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4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류 달로 보낼 우주발사체 시험 비행...17일 스페이스X '스타십'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다른 우주발사체와 달리 스타십은 지구로 귀환해 완전히 재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다만
이번 발사는 시험 발사로 재활용을 위한 회수 작업은 하지 않을 계획이다. 재사용을 위해 초대형 우주발사대 ‘메카질라’도 구축했다. 메카질라는 로켓을 신속하게 발사하기 위한 우주 발사대다. 지구로 ... ...
우리 아이 얼마나 클까...키 결정 유전자 확인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4.17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변이 1만 2000개를 확인한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다만
"사람의 신장에 차이가 생기는 원인의 40% 정도만을 설명할 수 있다"며 한계점을 언급했다 ... ...
아이스크림이 건강에 도움?…재조명된 연구에 과학자들 "글쎄"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비해 인슐린 저항성 증후군 발병 위험을 2.5배 많이 줄이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아이스크림이 건강상에 이점을 준다는 결론을 도출하지는 않았다. 아이스크림이 건강상에 이점을 줄 수 있다는 앞선 연구가 다시금 조명된 가운데 영국 과학자들은 비판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존 포드 ... ...
[표지로 읽는 과학] 서서히 풀려가는 인간 생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3.04.16
현재 보조생식기술은 유전적 장애를 가진 배아를 선별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했다.
다만
이 기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인간 배아에 대한 연구 중요성이 강조된다는 설명이다 ... ...
"치자 추출물로 알레르기·아토피 피부염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반응 및 기생충 등 병원체에 대한 면역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평상시 Th2 세포가 과하게 반응할 경우 오히려 질환이 악화될 수 있다. 염증반응이 유도된 각질세포에서도 특정 면역세포를 특정 위치로 유도하는 화학적 신호 물질인 '염증성 케모카인' 분비가 ... ...
내장 장벽 보호하는 우유의 비결…간 염증도 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4.13
쥐의 장내 면역력을 유지하고 장에 존재하는 체내미생물을 회복시킨다는 보고가 나왔다.
다만
이 세포밖소포체가 장의 외벽을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해선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인간과 소의 젖에서 유래한 세포밖소포체가 내장 장벽을 얼마나 보호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이 ... ...
바나나를 까먹을 줄도 아는 코끼리
동아사이언스
l
2023.04.11
그동안 껍질을 벗겨 먹던 습성을 버리고 무리의 다른 코끼리들처럼 통째로 먹은 것이다.
다만
마지막 바나나 1개만은 다시 껍질을 벗겨 먹는 모습을 보였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행동을 종합하면 팽 파가 바나나 껍질을 벗겨 먹는 것은 단순한 반복 행동이 아닌 ‘취향으로부터 비롯된 행동’에 ... ...
“암·심장질환 백신 2030년이면 나올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4.09
화이자는 mRNA 기반 인플루엔자 백신의 후기 단계 임상 시험을 위한 모집을 시작했다.
다만
개발 성공 가능성에 회의적 시각도 있다. 암 백신의 경우 진행암 환자가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런 환자들은 수술로 종양을 적출하거나 항암치료와 방사선치료를 겪어 면역계가 상당히 피폐한 상태라 ... ...
[씨즈더퓨처] 아들과 딸 골라 낳을 수 있다면
2023.04.09
싶을 때 사용하던 기준은 주로 ‘무게’였다. X 염색체가 Y 염색체보다 무거운 탓이다.
다만
둘의 무게 차이는 매우 작아서 눈으로 선별하거나 무게를 직접 재서 고르는 건 불가능하다. 이 때문에 과학자들은 정자의 운동성을 비교하거나 밀도 차이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정자들을 구분해왔다. ... ...
[주말N수학] 수학자가 사람 살리는 '수리생물학'에 빠진 사연
수학동아
l
2023.04.08
해야 할 것만 같잖아요. 오히려 한계를 주는 것 같아서 장기 계획은 세우지 않아요.
다만
오늘 내가 얼마나 열심히 했는가에 따라 5년, 10년이 달라질 수 있다는 생각은 늘 해요. 오늘도 제가 열심히 연구하는 이유고요." 공동연구자가 보는 김재경. 수학동아 제공 ○ 유재석이 꿈이었던 학창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