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d라이브러리
"
학술
"(으)로 총 2,828건 검색되었습니다.
[SF에 묻는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vs. 사고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소재입니다. 미국의 신경과학자이자 인공지능 연구자인 재커리 메이넨은 2018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스’에 실린 한 인터뷰에서 인공지능도 우울증에 걸리거나 환상을 볼 수 있다는 의견을 밝혔습니다. doi: 10.1126/science.aat8056 폭넓은 문제를 해결하는 인간 두뇌의 메커니즘을 인공지능이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육상 기록 단축한다
수학동아
l
2020년 05호
연구원팀은 수학으로 육상 기록을 줄이는 방법을 육상 트랙에서 찾아 국제
학술
지 ‘로열 소사이어티 오픈 사이언스’ 3월 25일자에 발표했습니다.국제육상경기연맹 공인 트랙에는 두 개의 평행한 직선을 반원으로 연결한 표준 트랙과 풋볼, 럭비 경기장 주위에 서로 다른 반지름을 가지는 두 종류의 ... ...
과학동아 At a Glance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있습니다. 실명 일으킬 수 있다는 블루라이트의 진실 (90p)☞바로가기 2018년 국제
학술
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실린 미국 톨레도대 연구팀의 논문은 청색광(블루라이트)의 영향에 경종을 울렸습니다. 디지털기기나 태양광에 포함된 청색광이 망막 세포를 변성시켜 시력 저하를 일으킬 수 있다고 ... ...
[기초과학의 힘] 복제 스트레스 높여 암세포 먼저 죽인다
과학동아
l
2020년 05호
부착력을 조절하는 단백질 복합체가 ‘ATAD5-RLC’라는 사실을 실험으로 증명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6월 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19-10376-w 명경재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은 “RLC 단백질은 PCNA의 고리를 열고 DNA에 결합하게 만들어 복제가 시작되게 하고, ATAD5 단백질은 ... ...
[잡터뷰] 공대 연구실에 웬 아티스트? 로봇디자이너 송정률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지난해 12월, 기자가 서울대학교 기계공학과 조규진 교수에게 반문했어요. 논문이
학술
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의 표지를 장식했는데, 표지 그림을 연구실 소속 송정률 디자이너가 그렸다고 말해서였죠. 심지어 조 교수는 “디자이너는 로봇 디자인에도 연구 단계에서부터 참여한다”고 말했어요. ... ...
[한페이지 뉴스] 낮밤 온도차 900도… ‘철 비’가 내린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지구에서 64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에서 이 같은 독특한 기상현상을 관찰해 국제
학술
지 ‘네이처’ 3월 11자에 발표했다. 데이비드 에렌라이히 스위스 제네바대 교수가 이끄는 국제 공동연구팀은 칠레 북부 아타카마 사막에 있는 초거대망원경(VLT)을 이용해 행성 ‘WASP-76b’를 2018년 9월 2일과 10월 3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개인을 구별할 수 있고, 복제도 절대 안 되는 생체인식 기술을 개발해 2019년 10월 국제
학술
지 ‘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 트랜잭션스 온 사이버네틱스’에 발표했다. doi: 10.1109/TCYB.2019.2941281 핵심은 인체에서 만들어지는 생체음향 주파수(bioacoustic frequency)다. 사람마다 몸속에 뼈와 근육의 위치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multiple smaller moonlet-forming impacts)’이 달의 현재 모습을 더 잘 설명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지오사이언스’에 발표하기도 했다. doi: 10.1038/ngeo2866 당시 연구팀은 질량이 달의 100분의 1~10분의 1인 미행성이 원시 지구와 충돌하는 상황을 864회에 걸쳐 시뮬레이션했다. ...
[수학뉴스]수학으로 저렴하고 가벼운 우주선 만든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1957년 옛 소련에서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린 뒤 60여 년이 지났지만 계속해서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더 가볍고 더 멀 ... 평가하고 개선하는 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피지컬 리뷰 E’ 1월 10일자에 발표했습니다. ... ...
[수학뉴스] 꿀벌의 수학적 인지능력, 수학 모형으로 원리를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꿀벌이 0과 더하기 빼기, 수의 크고 작음까지 아는 곤충계의 수학 영재라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뇌의 신경세포인 뉴런의 수가 인간 ... 학습 알고리듬에 적용하면 전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학술
지 ‘iScience’ 2월 21일자에 발표됐습니다.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