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사"(으)로 총 2,131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커다란 자석이에요. 이 안에 사람이 들어가면 높은 주파수를 가진 전자파를 순간적으로 발사해요. 그러면 잠시 뒤에 뇌에 흡수됐던 전자파가 다시 방출돼요. 이 신호를 컴퓨터가 계산해서 뇌의 속을 보여 주는 영상을 만드는 거예요.성능이 좋은 MRI가 개발되면서 뇌 연구도 활발해졌어요. 뇌에 있는 ... ...
- 우주 탐사, 제2의 지구를 찾아서수학동아 l2015년 08호
- 달리 화성의 궤도에 못 미치면서 화성에 가까이 접근하는 지점을 향해 우주선을 발사한다.‘라그랑주 점’ 주변의 에너지가 불안정한 구역을 거꾸로 이용하는 것이다. 라그랑주 점은 프랑스의 수학자이자 천문학자인 조세프 라그랑주가 구한 것으로, 케플러의 행성운동법칙을 따르는 두 천체 ...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명왕성은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탐사되지 않은 행성이라는 명분을 걸고 가까스로 발사한 터였다. 그런 명왕성이 더 이상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이 아닌 게 돼버린 것이다. 탐사의 명분이 사라지는 위기였다.태양계 행성 바깥 천체를 탐사할 첫 번째 탐사선이런 기구한 운명 속에서도 뉴호라이즌 호는 ... ...
-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7호
- 만든 모형이 눈에 띄었어요. 3월 26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서 드네르프 로켓에 실려 발사된 위성인 ‘아리랑 3A’호에 들어간 망원경이지요. 우주광학센터에서는 바로 이 망원경에 들어가는 적외선 광학계를 만들었어요. 우리 눈에는 보이지 않는 적외선을 모으는 거울이지요. 우주광학센터 ...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된다?2006년 9월, 중국에서 세계 최초로 우주 육종 연구만을 위한 인공위성인 스젠 8호가 발사됐어요. 우주 육종이란, 종자나 식물을 우주로 보내 돌연변이 품종을 만드는 것을 말해요. 식량난을 해결하기 위해 커다란 채소를 만들거나, 다양한 품종의 종자를 확보하기 위해 우주 육종을 하지요.우주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비법➍ 새로운 소재세상에 이런 망원경이?!우주로 E-ELT 같은 걸 보내면 좋을 텐데, 발사하는 데만 건설비용보다 훨씬 많은 돈이 든다고 하네? 지상의 망원경도 당분간 더 커지기 어렵다고 하고…. 뭐 새로운 기술은 없을까?유리가 무거워? 새로운 소재를 찾아!유리로 만든 반사경은 자신의 무게 때문에 ... ...
- [지식] 할머니와 엄마의 수학시간수학동아 l2015년 06호
- 기사였다. 인공위성은 달처럼 지구 주위를 도는 로켓이라고 쓰여 있었다. 인공위성 발사에 성공한 건 소련이 처음이란다. 삼촌은 소련 사람들이 수학을 잘 하기 때문에 스푸트니크도 쏠 수 있는 거라고 했다. 소문대로였다. 집합이란 녀석은 정말 무시무시했다. 칠판 위엔 처음 보는 외계어가 ... ...
- 수성 탐사선 ‘메신저’ 편히 잠드소서과학동아 l2015년 06호
- 30일 시속 1만4081km 속도로 수성과 충돌해 운명을 다했다고 홈페이지를 통해 밝혔다. 2004년 발사된 메신저호는 7년 간 복잡한 여정을 거쳐 2011년 우주선 가운데 처음으로 수성 궤도에 진입했다. 태양계 행성 중 태양과 가장 가까이 있는 수성은 크기가 가장 작고 궤도가 극단적인 타원 형태를 띠고 있어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총이 양옆으로 빛을 발사합니다. 기차 안에 있는 미식가가 기차의 양 끝을 향해 빛을 발사합니다. 미식가가 보기엔 총은 그대로 멈춰 있습니다. 정반대 방향으로 같은 양의 빛을 쐈기 때문입니다.하지만 다가오는 기차를 본 고독한의 입장은 다릅니다. 고독한이 본 빛은 자신의 양옆을 비스듬히 ... ...
- [Knowledge] 1300년 전 석탑, 그 원형을 찾아과학동아 l2015년 05호
- 해체 전과 중간, 후에 각각 3D 스캐너로 탑의 입체 정보를 기록 했습니다. 레이저를 발사해 물체에 부딪혀 되돌아오는 빛의 정보를 분석해 3차원 형태를 읽어내는 기술입니다. 제가 현장을 찾았을 때 마침 실연을 하고 있었는데, 40분만에 교실 하나 넓이인 석탑 부지를 정교하게 읽어냈습니다. 박성호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