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의심
물음
의혹
문제
질의
앙케트
d라이브러리
"
의문
"(으)로 총 1,564건 검색되었습니다.
부엌에서 부는 IT혁명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겉은 멀쩡한 소금통안에 소금이 없는 낭패를 보기도 한다. 언제 얼마나 넣어야 하는지도
의문
이다.MIT 미디어랩 연구팀은 주부들의 이런 고민을 잘 간파했다. 그래서 나온 아이디어가 부엌선반에 지능형 컴퓨터와 센서를 넣어 맞춤형 조리환경을 만들자는 일명 선반지능화(Counter Intelligence) ... ...
동굴에서 새로운 종 발견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이른바 평행선의 공리(제5공리)는 이 공리가 가지는 독립성으로 일찍이 많은 사람들에게
의문
과 비판의 대상이 되었으나 19세기에 들어서야 그 독립성이 증명되고 두 종류의 새로운 기하학이 탄생했다즉 N I 로바체프스키, J 볼리아이에 의한 쌍곡기하학(1820년대)과 G F B 리만에 의한 타원기하학(1854)이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능숙한 쪽이 대부분 오른손인 이유는 무엇일까.’대부분의 사람들은 살면서 가끔씩 이런
의문
을 갖게 된다. 지난 수천년 동안 많은 사람들이 이에 대해 생각해왔고 나름대로 일리가 있는 여러 가지 답을 제시해왔다. 오른쪽은 신성하고 왼쪽은 불경하다는 믿음도 그 중 하나다. 성서에도 축복받은 ... ...
싸늘한 겨울밤에 나타난 흑마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망원경을 사용했을 때 눈으로 말머리성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
이 있다. 오래 전 많은 관측자들은 이 성운을 망원경으로 관측하는데 실패했다. 하지만 오늘날 어떤 관측자들은 소형망원경에서도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날씨가 매우 좋다면 구경 200mm 이상의 망원경으로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지정하는 섬모가 고장나 좌우에 놓일 확률이 같아진 것이다.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의
의문
이 떠오른다. 만약 섬모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했다면 신호분자가 오른쪽으로 쏠려 심장이 오른쪽에 있게 되지 않았을까. 아마도 그랬을 것이다. 이화여대 생물학과 여창열 교수는 “지난 2002년 연구자들은 ... ...
황우석연구소 설립, 줄기세포 논란 가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황 교수 연구팀이 난자를 확보한 과정이 윤리적으로 타당한지에 대해 여전히
의문
을 제기한다. 인간배아를 만들려면 수정되지 않은 난자가 필요하다. 황 교수 연구팀이 1개의 줄기세포주를 얻기 위해 사용한 난자는 자그마치 242개에 달한다. 여성은 한달에 하나씩 난자를 만든다. 따라서 연구에 ... ...
소금쟁이 물에 뜨는 비결은 나노구조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미끄러져 가는 소금쟁이 다리는 도대체 어떻게 생겼을까.이런
의문
을 가진 중국과학원 화학연구소의 수엔펭 가오 박사와 레이 지앙 박사는 전자현미경을 동원해 실제로 관찰해봤다. ㅠ그 결과 다리에는 미세한 털이 숭숭 돋아나 있고 털에는 나노크기의 홈이 패여 있었다. 이런 복잡한 구조가 ... ...
1. 우주는 왼손잡이 물질이 지배하는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부른다.1956년, 중국계 젊은 물리학자인 양전닝과 리정다오는 이런 믿음에
의문
을 제기했다. 이들은 P변환의 대칭성이 깨질 수 있다는 이론을 내놓고 이를 증명할 실험까지 고안해 실험물리학자들에게 실험을 촉구했다. 즉 자연은 때로 왼쪽과 오른쪽을 절대적으로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다.당시 ... ...
그의 뇌와 그녀의 뇌는 다르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서로 다름을 보여준다.하지만 이런 현상이 인간의 경우에도 똑같이 발생하는지는
의문
이다. 인간의 성적 행위에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이 작용한다는 증거는 있다. 하지만 과연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이 인간의 사랑과 모성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하는지는 아직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성별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때 재활용된다. 그렇다면 이 같은 과정이 ‘단백질 분해에 왜 ATP가 필요한가?’ 라는
의문
과 어떻게 연결됐을까.공동연구 위력 증명한 유비퀴틴이스라엘로 귀국한 허쉬코 박사 연구실에 1977년 대학원생이 들어왔다. 이 학생이 바로 시카노버 박사. 이때부터 두 사람의 기나긴 인연이 시작된 셈이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