정도 크기의 미니 블랙홀이 있다면, 빨려들어가는 물질이 X선과 감마선을 방출해 10테라와트 ... ...
- [과학뉴스] 덩치 크면 가스형 행성? 속단은 금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칠레 폰티피셜 카톨릭대 연구팀이 케플러망원경으로 우주에서 가장 큰 암석 행성을 찾아냈다고 1월 28일 논문 게재 사이트 ‘아카이브(arXiv.org)’에 밝혔다. 지름이 지구의 2배 이상이고, 질량은 16배가 넘는 이 행성의 이름은 BD+20594b로 2015년 처음 발견됐다. BD+20594b는 밀도가 1cm3 당 8g으로 지구의 5g ... ...
- Part 1. 아인슈타인이 남긴 마지막 퍼즐 풀었다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이번 발견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전에, 중력과 중력파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모두가 알고 있는 것처럼, 우리는 매순간 중력 속에서 살아가고 있다. 17세기에 아이작 뉴턴이 발표한 만유인력의 법칙은 중력에 관한 첫 번째 이론이다. 두 물체사이에서 서로를 잡아당기 ... ...
- [News & Issue] 사드, 북 미사일 위협 막을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3호
- 195cm다. 농구 선수 키 만한 철심으로 수 t에 달하는 탄두를 맞춰 쪼갤 수 있을까. 북한 미사일의 성능이 알려져 있지 않아 정확히 알 수는 없지만, 반대측은 불가능하다고 주장한다.국방부는 “미국의 미사일방어 운용시험평가 국장도 지난해 2월 상원 군사위에서 준중거리 이하 미사일 표적에 대한 ... ...
- [Knowledge] 직립보행의 선구자 원시 악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위악류라는 분류군 이름은 ‘가짜 악어’라는 뜻이다.이 이름에는 사연이 있다. 1887년 독일의 고생물학자 칼 알프레드 폰 치텔은 악어처럼 생긴 화석파충류들을 한 분류군으로 묶었는데, 당시 그는 이 파충류들이 오늘날의 악어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이들에게 ... ...
- [Tech & Fun] 박승휴 망해라과학동아 l2016년 03호
- 죽는 건 정말 안 좋은 일이었다. 인생을 살면서 겪은 일 중에 거의 최악이었다. 죽으면 모든 고통이 사라지니까, 다 없어지고 아무 것도 없어지니까 차라리 낫지 않을까 하고 생각했던 적이 있기는 했다. 그런데도 막상 죽을 때 느낌은 그 모양이었다. 박승휴 따라 주식투자하다가 망했을 때 그 생각 ... ...
- [동아리탐방] 특별한 경험을 선물받다! 인천당하중 ‘당찬’수학동아 l2016년 03호
- 차를 타고 가다가 누구나 신호에 한 번 걸리면 왜 자꾸만 신호에 걸리는지 의문을 품은 적이 한 번쯤 있을 거다. 대체 신호체계가 어떻게 돼 있기에 이런 건지, 지금의 방법이 가장 효율적인 건지 궁금하기만 하다. 인천 당하중의 수학동아리 ‘당찬’의 학생들은 이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꼬박 5 ... ...
이전6997007017027037047057067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