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월"(으)로 총 17,670건 검색되었습니다.
- 억울한 사람이 없도록 과학으로 밝힌 오심과학동아 l2023년 08호
- A씨가 몰던 차의 잔해가 중앙선을 더 많이 넘었다는 이유였다. 그런데 A씨가 이미 6개월가량 형을 살고 있던 시점에 새로운 증거가 제시됐다. 두 차량의 움직임이 찍힌 블랙박스 영상을 감식한 결과였다. 황민구 법영상분석연구소 소장은 해당 블랙박스 영상을 감식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영상 화질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오펜하이머’ 원자폭탄보다 두려운 수소폭탄이 한국에 떨어진다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자기장으로 플라즈마를 가두는 토카막 방식을 이용합니다. 구현하기가 상대적으로 수월하기도 하거니와, 레이저 방식은 수소폭탄을 제조하는 방식과 유사해 국제적으로 따가운 눈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레이저 방식은 수소를 압축해 넣은 작은 구슬에 레이저 광선을 집중시켜 온도를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별의 쏟아지는 은하의 중심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8호
- 파괴되는 중인 막대를 구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나는 이런 내용을 담은 논문을 올해 6월 1일 ‘천체물리학 저널’에 발표했다. 막대 구조, 블랙홀, 별 탄생의 삼각관계 오래 전부터 은하 중심의 막대 구조는 은하 외곽의 가스 물질을 은하 중심부로 끌어모은다고 추정돼왔다. 일종의 가스 유입 ... ...
- "지루하던 과학 과학책을 만나면서 재밌어졌죠"과학동아 l2023년 08호
- 읽으며 이런 두꺼운 책은 어떤 사람이 번역했을지 궁금해졌다. 그래서 무더운 날씨였던 7월 3일, 경기도 일산의 한 카페에서 웃음이 닮았다를 번역한 이민아 번역가를 만났다. 그와 함께 한 저녁은 인터뷰보다는, 책을 좋아하는 사람이 모여서 벌인 수다판에 더 가까웠다. “과학자들이 푸는 재미난 ... ...
- "덕후가 쓴 책을 번역할 때 가장 신이 나요"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길에 들어선 8년차 늦깎이예요. 하지만 선배 번역가들이 닦아 놓은 토대 위에서 훨씬 수월하게 일을 시작했습니다. 또 마침 양질의 과학책이 쏟아지고, 온라인 검색이 발달하고, 여성 저자들이 약진하는 시기와 맞물려 아주 좋은 여건이었죠.” 그는 평소 정해진 일과 없이 “내키는 대로 먹고 자고 ... ...
- AI로 디자인의 지평을 넓히다 국민대 AI디자인학과과학동아 l2023년 08호
- 기술을 이용해 서비스를 만들 수 있는 디자이너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질 겁니다.” 6월 27일 국민대 조형관에서 만난 주다영 AI디자인학과 교수는 AI디자인학과를 2022년 신설한 이유를 이 같이 설명했다. 최근 AI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며 디자이너가 활용할 수 있는 AI 툴도 다양해졌다. 달리(DALL-E ... ...
- 허준이 수학난제연구소의 핵심 목표 3수학동아 l2023년 08호
- 느끼지 않고, 연구 주제를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1년에 8개월 동안 해외 연수를 할 수 있도록 연구비를 지원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연구를 하고 싶을 때 다른 분야를 더 알아야 하면 대가를 찾아가 그 분야를 배우거나 그 사람과 함께 일할 수 있도록 합니다. 3. 수학자의 ... ...
- [만화뉴스] ‘키아누 리브스’처럼 강하다! 새로운 항균물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1월 20일, 독일 라이프니츠 감염생물학연구소 연구팀은 새로운 항균물질을 발견해 ‘키아누마이신’이라는 이름을 붙였어요. 영화 에서 악당을 제거하는 킬러 역할을 맡은 배우 키아누 리브스의 이름을 따왔지요. 키아누마이신은 흙이나 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슈도모나스 균에서 ... ...
- [가상인터뷰] 공기를 전기로 바꾸는 효소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환경에서도 공기 중에 있는 아주 적은 양의 수소를 에너지로 바꾸며 살아남을 수 있지. 3월 8일, 호주 모나시대학교 리스 그린터 연구팀은 이 세균으로부터 ‘후크’라는 효소를 분리해, 이 효소가 수소에서 전기 에너지를 만든다는 사실을 확인했다고 발표했어. 효소는 생체의 여러 화학 반응을 ... ...
- 지문의 탄생은 우연의 연속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어째서 이처럼 모든 사람의 지문이 다른 걸까요? 지문을 조각하는 단백질 3인방올해 2월, 스코틀랜드 에든버러대학교 유전학과 데니스 헤든 교수팀은 지문을 만드는 데 관여하는 단백질 분자를 찾아 지문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지문이 사람마다 각기 다르게 만들어지는 이유를 ... ...
이전6667686970717273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