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77세의 글렌 우주비행 재도전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타고 10일 동안 우주여행을 하면서 무중력상태가 인간의 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험
할 예정이다. 그런데 그에게는 영광의 과거가 있다. 바로 미국인 최초로 지구궤도를 돌았던 우주비행사라는 사실이다.1921년 7월 18일 오하이오주 케임브리지에서 태어난 그는 1943년 해군에 입대해 2차대전과 ... ...
인간복제병원 만들어질까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금지하면 된다. 5년 뒤 정식으로 허용할지도실제로 그가 70년대에 참여한 시험관아기
실험
은 처음에 강한 반대 여론에 부딪혔다. 하지만 불과 몇십년 내에 시험관아기(IVF)라는 말은 대중에게 거부감 없이 다가오고 있고 정식 의학용어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까지 미국에서 탄생한 시험관아기는 ... ...
3. 시간여행에 도전하는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있는 반중력 물질을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1992년 포드크레트노프와 니미넨은 초전도체
실험
보고에서 이러한 반중력효과를 낼 수 있다고 보고했다.그 이후 빛보다 빠른 물질, 반중력 문제, 음(-)질량, 진공에너지(두개의 금속판을 충분히 가까이 하면, 전하를 띠고 있지 않아도 양자효과에 의해 두 ... ...
비난으로 얼룩진 노벨상 수상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촉매를 찾고, 암모니아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 2천5백여 가지 화학 물질을 6천5백번에 걸쳐
실험
을 했다. 이런 노력을 통해 고온과 고압이라는 하버가 찾아낸 초기의 반응조건을 바꾸지는 못했지만 하버의 공정을 상업화하는 데는 성공했다.독일을 위해 봉사한 유태인 애국자이것은 독일 군부에게는 ... ...
무릎뒤 인체시계 센서 발견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분비량을 측정했다. 멜라토닌은 잠을 잘 때 뇌의 송과선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이다.
실험
결과 무릎 뒤에 빛을 비출 때 체온이 떨어지고 멜라토닌 분비가 증가하는 현상, 즉 잠들었을 때의 생리 현상이 발견됐다. 이 결과는 눈으로 들어오는 빛이 많고 적음에 따라 수면 시간이 결정된다는 기존의 ... ...
기를 찍는 키를리안 사진기
과학동아
l
1998년 02호
금속 등 전기가 통하는 것이면 무엇이든 촬영이 가능하다. 특히 최근 물은 기의 작용을
실험
하는 도구로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기가 들어간 물을 찍으면 그 변화된 상태가 극명하게 드러난다.왼쪽의 작은 사진은 일반 물방울의 키를리안 사진이다. 오른쪽의 아메바와 같은 사진은 기가 들어있는 ... ...
상대성이론은 왜 노벨상 못받았나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1927년 미국의 데이비슨과 영국의 G. P. 톰슨(전자 발견자인 J. J. 톰슨의 아들)에 의해
실험
적으로 확인됐다(데이비슨과 G. P. 톰슨은 1937년 노벨 물리학상 공동수상).1905년 논문에서 등장한 상호작용의 불연속성과 빛과 물질이 파동과 입자의 성질을 동시에 갖고 있다는 생각은 본격적인 양자역학을 낳은 ... ...
냉동 붕어 되살리기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해동시키는 기술이 발전하지 않아 되살려내기 어렵다. ■ 신과림박사의
실험
파일1.
실험
은 금붕어가 잘된다.2. 100% 글리세린을 사용하면 아가미가 막힐 수 있으므로 약 70%정도로 희석해 사용한다. 글리세린은 친수성 물질로 피부에 있는 수분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못하게 한다. 글리세린은 피부를 ... ...
녹였다 다시 쓰는 주머니 난로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작고, 금속판을 여러번 꺾어도 결정화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 신과림박사의
실험
파일1. 티오황산나트륨은 보통 하이포라 부른다. 금붕어 가게에서 염소제거제라는 이름으로 팔고 있따. 필름통 하나 분량에 5백원 정도로 종로 약품상가에서 구입할 수 있다.2. 비닐봉투는 한약용 레토르트파우치가 ... ...
4. 나스카의 문양
과학동아
l
1998년 01호
뛰어내리니 갑자기 가벼워진 열기구는 하늘로 다시 올라갔다. 모두 14 분을 날았다.이
실험
으로 나스카인들이 어떻게 거대한 문양을 그릴 수 있었는지에 대한 의문은 어느정도 풀렸다. 그러나 나스카인들이 정말 그런 방법을 사용했다는 증거는 어디에도 없다. 어쩌면 나스카 문양의 비밀은 영원히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