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524건 검색되었습니다.
또 운석이야? 운석에 지구 생명체 비밀 담겨
과학동아
l
2014.04.21
생물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
를 만드는 화학물질이 있다. NAD(Nicotinamide Adenine Dinucleotide)가 대표적인데, 이 NAD는 비타민B3로 만들어진다. 위키미디어 제공 최근 이 비타민B3가 45억 년 전 지구에 떨어져 1969년 발견된 고대 운석에도 존재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지구가 생길 무렵에 떨어진 고대 ... ...
구름에 레이저 쐈더니 비가 내리네?!
과학동아
l
2014.04.21
나갈 수 있다는 것. 낮은
에너지
를 지닌 레이저 빔이 높은
에너지
를 지닌 레이저 빔에
에너지
를 공급하는 방식이다. 실제로 연구팀은 이 같은 방법으로 레이저 빔의 길이를 10인치(약 25.4cm)에서 7피트(약 2.13m)로 10배 가까이 연장했다. 또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레이저 빔이 50m 이상 나가는 ... ...
이번엔 '진짜' 제2의 지구?
과학동아
l
2014.04.20
186f의 공전주기는 130일이다. 항성의 크기가 우리 태양계의 태양보다 더 작고 뿜어내는 빛
에너지
양도 적기 때문에 케플러-186f가 받는 빛의 양도 지구의 3분의 1 수준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대낮에도 지구보다는 어둡지만, 식물이 광합성을 하기에는 충분할 것이라고 연구진은 분석했다.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 ②
과학동아
l
2014.04.16
“일상생활에서 무심코 버려지는
에너지
를 모아 전력으로 활용하는 기술을 ‘
에너지
하베스팅(Energy Harvesting)’이라고 합니다. 수도 없이 발생하는 마찰로부터 십시일반 전기를 모아 유용하게 쓸 수 있다면 얼마나 친환경적이고 편하겠어요. 언젠가 제 연구 성과가 사람들의 일상생활을 바꿀 ... ...
1g에 8만 원이나 하는 금속은?
과학동아
l
2014.04.14
촉매를 개발했다. 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주상훈 교수와 김경택 교수, 한국
에너지
기술연구원 박구곤 박사 연구팀은 탄소층을 탄소 나노튜브 외벽에 코팅하는 방법으로 비금속계 촉매를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이 탄소 촉매는 기존 알칼리 연료전지에 쓰이는 백금계 촉매를 대체할 수 ... ...
'캡틴 아메리카' 방패와 과학자
과학동아
l
2014.04.13
넘어서지 않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있다. 비브라늄이 진동을 흡수했다가 적당한 때에 그
에너지
를 방출한다면 가능하다는 사람도 있다. 영화와 만화, 애니메이션별로 설정이 제각각이기 때문에 이런 논쟁은 쉽게 결론이 나지 않는다. 영화에서는 비브라늄으로만 만들었다고 설명하지만, 다른 ... ...
식물의 낙원은 지구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4.13
식물들이 사는 방식을 보며 이 책의 제목처럼 식물의 본성을 느낄 수 있다. 식물은 태양
에너지
를 이용하는 광합성을 통해 모든 생명들의 생존을 책임지고 있다. 이런 식물들이 살기에 가장 알맞은 곳은 어디일까. 어디가 됐든 햇빛 잘 들고 물 넉넉한 곳이면 그곳이 식물에겐 낙원이다. 하지만 과연 ... ...
대통령 암살, EMP탄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14.04.11
피해를 입히는 비핵 방식의 EMP탄을 개발하고 있다. 약한 EMP를 만든 뒤 전기나 화약
에너지
로 압축해 수천만 배 강력한 EMP로 바꾸는 방식이다. 폭탄 앞에는 안테나가 달려 있어 목표 지점을 정확하게 겨냥할 수 있고 피해 범위도 조절할 수 있다. 이 무기는 1999년 개봉한 영화 ‘매트릭스’에서 인간 ... ...
아이폰 배터리 용량 1.5배 늘어난다면…
과학동아
l
2014.04.09
수명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송현곤 울산과학기술대(UNIST)
에너지
및 환경공학부 교수팀은 신소재 그래핀을 이용해 리튬 2차 전지의 용량을 2배 이상 늘릴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화학분야 권위지 ‘앙케반테 케미’ 9일자에 발표했다. 그래핀은 전자 전도도가 높기 ... ...
캥거루 로봇, 점프가 ‘살아있네’
과학동아
l
2014.04.08
때 아킬레스건이 다시 한번 당겨지며 배터리에 운동
에너지
가 저장된 뒤, 다음 점프에 이
에너지
를 사용할 수 있도록 했다. 결국 적은 전력으로 동작하는 캥거루 로봇을 만든 것이다. 훼스코 관계자는 “캥거루 로봇은 위로는 40cm가량 점프할 수 있고 한 번에 80cm가량 앞으로 이동할 수 있다”면서 ... ...
이전
700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