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정
가구
가족
성대
세기
시대
일대
뉴스
"
세대
"(으)로 총 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렌지 없는 오렌지주스 나올까
2024.03.06
쓰고 시어 먹을 수 있는 과일은 아니다. 따라서 탱자와 감귤류 품종을 교배해 얻은 잡종 1
세대
역시 맛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반복해 감귤류와 교배하면서 감귤녹화병 저항성이 있는 자손을 선별하면 맛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제 이렇게 해서 운 좋게 얻은 품종인 선드래곤(US SunDragon)은 순한 ... ...
컨텍, 첫 위성 '오름 SAT' 발사 성공…"뉴스페이스 중요한 기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중요한 기점이 될 것" 이라고 말했다. 2015년 설립된 컨텍은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1
세대
우주 스타트업으로 위성 데이터 처리 및 활용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지난해 11월 코스닥에 성공적으로 상장했다. 컨텍은 제주시 한림읍 상대리에 총 사업비 200억원 규모로 국내 ... ...
과기정통부·산업부, 반도체 소부장 기업 공동 방문…육성 방안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4.03.05
사업은 올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쳐 2027년 개소를 목표로 추진되고 있다. 올해부터 차
세대
반도체장비 원천기술 개발사업에 신규로 착수한다. 반도체 소부장 기업의 스케일업과 자립화를 위한 금융지원도 확대한다. 지난해 결성된 3000억원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 펀드를 금년부터 본격 집행한다. ... ...
잘 안녹아 환경오염 일으키는 플라스틱 재활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소재에 리튬이온 염을 첨가하면 이온전도성 특성이 나타나 배터리, 연료전지 등 차
세대
에너지 소자용 고체전해질로 활용할 수 있다. 기존 재활용 가능한 고체전해질과 비교했을 때 가장 높은 이온전도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체전해질을 분해하면 리튬화합물을 다시 회수할 수 있어 ... ...
누리호 연소기 용접 심장 '전자총' 국산화
동아사이언스
l
2024.03.04
길도 열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크다”라고 전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차
세대
SMR 관련 작업에 활용할 수 있는 176킬로볼트(kV) 이상, 대전류 500밀리암페어(mA) 이상 성능의 전자총 개발에 나선다. 복잡한 금속 구조물의 3D프린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전자빔 용접을 활용하기 위해 위해 ... ...
[과기원NOW] 포스텍, 투명 초음파 트랜스듀서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3.01
교수팀이 인공지능 및 신경 모사 시스템의 효율성을 가진 ‘인간의 뇌를 닮은’ 차
세대
AI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고 29일 밝혔다. 생물학적 특성을 구현해 인간의 시냅스보다 1만 배 빠른 응답 속도와 매우 적은 에너지를 소모하는 초고효율 소자를 만들었다. 향후 AI 및 머신러닝을 적용한 다양한 ... ...
태아 성별 고지 합법화…임신 몇주차부터 알 수 있나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담긴 태아 DNA를 분석하는 검사법이다. 수 백만 개 이상의 DNA 조각을 동시에 읽어내는 차
세대
염기서열분석(NGS)이 사용된다. 간단한 혈액 채취로 분석이 가능해 산모의 부담이 적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양수검사를 대체하는 염색체 분석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기술을 개발한 ... ...
음주운전 '꼼짝마'…신속 진단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수십초 내에 진단하는 할 수 있어 기대를 모은다. 권혁준 교수는 "연구결과를 차
세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 적용하려면 에탄올 센서 단독 사용에서 나아가 유해가스 센서 혹은 압력 센서와 같은 물리 센서와의 통합이 필수적"라며 "후속 연구를 통해 여러 다기능 센서와 통합해 안전 및 ... ...
신현석 성균관대 교수, IBS 양자 소재 분야 신규 단장 선임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역임했다. 올해부터는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신 단장은 차
세대
반도체 미세공정 전문가다. 신 단장이 이끈 연구팀은 붕소와 질소만으로 이뤄진 비정질 질화붕소를 이용해 현재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소재보다 유전율(외부 전기장에 반응하는 민감도)이 30% 이상 낮은 새로운 ... ...
금속 3D프린팅 부품 기공·갈라짐 줄이는 합금분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박형기 기능성소재부품그룹 수석연구원 연구팀이 3D 프린팅 소재로 쓰이는 차
세대
티타늄(Ti) 합금분말을 제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8일 밝혔다. 금속 3D 프린팅 부품은 합금분말 소재를 적층하고 레이저로 녹이면서 성형하는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다. 복잡한 형상의 부품도 바로 제조할 수 ... ...
이전
66
67
68
69
70
71
72
73
74
다음
공지사항