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산 수학교구, 미국 최대 수학교육컨퍼런스에서 주목받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새로운 패턴이나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며 “초·중학생들이 4D프레임을
이용
해 창의적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한다” 고 밝혔다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스톡크스 방정식비행기마다 몸체에 알맞은 날개 위치는 나비에-스톡크스방정식을
이용
해 계산한다. 나비에-스톡크스방정식은 비행기를 만드는 유체역학 분야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정식 중 하나다. 예를들어 3차원 나비에-스톡크스방정식의 해를 구해 헬리콥터가 비행할 때, 헬리콥터 날개의 성질을 ... ...
사람의 뇌기능, 수학으로 판독한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관찰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최근에 개발된‘확산텐서 자기공명영상(DT-MRI)’기법을
이용
하면 신경세포 다발의 연결구조를 살아 있는 사람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뇌에서의 정보전달 고속도로로 간주되는 신경세포 다발이 어떻게 연결돼 있는지 알 수 있다.뇌 연결구조의 중요성을 뇌질환 환자의 예를 ... ...
하이브리드 주행 전력 개발기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주행 전략과 관련된 프로젝트도 수행하며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얻었다.그중 ‘GPS를
이용
한 하이브리드 차량 주행 전력 개발’이란 주제로 프로젝트를 수행한 적이 있다. 하이브리드 차량에서 중요한 연비 향상 요인 중 하나는 회생제동(Regenerative Braking)이다. 간단히 말해 제동 시 나오는 운동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누가 처음 만들었을까드라이아이스는 채굴 작업 중에 처음 발견됐다. 시추기를
이용
해 땅을 깊게 파내려가던 중, 파진 구멍을 통해 땅 속에 있던 기체가 순식간에 빠져 나왔다. 얼마 후 시추 구멍에는 흰 눈꽃같은 얼음이 쌓였다. 이산화탄소가 작은 구멍을 통해 나오면서 부피가 순식간에 증가하고,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커패시터’다. 수퍼 커패시터는 전지와 구조가 비슷하지만 전해질 대신 탄소나노튜브를
이용
한다.“수퍼 커패시터는 리튬이차전지보다 에너지를 방전시키는 속도가 10배나 빠릅니다. 충전도 몇 분 안에 급속히 이뤄집니다. 그러나 아직 용량이 리튬이차전지의 5%밖에 되지 않아요. 앞으로 수퍼 ... ...
위성사진으로 GDP 측정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연구팀은 미국 국방부가 1992년부터 2008년까지 위성으로 찍은 세계의 야경 사진을
이용
했다. 수증기로 일그러져 있거나 날씨가 좋지 않은 날 같은 흐릿한 영상을 보정했다.이렇게 얻은 전 세계 사진을 위도와 경도 1°씩 잘라 작은 단위로 만들어 얼마나 밝은지 1년 단위로 측정한 뒤 세계은행이 매년 ... ...
건국이래 최대 과학투자 ‘과학벨트 거점지역’ 대전 확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어 기초과학연구원 연구시설과 공동
이용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연구장비의 효율적
이용
과 기초 융합연구지원이 가능하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이상민 의원(대전 유성)은 “신동·둔곡지구는 세종시 가운데 대학연구, 의료복지, 첨단지식기반 지구와 바로 인접해 있어 연구 시너지 효과를 ... ...
[hot science] 스마트폰으로 내 위치가 샌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용
해 현재 위치를 확인하려 할 때 애플은 이미 저장하고 있는 위치정보를
이용
해 위치를 표시했다. 애플은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데서 그치지 않았다. 수집된 기지국과 Wi-Fi 식별정보를 애플의 위치 정보 서버로 전송해 아이폰 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 뒤 위치정보 서비스의 효율성을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있는지 실험해 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런데 ‘네이처’ 2010년 12월 2일자에는 자기장을
이용
해 생성된 반수소를 용기 가운데 모아두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가 실렸다. 반수소의 수명은 0.17초로 일상의 기준으로는 무척 짧은 순간이지만 입자물리학에서는 엄청나게 긴 시간이다.연구자들은 ... ...
이전
701
702
703
704
705
706
707
708
7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